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931A - 수전 금구 - Google Patents

수전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931A
KR20090039931A KR1020070105437A KR20070105437A KR20090039931A KR 20090039931 A KR20090039931 A KR 20090039931A KR 1020070105437 A KR1020070105437 A KR 1020070105437A KR 20070105437 A KR20070105437 A KR 20070105437A KR 20090039931 A KR20090039931 A KR 2009003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hot water
cartridge
hos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to KR102007010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931A/ko
Publication of KR2009003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부속을 분할 제작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특히 화장실의 세면대에 부착 고정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전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 금구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서로 분리가 가능하며, 또한 주물 제작하지 않고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 인해 온수나 냉수가 이동하는 공간의 표면처리를 매끄럽게 가공이 가능하여 물이끼 등의 이물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는 화장실의 세면대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중에 특정 부속의 고장으로 인한 교체 또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수전 금구, 화장실, 세면대

Description

수전 금구 { faucet }
본 발명은 수전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부속을 분할 제작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구조를 가지는 수전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 금구는 씽크대나 욕조에 설치되어 온수나 냉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배출한다.
상기 수전 금구는 몸체에 토출구만 구비되어 온수와 냉수를 토출구로만 배출시키는 구조와, 몸체에 토출구 이외에 샤워기가 호스로 연결되는 별도의 토출부가 형성되는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전 금구는 통상적으로 주물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에 온수와 냉수가 이동할 수 있는 온수로 및 냉수로와 카트리지 등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통공이나 나사공과 같은 홈 가공을 필수적으로 후(後)가공 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한덩어리로 이루어지도록 몸체를 주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원재료가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후가공이 쉽지 않아 제조되는 수전 금구의 불량률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주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몸체 내부면이 거칠어 냉수 또는 온수가 이동하면서 몸체 자체의 슬러지 등으로 인해 이물질이 많이 끼게 되어 비위생적이다.
한편, 하나의 몸체로 제작되는 종래의 수전금구의 경우에 내부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해 대부분 새것으로 교체하게 되어 교체비용의 상승을 유발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구조를 가지는 수전 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면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 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카트리지가 안착되는 수납부를 가지는 연장부가 하향 돌출되고, 상단 전방에는 장방형의 메인토출부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수납부의 내측 상단에 체결되어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의 레버에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상부몸체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제1공간부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토출부와 결합되어 장공을 형성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공간부의 하부에는 온수배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이동호스와 냉수배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이동호스의 일단부가 삽입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공간부가 형성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제1공간부의 상기 카트리지 하 단에 안착되어 상기 카트리지와 온수이동호스 및 냉수이동호스와 연통되며 온수 및 냉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와; 상기 하부몸체의 제2공간부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세면대에 지지되며 온수이동호스 및 냉수이동호스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금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카트리지가 안착되는 수납부를 가지는 연장부가 하향 돌출되고, 상단 전방에는 장방형의 메인토출부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수납부 내측 상단에 체결되어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의 레버에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상부몸체의 연장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공간부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토출부와 결합되어 장공을 형성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직경이 축소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4공간부를 가지는 세면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제3공간부의 내측 하단에 안착되어 상기 카트리지와 온수이동호스 및 냉수이동호스와 연통되며 온수 및 냉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금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서로 분리가 가능하며, 또한 주물 제작하지 않고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 인해 온수나 냉수가 이동하는 공간의 표면처리를 매끄럽게 가공이 가능하여 물이끼 등의 이물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는 화장실의 세면대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중에 특정 부속의 고장으로 인한 교체 또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 금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메니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수전 금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메니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 도 6에 따른 수전 금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전 금구(100)는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와, 상기 상부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의 배출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130)과,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핸들(130)의 조작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카트리지(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는 주물 제작하지 않고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 인해 그 내부의 표면처리를 매끄럽게 가공이 가능하여 물이끼 등의 이물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부몸체(110)는 그 중앙에 냉수와 온수가 머무르며 상기 카트리지(140)가 안착되는 수납부(112a)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연장부(112)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상부몸체(110)의 전방에는 장방형의 메인토출부(114)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토출부(114)는 장방형으로 돌출되되 그 하부에는 관통공(116a)이 형성되는 고무패킹(116)을 구비하여 측면으로 냉/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몸체(12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안내부(122)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23)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토출부(114)와 안내부(122)에 의해 가로방향의 장공(115)을 형성하여 물이 퍼지면서 배출되어, 손을 씻는 경우 물이 퍼져 나오게 되어 물의 낭비를 줄이고 골고루 물을 묻힐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10)의 수납부(112a)의 내측 상단 테두리에는 암나사산(112b)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12b)에는 냉/온수의 혼합 및 배출을 조절하는 공지(公知)의 카트리지(140)가 삽입되며, 상기 카트리지(14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150)가 체결되어 상기 카트리지(140)의 이탈을 방지하고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140)의 하단 외주면에는 누수방지용 오링(142)이 체결되어 냉수 또는 온수가 고정부재(150)쪽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50)는 대략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암나사산(112b)과 체결되는 수나사산(15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50)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140)의 레버(141)에는 핸들(130)이 결합되어 상기 핸들(130)을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면서 온수 및 냉수의 혼합비에 따른 온도 조절 및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0)는 상단 일측에 수평돌출되는 안내부(122)가 구비되고, 그 중앙에 상기 상부몸체(110)의 연장부(112)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공간부(124)가 형성되고, 그 제1공간부(124)의 하부에는 온수배관(미도시됨)으로 부터 유입되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이동호스(160)와 냉수배관(미도시됨)으로 부터 유입되는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이동호스(162)의 일단부가 삽입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공간부(12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공간부(124)에 상기 상부몸체(110)의 연장부(112)가 안착되면 제1공간부(124)의 내주면과 연장부(112)의 외주면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카트리 지(140)를 거친 냉수 또는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메인이동부(126)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메인토출부(114)의 장공(115)과 연통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20)의 제1공간부(124) 내측 하단에는 상기 카트리지(140)와 온수이동호스(160) 및 냉수이동호스(162)와 연통되며 온수 및 냉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17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메니폴드(170)는 제1공간부(124)의 하부에 제2공간부(125)와 격리되도록 안착되는 것으로 각각 'ㄴ'자 형상의 온수유입통로(171) 및 냉수유입통로(172)가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오링(173)이 체결되어 제1공간부(124)의 냉수 또는 온수가 제2공간부(125)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수유입통로(171)의 유입공(171a)은 온수이동호스(16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171)의 배출공(171b)은 카트리지(140)의 온수유입부(143a)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유입통로(172)의 유입공(172a)은 냉수이동호스(162)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냉수유입통로(172)의 배출공(172b)은 카트리지(140)의 냉수유입부(143b)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20)의 제2공간부(125) 일측에 개구부(125a)가 형성되며, 그와 같은 개구부(125a)에는 세면대(10)의 고정공(미도시됨)에 지지되도록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80a,182a)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선(180b,182b)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80,182)가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80,182)의 관통공(180a,182a)에는 각각 온수이동호스(160)과 냉수이동호스(162)가 관통되어 그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온수배관과 냉수배관에서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가 냉수이동호스(162)와 온수이동호스(160)을 통해 카트리지(14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120)의 제2공간부(125) 내측에는 결합공(125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80,182)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공(185)에 대응되는 관통공(181a,183a)이 형성되는 플랜지부(181,183)가 돌출 구비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85)으로 체결고정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수전 금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하부몸체(120)의 제1공간부(124)에 메니폴드(170)를 삽입하고, 상부몸체(110)의 연장부(112)를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몸체(110)의 메인토출부(114)의 내측 테두리부를 따라 고무패킹(116)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몸체(120)의 안내부(122)를 일치시킨 후, 체결수단(123)을 안내부(122)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공(122a)에 관통시켜 메인토출부(114)의 결합공(114a)에 결합시켜 주어 견고하게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몸체(110)의 수납부(112a)에 누수방지용 오링(142)이 체결된 카트리지(140)를 삽입하고, 상기 상부몸체(110)의 수납부(112a) 상단 암나사산(112b)에 고정부재(150)를 체결 고정하여 줌으로서 상기 카트리지(140)를 수 납부(112a) 내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카트리지(140)의 레버(141)에 핸들(1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제2공간부(125) 내측으로 하부가 돌출되는 메니폴드(170)의 온수유입통로(171)의 유입공(171a)에 온수이동호스(160)의 일단부를 체결하고, 냉수유입통로(172)의 유입공(172a)에 냉수이동호스(162)의 일단부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몸체(120)의 제2공간부(125)의 개구부(125a)에 제1 및 제2지지부재(180,182)의 관통공(180a,182a)에 각각 상기 온수이동호스(160) 및 냉수이동호스(162)의 단부를 통과시킨 후,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80,182)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181a,182a)에 체결수단(185)을 관통시켜 상기 하부몸체(120)의 결합공(125b)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100)는 화장실의 세면대(10)에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80,182)의 몸체를 관통시켜 너트부재(미도시됨)로 체결 고정하고, 냉수배관 및 온수배관에 냉수이동호스(160) 및 온수이동호스(162)를 각각 연결하여 줌으로서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도면이로서, 상부몸체(110)와 핸들(130) 및 카트리지(140)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0)는 상단 일측에 수평돌출되는 안내부(121)가 구비되고, 그 중앙에 상기 상부몸체(110)의 연장부(112)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공간부(127)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직경이 축소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4공간부(128a)가 형성되는 지지부(12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4공간부(128a)는 온수배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이동호스(160)와 냉수배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이동호스(162)의 일단부가 삽입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공간부(127)에 상기 상부몸체(110)의 연장부(112)가 안착되면 제3공간부(127)의 내주면과 연장부(112)의 외주면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카트리지(140)를 거친 냉수 또는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메인이동부(126)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메인토출부(114)의 공간(115)과 연통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20)의 제3공간부(127) 내측 하단에는 상기 카트리지(140)와 온수이동호스(160) 및 냉수이동호스(162)와 연통되며 온수 및 냉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17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메니폴드(170)는 제3공간부(127)의 하부에 제4공간부(128a)와 격리되도록 안착되는 것으로 각각 상하로 수직 관통되는 일(-)자 형상의 온수유입통로(174) 및 냉수유입통로(175)가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오링(176)이 체결되어 제3공간부(127)의 냉수 또는 온수가 제4공간부(128a)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수유입통로(174)의 유입공(174a)은 온수이동호스(16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174)의 배출공(174b)은 카트리지(140)의 온수유입부(143a)와 연통되고, 상기 냉수유입통로(175)의 유입공(175a)은 냉수이동호 스(162)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냉수유입통로(175)의 배출공(175b)은 카트리지(140)의 냉수유입부(143b)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100)는 화장실의 세면대(10)에 상기 하부몸체(120)의 지지부(128)를 관통시켜 너트부재(129)로 지지부(128)를 체결 고정하고, 냉수배관 및 온수배관에 냉수이동호스(162) 및 온수이동호스(160)를 각각 연결하여 줌으로서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메니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수전 금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수전 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메니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도 6에 따른 수전 금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세면대 100: 수전 금구
110: 상부몸체 114: 메인토출부
120: 하부몸체 130: 핸들
140: 카트리지 160: 온수이동호스
162: 냉수이동호스 170: 메니폴드

Claims (4)

  1.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카트리지(140)가 안착되는 수납부(112a)를 가지는 연장부(112)가 하향 돌출되고, 상단 전방에는 장방형의 메인토출부(114)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부몸체(110)의 수납부(112a)의 내측 상단에 체결되어 카트리지(14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와; 상기 고정부재(150)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140)의 레버에 결합되는 핸들(130)과; 상기 상부몸체(110)의 연장부(112)가 삽입되는 제1공간부(124)가 형성되고, 그 제1공간부(124)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토출부(114)와 결합되어 장공(115)을 형성하는 안내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공간부(124)의 하부에는 온수배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이동호스(160)와 냉수배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이동호스(162)의 일단부가 삽입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2공간부(125)가 형성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하부몸체(120)와; 상기 제1공간부(124)의 상기 카트리지(140) 하단에 안착되어 상기 카트리지(140)와 온수이동호스(160) 및 냉수이동호스(162)와 연통되며 온수 및 냉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170)와; 상기 하부몸체(120)의 제2공간부(125)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25a)에 세면대(10)에 지지되며 온수이동호스(160) 및 냉수이동호스(162)가 관통하는 관통공(180a,182a)이 중앙에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선(180b,182b)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80,18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니폴드(170)는 제1공간부(124)의 내측 하단에 안착되되 'ㄴ'자 형상의 온수유입통로(171) 및 냉수유입통로(172)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온수유입통로(171)의 유입공(171a)은 온수이동호스(16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171)의 배출공(171b)은 카트리지(140)의 온수유입부(143a)와 연결되며, 상기 냉수유입통로(172)의 유입공(172a)은 냉수이동호스(16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수유입통로(172)의 배출공(172b)은 카트리지(140)의 냉수유입부(143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금구.
  3.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카트리지(140)가 안착되는 수납부(112a)를 가지는 연장부(112)가 하향 돌출되고, 상단 전방에는 장방형의 메인토출부(114)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부몸체(110)의 수납부(112a)의 내측 상단에 체결되어 카트리지(14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와; 상기 고정부재(150)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140)의 레버에 결합되는 핸들(130)과; 상기 상부몸체(110)의 연장부(112)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공간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제3공간부(127)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토출부(114)와 결합되어 장공(115)을 형성하는 안내부(1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직경이 축소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4공간부(128a)를 가지 는 세면대(10)에 지지되는 지지부(128)가 구비되게 다이캐스팅 제조되는 하부몸체(120)와; 상기 제3공간부(127)의 내측 하단에 안착되어 상기 카트리지(140)와 온수이동호스(160) 및 냉수이동호스(162)와 연통되며 온수 및 냉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1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금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니폴드(170)는 제3공간부(127)의 내측 하단에 안착되되 상하로 수직 관통되는 일(-)자 형상의 온수유입통로(174) 및 냉수유입통로(175)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져, 상기 온수유입통로(174)의 유입공(174a)은 온수이동호스(16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174)의 배출공(174b)은 카트리지(140)의 온수유입부(143a)와 연결되며, 상기 냉수유입통로(175)의 유입공(175a)은 냉수이동호스(16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수유입통로(175)의 배출공(175b)은 카트리지(140)의 냉수유입부(143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금구.
KR1020070105437A 2007-10-19 2007-10-19 수전 금구 KR20090039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37A KR20090039931A (ko) 2007-10-19 2007-10-19 수전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37A KR20090039931A (ko) 2007-10-19 2007-10-19 수전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931A true KR20090039931A (ko) 2009-04-23

Family

ID=4076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437A KR20090039931A (ko) 2007-10-19 2007-10-19 수전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9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02Y1 (ko) * 2009-11-19 2011-09-30 차윤도 세면대용 수도전의 멀티 고정장치
KR200474992Y1 (ko) * 2012-10-22 2014-11-03 김용문 온 냉수 혼합수전
KR102252683B1 (ko) * 2020-12-08 2021-05-17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 내 카트리지 결합구조
KR200494544Y1 (ko) 2021-02-02 2021-11-03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벽붙이 샤워기용 수전금구 몸체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02Y1 (ko) * 2009-11-19 2011-09-30 차윤도 세면대용 수도전의 멀티 고정장치
KR200474992Y1 (ko) * 2012-10-22 2014-11-03 김용문 온 냉수 혼합수전
KR102252683B1 (ko) * 2020-12-08 2021-05-17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 내 카트리지 결합구조
KR200494544Y1 (ko) 2021-02-02 2021-11-03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벽붙이 샤워기용 수전금구 몸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9929A (ko) 수전 금구
US4856121A (en) Air gap faucet
GB2430444A (en) A waste for use with grey water generating sanitary wear
US20220049485A1 (en) Toilet with non-vitreous flush engine
KR20090039931A (ko) 수전 금구
US6971400B1 (en) Air gap apparatus
KR20030031038A (ko) 재활용수와 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의용수 공급장치
KR101867242B1 (ko) 수전금구
US20170051840A1 (en) Flush cap for a valve assembly
KR101006884B1 (ko) 수전금구용 몸체
EP2210990B1 (en) Narrow drain
US7278178B2 (en) Tub filler and overflow combination device
JP4590516B2 (ja) 槽体の排水器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20110006796A (ko) 바닥 배수 트랩
KR200375772Y1 (ko) 소형 정수기
KR200305388Y1 (ko) 배수용 트랩
JP2007023688A (ja) 排水トラップ
CN215406334U (zh) 一种下水管件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KR102341283B1 (ko) 경량 구조를 갖는 수전
KR200341855Y1 (ko) 배수관 가변 조립체
WO1996010117A1 (en) A water trap
CN218204742U (zh) 一种下水结构及进排水系统
KR20120010320A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