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772Y1 - 소형 정수기 - Google Patents

소형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772Y1
KR200375772Y1 KR20-2004-0031514U KR20040031514U KR200375772Y1 KR 200375772 Y1 KR200375772 Y1 KR 200375772Y1 KR 20040031514 U KR20040031514 U KR 20040031514U KR 200375772 Y1 KR200375772 Y1 KR 200375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lter
water
main body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훈
Original Assignee
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훈 filed Critical 변상훈
Priority to KR20-2004-0031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 샤워기 등 정수기의 직접연결이 곤란한 장소에서 손쉽게 배관에 연결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여 풍부한 수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측으로 연결축(140)과 연결구(150)가 돌출되고 내부의 중앙에 조립축(110)이 길게 돌출되며 그 외측의 하우징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나사(120) 상측에 패킹(320)이 위치하는 걸림턱(130)을 갖는 본체부재(100)와,
상기 조립축(110)에 직립되게 삽입되는 삽입축(200)의 중간에 패킹(230)이 설치된 하측 연결부재(210) 상측으로 외측에 돌출부(250)를 설치한 상부뚜껑(240)을 갖는 필터부재(200)와,
상기 본체부재(100)에 직접연결할 수 있도록 출수쪽인 연결축(140)과 연결구(150)에는 호스(530, 530', 580)의 일측에서 호스너트(520)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정수기{A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공급되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배관에 직접 설치하여 정수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초소형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 샤워기 등 정수기의 직접연결이 곤란한 장소에서 손쉽게 배관에 연결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여 풍부한 수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수기는 본체부재(100)의 상측으로 필터부재를 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하우징부재(300)를 덮어 유입되는 물이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공급된 후 필터를 통하여 다음과정으로 진행되거나 정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체부재에 설치되는 필터는 직립되게 설치된 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 중에 필터의 설치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지만 상측부분을 잡아주는 구조가 없어서 직립된 상태를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필터로 공급되지 않고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공급되어 정수효율이 저하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필터의 수명이 되어 교체하는 경우에는 필터만 교체하지 않고 하우징 전부를 교체하게 되므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며, 필터의 교체비용에 대한 소모가 많아지고, 공구를 이용하여 교체하게 되므로 교체가 어렵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부재의 양측에 나사식으로 호스(530)를 연결하게되며, 모두 암놈으로만 형성되어 있어서 양측에 숫놈으로만 연결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때 본체부재에 호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테프론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마감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호스를 연결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한번 연결된 이후에는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입출수부분이 기존 제품은 암놈이 형성되어 제품 조립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은 본체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렌치를 이용하여 하우징부재의 하측으로 설치된 패킹이 본체부재의 상측에 올라타면서 조여지는 압력으로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었으나, 렌치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하우징부재를 연결할 때 많은 힘과 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고 수밀 또한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우징을 필요에 따라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다수개를 연속해서 연결하여 정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입출수 부분이 모두 암놈이어서 중간 연결부품이 필요하며 그 크기가 매우 커서 세면대나 주방, 샤워기, 비데, 세탁기 등은 좁은 공간의 배관에 직접 설치하기에 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므로 부적합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터부재의 상부뚜껑에 돌출부를 설치하여 정수기를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필터부재와 본체부재의 정확한 조립상태가 제공되어 정화되지 않고 누수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부재와 본체부재를 연결함에 있어서 패킹이 본체부재의 상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형성되도록 하여 손쉽게 개폐시키도록 하며 수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입출수부분이 입수는 암놈 출수는 숫놈나사로 이루어져 모든 수도 규격에 별도의 부품 장착이 없이 바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 상부에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원하는 곳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초소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정수기용 이외에 세면대, 주방, 샤워기, 비데, 세탁기등 먹는 물뿐만 아니라 쓰는 물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부재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연결축과 연결구의 일측으로 호스너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연결하며 그 내부에서는 정수기를 2단, 3단, 4단 직렬로 멀티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양측으로 연결축과 연결구가 돌출되고 내부의 중앙에 조립축이 길게 돌출되며 그 외측의 하우징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나사 상측에 패킹이 위치하는 걸림턱을 갖는 본체부재와,
상기 조립축에 직립되게 삽입되는 삽입축의 중간에 패킹이 설치된 하측 연결부재 상측으로 외측에 돌출부를 설치한 상부뚜껑을 갖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직접연결할 수 있도록 출수쪽인 연결축과 연결구에는 호스의 일측에서 호스너트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부재(100)의 내부 조립축(110)에 필터부재(200)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필터부재(200)의 외측에는 하우징부재(300)를 본체부재(100)에 나사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재(100)는 2단, 3단, 4단 직렬로 멀티 연결할 수 있으며 브라켓(400)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재(100)는 양측으로 암, 수의 연결축(140)과 연결구(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중앙에 조립축(110)이 내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그 조립축(110)의 외측으로 연결나사(120)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측으로 걸림턱(130)이 형성되어 있어서 입수되는 물은 조립축(110)의 외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재(200)는 하측으로 하측 연결부재(210)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 삽입축(220)이 돌출되어 그 삽입축(220)에 패킹(230)이 연결되어 조립축(110)에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하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재(200)는 상측으로 상부뚜껑(240)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상부뚜껑(24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돌출부(250)가 돌출되어 있어서 필터부재(200)가 눕혀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우징 부재(300)의 내부에 걸려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필터부재(200)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부재(300)는 주로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재질로 성형하며 하측으로 하우징축(310)이 나사식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안쪽 상측에는 패킹(320)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연결나사(120)와 조립되면 패킹(320)이 걸림턱(130)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재(100)의 연결축(140)에는 실리콘패킹(570)이 일측에 삽입되고 도 4 와 같이 샤워기용 호스(580)나 도 3 과 같이 세면대용 호스(530') 또는 도 8 과 같이 정수기용 호스(530)가 연결되는 것이며, 연결구(150)에는 테프론이 없이도 수도밸브(600)나 공급관(630)의 숫나사축과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재(100)는 브라켓(400)의 연결공(420)에 스크류(430)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며, 일측으로 설치공(410)을 형성하여 원하는 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부재(100)와 하우징부재(300)를 조립하는 경우에 높이가 18cm 정도, 지름이 50mm 정도의 아주 작은 초소형, 초경량이므로 하나 또는 2개를 멀티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필터부재(200)는 하측 연결부재(210)의 삽입축(220)을 조립축(110)에 간편하게 삽입하여 조립되면 패킹(230)에 의하여 누수가 방지되며 본체부재(100)를 통하여 필터부재(200)의 외측으로 공급된 물이 필터부재(200)를 통하여 정수된 후 조립축(110)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재(200)는 조립축(110)에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정수되지 않고 그대로 공급되는 물이 없도록 하므로 삽입축(220)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게 되며, 필터부재(200)를 눕히는 경우에도 상부뚜껑(240)에 설치된 돌출부(250)를 통하여 하우징부재(300)의 내부에도 도 7 과 같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되므로 누수를 방지하여 필터부재(200)의 정확한 정수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필터부재(200)의 수명이 되어 교환해야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부재(300)를 풀고 필터부재(2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공구가 없이도 간편하게 분리되므로 필터부재(200)만 새것으로 교환하여 버리면 되어 누구나 손쉽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터부재(200)만 교환하는 것이므로 필터교환에 따른 비용의 소모가 적게 되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부재(300)는 하우징축(310)이 연결나사(120)에 공구가 없이도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연결나사(120)와 하우징축(310)이 결합되면 패킹(320)이 하우징축(310)의 상측과 걸림턱(130)에 걸리면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재(100)는 연결축(140)과 연결구(150)를 통하여 2단, 3단, 4단 직렬로 멀티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질에 따라 정수효과를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부재(100)에 연결되는 호스너트(520)는 필요에 따라서 정수지용 호스(530)나 세면대용 호스(530') 및 샤워기용 호스(58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간편하게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작업을 좁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재(100)를 브라켓(400)의 연결공(420)을 통하여 직렬로 멀티 연결되는 개수만큼 연결하여 원하는 장소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설치된 세면대(610)에 수도밸브(600)를 통하여 세면대용 호스(530')가 손잡이(620)의 선택에 따라 온수 또는 냉수의 수돗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수도밸브(600)와 세면대용 호스(530')의 사이에 하우징부재(300)가 설치된 본체부재(100)를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곧바로 연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온수 또는 냉수의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샤워기 수전인 손잡이(640)에 양측으로 연결되는 공급관(630)의 하측으로 샤워기용 호스(580)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샤워기를 연결함에 있어서, 손잡이(640)와 샤워기용 호스(580)의 사이에 하우징부재(300)가 설치된 본체부재(100)를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곧바로 연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세면대(610)와 샤워기 이외에도 주방, 비데, 세탁기 등 먹는물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도 다양하게 정수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필터부재의 상부뚜껑에 돌출부를 설치하여 정수기를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필터부재와 본체부재의 정확한 조립상태가 제공되어 정수되지 않고 누수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부재와 본체부재를 연결함에 있어서 패킹이 본체부재의 상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형성되도록 하여 손쉽게 개폐시키도록 하며 수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필터부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교환시 필터부재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필터교환에 따른 비용의 소모를 줄이며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좁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 저면에 별도의 브라켓를 사용하여 원하는 곳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초소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정수기용 이외에 세면대, 주방, 샤워기, 비데, 세탁기등 먹는 물뿐만 아니라 쓰는 물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부재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구축과 연결구에 간편하게 연결하며 정수기를 2단, 3단, 4단 직렬로 멀티 연결하여 여러 가지의 필터를 사용하므로 수질에 따라 정수효과를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사도
도 2 는 본 고안의 주요 부분을 분리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을 세면대의 수도밸브에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을 샤워기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주요 부분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을 받침부재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하우징 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을 수도밸브에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재 110 : 조립축
120 : 연결나사 130 : 걸림턱
140 : 연결축 150 : 연결구
200 : 필터부재 210 : 하측 연결부재
220 : 삽입축 230, 320 : 패킹
240 : 상부뚜겅 250 : 돌출부
300 : 하우징부재 310 : 하우징축
400 : 브라켓 410 : 설치공
530 : 정수기용 호스 530' : 세면대용 호스
580 : 샤워기용 호스 600 : 수도밸브
610 : 세면대 620, 640 : 손잡이

Claims (3)

  1. 물이 공급되어 본체를 통하여 유입되면 내부의 필터를 통하여 정수된 후 공급되며 필터의 외측으로 하우징을 설치하고 본체를 연속해서 연결하여 사용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양측으로 연결축(140)과 연결구(150)가 돌출되고 내부의 중앙에 조립축(110)이 길게 돌출되며 그 외측의 하우징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나사(120) 상측에 패킹(320)이 위치하는 걸림턱(130)을 갖는 본체부재(100)와,
    상기 조립축(110)에 직립되게 삽입되는 삽입축(200)의 중간에 패킹(230)이 설치된 하측 연결부재(210) 상측으로 외측에 돌출부(250)를 설치한 상부뚜껑(240)을 갖는 필터부재(200)와,
    상기 본체부재(100)에 직접연결할 수 있도록 출수쪽인 연결축(140)과 연결구(150)에는 호스(530, 530', 580)의 일측에서 호스너트(520)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재(100)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연결축(140)과 연결구(150)를 통하여 멀티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필터부재(200)는 하측 연결부재(210)의 삽입축(220)이 길게 돌출되어 패킹(230)으로 조립축(110)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수기.
KR20-2004-0031514U 2004-11-08 2004-11-08 소형 정수기 KR200375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14U KR200375772Y1 (ko) 2004-11-08 2004-11-08 소형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14U KR200375772Y1 (ko) 2004-11-08 2004-11-08 소형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772Y1 true KR200375772Y1 (ko) 2005-03-11

Family

ID=4367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514U KR200375772Y1 (ko) 2004-11-08 2004-11-08 소형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7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211B1 (ko) * 2008-01-22 2009-11-09 최광순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20220028299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필터선택이 자유로운 휴대용 정수기
KR102413913B1 (ko) * 2022-01-04 2022-06-29 주식회사 하나쿠아 수전 장착용 기능성 샤워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211B1 (ko) * 2008-01-22 2009-11-09 최광순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20220028299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필터선택이 자유로운 휴대용 정수기
KR102410999B1 (ko) * 2020-08-28 2022-06-20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필터선택이 자유로운 휴대용 정수기
KR102413913B1 (ko) * 2022-01-04 2022-06-29 주식회사 하나쿠아 수전 장착용 기능성 샤워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448B1 (ko) 개량된 필터조립체
KR20090039929A (ko) 수전 금구
CN201593626U (zh) 滤网清洗阀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KR200375772Y1 (ko) 소형 정수기
KR102449444B1 (ko) 수전용 정수장치
KR200464189Y1 (ko) 호스 연결용 핸드 밸브
KR20090039931A (ko) 수전 금구
CN210974229U (zh) 一种净水系统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100798146B1 (ko) 정수기용 파우셋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102449255B1 (ko) 필터 일체형 수전
CN112279419A (zh) 可移动净水系统
CN219491184U (zh) 一种防臭下水器
CN210974228U (zh) 可移动净水系统
CN217030110U (zh) 一种家用便于组装的双联式水龙头
CN213668154U (zh) 一种多功能水龙头
CN211395837U (zh) 一种龙头壳体安装结构
KR20120010320A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456698Y1 (ko) 세면대용 수도전의 고정수단
KR200359770Y1 (ko) 탁상형 정수기연결구조를 갖춘 급수밸브
KR102341283B1 (ko) 경량 구조를 갖는 수전
CN215406334U (zh) 一种下水管件
KR100393944B1 (ko) 사용수와 정수배관이 일체로 구비된 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