KR200375917Y1 -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917Y1
KR200375917Y1 KR20-2004-0033875U KR20040033875U KR200375917Y1 KR 200375917 Y1 KR200375917 Y1 KR 200375917Y1 KR 20040033875 U KR20040033875 U KR 20040033875U KR 200375917 Y1 KR200375917 Y1 KR 200375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id
cosmetic
container
masca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4-0033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1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with a container for accessories, e.g. pills, polish, condoms,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카라 뚜껑내에 희석 화장수가 담겨져 펌핑으로 유출되는 내용기를 설치하여 마스카라를 사용할 때 누름버튼을 눌러 관형의 로드로 희석 화장수가 흘러나와 로드의 솔부에 묻은 내용물이 굳지 않게 하여 화장을 편리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for making-up eyeblows}
본 고안은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카라 뚜껑내에 희석 화장수가 담겨져 펌핑으로 유출되는 내용기를 설치하여 마스카라를 사용할 때 누름버튼을 눌러 관형의 로드로 희석 화장수가 흘러나와 로드의 솔부에 묻은 내용물이 굳지 않게 하여 화장을 편리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얼굴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라이너, 립루즈, 립글로스 등과 같은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중에 눈썹을 짙게 그리거나 길게 하는데 사용되는 마스카라와 아이라이너를 사용한다.
종래의 마스카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200)와, 상기 용기본체(200)의 상단부를 막는 뚜껑(210)과, 이 뚜껑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로드(220)와, 이 로드(220)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용기본체(200)의 내용물을 묻혀 밖으로 인출하는 솔부(230)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마스카라는, 사용자가 뚜껑(210)을 열어 용기본체(200)내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뚜껑(210)의 하단측으로 연장 형성된 솔부(230)에 묻어 나오는 내용물을 속눈썹에 발라 속눈썹을 화장한다.
그런데 용기본체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솔부에 묻혀서 속눈썹에 바를 때에는 마스카라 액의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마스카라 액은 속눈썹에 바르는 중에 솔부에 묻어있는 마스카라 액은 굳어지게 된다.
그 후 굳어진 솔부는 용기 본체내에 넣어 보관하게 되므로 용기 본체내의 마스카라 액의 농도가 짙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마스카라 화장품을 사용하여 다시 눈썹에 화장을 할려고 할 때에는 용기본체내에 희석재를 첨가하여 로드의 솔부에 굳어있는 내용물을 희석시켜 묽은 액으로 만든 다음 솔부에 마스카라 액을 묻여서 눈썹화장을 하게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마스카라 화장품은 사용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솔부에 묻은 마스카라 내용물이 서서히 굳으면서 솔부가 굳어지게 되고 솔부가 굳어진 상태로 오래 있으면 솔끝이 휘게되어 화장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솔부의 수명이 짧아져서 마스카라 화장품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다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장품 구입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솔부에 붙어서 굳어진 마스카라 내용물을 화장을 할 때마다 별도로 구입한 희석 화장수를 마스카라 용기내에 부어서 희석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마스카라 솔부에 희석 화장수를 간편하게 공급하여 솔부에 묻어 굳어있는 마스카라 내용물을 화장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희석되게 함과 동시에 수시로 희석 화장수를 솔부로 공급하여 솔부가 굳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마스카라 용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뚜껑과, 용기본체와 뚜껑의 결합부분을 밀폐시켜주는 패킹과, 이 뚜껑의 하단측에 연장 형성된 로드와, 이 로드의 끝단에 구비된 솔부로 이루어진 마스카라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부에는 희석 화장수가 수용된 내용기를 삽입하여 내용기의 토출구로 유출되는 희석 화장수가 솔부로 공급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내용기의 토출구에는 에어리스(airless) 펌프를 설치하고 내용기 후단부에는 누름버튼을 설치하여 필요시마다 누름버튼을 눌러 희석 화장수가 로드의 단부에 결합된 솔부로 공급되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솔부로 공급되는 희석 화장수는 화장할 때 솔부에 묻어 남아있는 내용물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인 화장품 용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뚜껑을 연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구성 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부를 막는 뚜껑(20)과, 이 뚜껑의 하부에 결합된 내캡(30)에 연장 형성된 로드(40)와, 이 로드(40)의 단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묻게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상부가 개방되고 뚜껑(20)의 내부에는 에어리스 펌프(50)와 누름버튼(60)이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내용기(70)를 장착하되 상기 누름버튼(60)은 뚜껑(20)의 상단 개방부로 돌출되게한 구성이다.
상기 로드(4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펌프(50)의 토출관(51)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마스카라 솔부(80)를 결합한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제시된 도면을 참조로 살펴보면, 뚜껑(20)내에 로드(40)가 형성된 내캡(30)을 압입 형성하며, 상기 로드(40)위쪽으로는 토출관(51)을 삽입하되 상기 토출관(51) 외측으로는 스프링(21)으로 탄지된 스냅캡(52)을 삽입하였다.
상기 스냅캡(52) 외측으로는 희석 화장수(100)가 인입된 내용기(70)를 압입하되 상기 내용기(70) 위쪽으로는 패킹(71)을 삽입한 후 누름버튼(60)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누름버튼(60)은 뚜껑(20)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한편, 스냅캡(52) 내측으로는 개구부(58)가 형성된 하우징(53)을 압입, 형성하였으며, 상기 하우징(53) 내측으로는 피스톤(54)을 관통하고 내용물 유출구(56)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로드(55)를 토출관(51)에 압입하여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하우징(53)내로는 스프링(59)으로 탄지된 샤프트(57)를 설치하되 상기 샤프트(57)의 일측은 하우징(53)의 개구부(58)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다른 일측은 피스톤로드(55)를 관통하여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로드(40)의 단부에는 솔부(80)가 삽입되어 있다.
도 3은 내용기(70)에 희석화장수(10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도 5a는 본 고안을 작동시키기 전의 펌프(50)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4의 '가'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내용기(70)의 후단부에 설치된 누름버튼(60)을 누르면도 5b에서와 같이 누름버튼(60)과 결합되어 있는 내용기(70)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스냅캡(52)과 하우징(53)이 함께 아래로 이동되며 이때 피스톤(54)은 피스톤(54) 외주와 하우징(53) 내주와의 마찰로 인하여 하우징(53)과 함께 아래로 이동되게 되면서 피스톤로드(55)의 내용물 유출구(56)가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더욱 누름버튼(60)을 누르면 도 5c에서와 같이 스냅캡(52)과 하우징(53)은 스프링(21)이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범위까지 아래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54)은 토출관(51) 상면에 맞닿게 되어 더 이상 밑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스냅캡(52)과 하우징(53)만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우징(53)은 아래로 이동하고 피스톤(54)은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53)내의 희석화장수(100)가 인입되어 있는 내부 체적이 줄어드는 효과가 생겨서 상기 하우징(53)내의 희석화장수(100)가 압력을 받아 희석화장수(100)는 로드통로(41)를 통하여 솔부(80)방향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누름버튼(6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 5d에서와 같이 스프링(21)의 탄발력에 의해 스냅캡(52)과 하우징(53)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54)은 피스톤(54) 외주와 하우징(53) 내주와의 마찰력에 의해 하우징(53)을 따라서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54)이 위로 올라가게 됨에 따라 피스톤(54)은 피스톤로드(55)의 외주와 맞닿게 되며 이로 인해 피스톤로드(55)의 내용물 유출구(56)가 막히게 되는 것이다.
피스톤로드(55)의 내용물 유출구(56)가 막힌 후에도 스프링(21)의 탄발력에 의하여 스냅캡(52)과 하우징(53)은 더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와같이 하우징(53)은 위로 올라가고 피스톤(54)은 피스톤로드(55)에 걸려서 제자리에 있게되므로 상기 하우징(53)내의 체적이 커지는 효과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우징(53)내의 체적이 커짐에 따라 하우징(53)내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내용기(70)에 있는 희석화장수(100)를 개구부(58)를 통해 빨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스프링(59)은 도 5e에서와 같이 개구부(58)를 통해 희석화장수(100)가 빨려들어오는 동안 샤프트(57)에 의해 약간 아래로 밀려 내려왔다가 희석화장수(100)가 하우징(53)내로 들어간 후에는 하우징(53)내에 발생했던 진공이 해소되어 다시 스프링(59)과 샤프트(57)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다시 도 5a와 같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내용기(70) 내의 희석화장수(100)가 하우징(53)내로 유입되면 내용기(70) 내부는 진공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내용기(70)내에 삽입되어 있는 패킹(71)이 진공압력이 발생한 만큼 아래로 빨려내려와 진공압력을 해소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거쳐 희석화장수(100)는 로드통로(41)를 통해 솔부(80)로 공급되는 것이다.
솔부(80)에 묻어있는 마스카라 내용물은 솔부(80)로 공급된 희석화장수(100)에 의하여 희석되어 화장하기에 알맞은 마스카라 액상의 상태로 희석되고 솔부(80)도 굳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화장을 하고 보관할 때 누름버튼을 한번 눌러 솔부에 희석 화장수를 공급한 다음 보관하게 되면 솔부가 굳지 않고 화장할 수 있는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아이라이너 용기에 적용시킨 것으로서, 그 구성은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를 막는 뚜껑과, 이 뚜껑의 하부에 결합된 내캡에 연장 형성된 로드와, 이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묻게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부가 개방되고 뚜껑(20a)의 내부에는 에어리스 펌프(50)와 누름버튼(60)이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내용기(70)를 장착하되 상기 누름버튼(60)은 뚜껑(20a)의 상단 개방부로 돌출되게하는 한편, 상기 로드(4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펌프(50)의 토출관(51)과 연결되게 하고 타단부는 아이라이너 펜심(90)을 결합한 구성으로 작용효과는 상기의 내용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인 화장품 용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 뚜껑에 희석 화장수를 솔부 또는 펜심으로 공급할 수 있는 내용기를 장착하므로서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로 눈썹화장을 한 후 보관할 때 솔부 또는 펜심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굳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다음에 화장할 때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부 또는 펜심이 굳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 상태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가'부분을 발췌한 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아이라이너 용기의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아이라이너 용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20 : 뚜껑
21 : 스프링 30 : 내캡
40 : 로드 41 : 로드통로
50 : 펌프 51 : 토출관
52 : 스냅 캡 53 : 하우징
54 : 피스톤 55 : 피스톤 로드
56 : 내용물 유출구 57 : 샤프트
58 : 개구부 59 : 스프링
60 : 누름버튼 70 : 내용기
71 : 패킹 80 : 솔부
90 : 펜심 100 : 희석 화장수

Claims (4)

  1.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부를 막는 뚜껑(20)과, 이 뚜껑의 하부에 결합된 내캡(30)에 연장 형성된 로드(40)와, 이 로드(40)의 단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묻게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상부가 개방되고 뚜껑(20)의 내부에는 에어리스 펌프(50)와 누름버튼(60)이 설치된 내용기(70)를 장착함을 특징으로하는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4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펌프(50)의 토출관(51)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마스카라 솔부(80)를 결합함을 특징으로하는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4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펌프(50)의 토출관(51)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아이라이너 펜심(90)을 결합함을 특징으로하는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50)는 하우징(53)내에 내용물 유출구(56)가 형성된 피스톤로드(55)와 피스톤(54), 스프링(59), 샤프트(5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KR20-2004-0033875U 2004-11-30 2004-11-30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KR200375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875U KR200375917Y1 (ko) 2004-11-30 2004-11-30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875U KR200375917Y1 (ko) 2004-11-30 2004-11-30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917Y1 true KR200375917Y1 (ko) 2005-03-10

Family

ID=4367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875U KR200375917Y1 (ko) 2004-11-30 2004-11-30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9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922B1 (ko) * 2011-04-01 2013-11-07 변영광 액상화장품 용기
KR101490709B1 (ko) 2013-03-20 2015-02-06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20160001961U (ko) * 2014-11-28 2016-06-09 (주)아모레퍼시픽 세척 피스톤 용기를 구비한 마스카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922B1 (ko) * 2011-04-01 2013-11-07 변영광 액상화장품 용기
KR101490709B1 (ko) 2013-03-20 2015-02-06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20160001961U (ko) * 2014-11-28 2016-06-09 (주)아모레퍼시픽 세척 피스톤 용기를 구비한 마스카라
KR200484158Y1 (ko) * 2014-11-28 2017-08-08 (주)아모레퍼시픽 세척 피스톤 용기를 구비한 마스카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599Y1 (ko) 도포수단이 구비된 샤프펜슬타입의 디스펜서 용기
US9546026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using a pipette
US9078507B2 (en) Spouting-type cosmetic container
JP6343620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ー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US7255510B2 (en) Rotating dispenser for liquid cosmetics
KR101048412B1 (ko) 화장품 용기
KR200375917Y1 (ko) 눈썹 화장용 화장품 용기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US20210161274A1 (en)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pump including part made of polyketone material
KR100696364B1 (ko) 액상체 화장기구
JP2008024339A (ja) スクイズ容器
US20200376509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push button blocked from being pushed within regulation angle
KR100977172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7878374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US6283335B1 (en) Oil sprayer with hand operated air pump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00065532A (ko) 스포이드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200380074Y1 (ko)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US20230117210A1 (en) Cosmetic case having refill structure
KR200437803Y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202861Y1 (ko) 절약형 용기
US20190269234A1 (en) Pipette unit for cosmetics and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