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659Y1 -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 Google Patents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659Y1
KR200375659Y1 KR20-2004-0032957U KR20040032957U KR200375659Y1 KR 200375659 Y1 KR200375659 Y1 KR 200375659Y1 KR 20040032957 U KR20040032957 U KR 20040032957U KR 200375659 Y1 KR200375659 Y1 KR 200375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wood
building material
jad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갑
배원술
Original Assignee
배성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갑 filed Critical 배성갑
Priority to KR20-2004-0032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2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 E04F2203/026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having hexagonal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건축용 자재에 있어서, 상기 자재는 목질 타일이고, 상기 목질 타일의 내부 일측 공간에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를 개시한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옥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이 타일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보유되고, 상기 옥,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의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공간에 보유되는 제1 목재 타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 및 상기 제1 목재 타일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제2 목재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목재 타일은,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타일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함유되며, 상기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함유된 공간의 주위 타일 부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건강 향상 부재를 내장하는 건축용 자재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특히 건축 내장용, 벽체, 천정, 바닥등의 타일을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환경친화적 특성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황토를 상기 목질 타일내에 내장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차단, 탈취, 제습 등의 효과를 주어 건강 증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황토 등이 각각에 특유한 방식으로 목재 타일 내부에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건강 향상 부재 각각의 건강 향상, 증진 기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건축용 자재로서 이용되기에 적합하며 편리하다. 나아가, 상기 건축용 타일은 복수개의 단위 타일을 연결하여 부착하는 경우, 상호 나무 무늬결을 교차하도록 함으로써 타일간 뒤틀림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WOOD MATERIAL FOR CONSTRUCTION HAVING MEMBER IMPROVING HEALTH INSIDE}
본 고안은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황토 등을 내장한 건축용 목질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건강 향상 부재란,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 또는 향상을 위한 부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흡수, 제습, 탈취 등그 각각의 기능에 의하여 자연친화적이고 쾌적한 환경 조성을 가능하게 하는,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황토와 그 균등물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집괴된 황토란, 황토의 일부가 떨어져 분산되지 않도록 응집시킨 황토의 집괴체를 의미한다.
종래의 건축용 자재, 특히 건축 내외장용 타일은 플라스틱 필름 및 무늬목을 이용하는 제품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서 환경 친화성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특히 타일 등과 같이 이용 빈도가 높은 건축물의 내외장재재에 있어서, 그 환경 친화적 기능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목재를 타일과 같은 건축 내외장(특히 건축 내장재)로 적용하여 환경 친화성을 높이되, 동시에 건강 증진 또는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건축용 자재에 요구되는 특성을 보유하도록 한 건축용 자재를 연구하여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용 자재, 특히 건축 내장용, 벽체, 천정, 바닥 타일에 있어서, 종래의 타일 등과 달리 환경 친화적이고, 건강 증진 또는 향상 기능을 가지며, 뒤틀림 억제 등 건축용 자재에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또한, 각종 원목 등을 재질로 하는 건축용 목재 타일에 있어서, 특히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황토 등의 건강 향상 부재를 각각의 건강 증진, 향상 기능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도록 내장하면서, 동시에 타일로서의 이용의 편리성과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한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용 자재에 있어서, 상기 자재는 목질 자재이고, 상기 목질 자재의 내부 일측 공간에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목질 자재가 통상의 형상을 가지는 목질 타일이며, 상기 타일의 내부 일측 공간에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옥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이 타일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보유되고, 상기 옥,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의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공간에 보유되는 제1 목재 타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 및 상기 제1목재 타일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제2 목재 타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목재 타일은,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타일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함유되며, 상기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함유된 공간의 주위 타일 부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과 상기 제2 목재 타일의 나무 무늬결이 상호 교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타일의 하부에 나무판이 덧대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의 사방면에 상기 제2목재 타일이 부착되고, 또한 상기 제2 목재 타일의 사방면에 상기 제1 목재 타일이 부착되도록 연속 반복하여 상기 제1 목재 타일과 상기 제2 목재 타일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과 상기 제2 목재 타일과의 사이에 목질의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강 향상 부재를 내장하는 건축용 자재를 상술한다.
본 고안에서는, 건축용 자재, 특히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는 건축 내장용, 벽체, 천정, 바닥 타일을 여러가지 나무 종류의 원목을 가공하여 제작한다. 이와 같이 원목을 가공하여 특히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는 건축 내장용, 벽체, 천정, 바닥 타일을 제작하면 종래의 플라스틱 타일의 경우와 달리 환경 친화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타일의 제작에 사용되는 나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는데, 북양재, 남양재, 일반목, 특수목 등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목재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목질 타일을 제작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변형예에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 중밀도섬유판) 즉, 목재와 목편을 마쇄한 목질 섬유를 합성 수지 접착제로 혼합하여 제작된 목질 패널로 타일을 제작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목질 타일에 건강 증진, 향상을 위하여, 옥,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 등과 같은 광물질을 삽입하거나, 또는 숯 또는 집괴된 황토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옥이나 게르마늄, 맥반석 등의 광물질이나, 황토나 숯을 상기 목질 타일의 내부에 보유, 즉 내장되도록 하면, 목질 타일의 환경친화적 특성에 더하여, 각각이 갖는 원적외선 방출이나 전자파 차단, 제습, 탈취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향상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 향상 부재의 각각의 종류에 따라서, 그 내장되는 방식을 달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즉, 옥, 게르마늄, 맥반석 등의 광물질을 상기 타일에 내장하는 경우 원적외선 방출 등의 특성을 높이고, 또한 외관 등을 고려하여, 옥, 게르마늄, 맥반석 등의 일면이 타일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즉, 타일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반면, 숯, 집괴된 황토 등을 타일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타일의 이용성과 외관 등을 고려하여, 타일의 내부에 함유되도록(즉, 타일의 내부에서 주위 타일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내장하여야 한다. 이때, 동시에, 제습 등의 효과와 전자파 차단 등의 효과가 발휘되고, 또한 그 효과가 적절히 지속되도록 숯이나 집괴된 황토가 내장된 공간 주위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그 공간상의 타일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옥, 게르마늄, 맥반석 등이 들어있는 타일을 제1 단위 타일로 제작하고, 또한, 숯, 집괴된 황토 등이 들어있는 타일을 제2 단위 타일로 제작한 후, 상기 단위 타일을 각각 따로 이용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위 타일과 상기 제2 단위 타일을 인접하도록 부착하여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접하여 부착된 제1 및 제2 단위 타일이 연속 반복되도록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1 단위 타일과 제2 단위 타일을 부착한 것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단위 타일과 상기 제2 단위 타일의 나무 무늬결을 교차하도록 하면, 타일에 요구되는 뒤틀림 억제 특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단위 타일과 제2 단위 타일을 부착한 것 혹은 상기 제1 단위 타일과 제2 단위 타일을 연속 반복하여 부착한 것의 후면에 베니어 판과 같은 나무 판을 덧대도록 함으로써, 수요자가 수성 실리콘이나 핫멜트 봉에 의하여 건물의 내부의 천장이나 측벽등의 내벽면이나 바닥에 복수개의 타일을 쉽게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물론, 상기 타일의 형상은 원형, 마름모, 육각, 팔각 등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며, 상기 제1 단위 타일과 상기 제2 단위 타일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연결 목재를 더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달리 목재 타일을 구성하되,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황토 등을 그 타일 내부에 각각의 특성에 따른 특유한 구조로 내장시킴으로써, 환경 친화적 특성 및 건강 증진, 향상 기능을 갖도록 하고, 건축용 자재에 요구되는 특성을 갖도록 하며, 외관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1 - 옥을 내장하는 제1 목재 단위 타일]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옥(또는, 게르마늄이나 맥반석 등의 광물질)을 내장하는 건축용 목재 단위 타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단위 타일(10)은 먼저, 원목을 세절하여 타일 형상으로 가공 후, 가공된 타일 본체(1) 내부에 사각 기둥 형상의 함몰된 공간(5)을 형성하고, 그 공간(5) 내부에 옥(2)을 정합하도록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옥의 일면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즉, 노출되도록 끼워진다. 그 후, 상기 옥이 끼워져 있는 타일 본체(1)의 후면에는 나무판(9)을 덧대록 한다.
이와 같이, 원목에 의하여 제작된 타일의 내부 일측 공간에 옥과 같은 광물질을 내장시, 외부에서 보이도록 즉,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등의 효과를 높이고, 나아가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2 - 제1 단위 타일과 인접하여 부착된, 숯을 내장하는 제2 단위 타일]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제1 단위 타일에 인접하여 부착된, 숯(또는, 집괴된 황토 : 황토는 그 자체로 보유되는 경우 분산되어 목재 타일의 외부로 분산될 우려가 있으므로, 응집한 집괴체로서 내부에 보유되도록 한다)을 내장하는 제2 단위 타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1에서의 제1 단위 타일(10)에 제2 단위 타일(20)을 부착하는 데, 이때 제2 단위 타일(2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일을 만드는 과정에 있어서는, 먼저, 원목을 세절하여 타일 형상으로 가공 후, 가공된 타일 본체(1) 내부 일측(상기 실시예1의 경우와는 달리 타일 본체의 하부측)에 사각 기둥 형상의 공간(6)을 형성하고, 그 공간(6) 내부에 숯(4)을 채워 넣는다. 이때, 제1 단위 타일과 달리, 숯은 내부에 함유되도록, 즉 주위 타일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숯이 함유된 공간(6)의 상부의 타일부에는 예를 들어 5개의 관통 구멍(3)을 형성함으로써, 통기를 가능하게 하고 제습이나 전자파 차단 등의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상기 타일 본체(1)의 후면에는 나무판(9)을 덧대록 한다. 이와 같이 숯 이나 황토 등의 경우에 각 기능과 외관, 타일의 이용성을 고려하여 내부에 함유되도록 하여야 한다.
[실시예3 - 제1 단위 타일 및 제2 단위 타일을 복수개 구비하는 타일 집합체]
도 3a는 상기 제1 단위 타일과 제2 단위 타일을 부착한 것을 연속 반복적으로 배치한 타일의 집합체(30)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위 타일을 연속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특히 나무결을 교차하여 구성함으로써 뒤틀림 억제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앞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4 - 8각형 타일의 집합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일의 집합체(40)는, 단위 타일의 형상을 8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옥(2)을 내장하는 제1 단위 타일과 숯(4)을 내장하는 제 2 단위 타일과의 부착시 목질의 연결부재(7)를 덧붙여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4에 있어서도, 앞서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강 향상 부재를 내장하는 건축용 자재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특히 건축 내장용, 벽체, 천정, 바닥등의 타일을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환경친화적 특성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황토를 상기 목질 타일내에 내장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차단, 탈취, 제습 등의 효과를 주어 건강 증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황토 등이 각각에 특유한 방식으로 목재 타일 내부에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건강 향상 부재 각각의 건강 향상, 증진 기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건축용 자재로서 이용되기에 적합하며 편리하다.
나아가, 상기 건축용 타일은 복수개의 단위 타일을 연결하여 부착하는 경우, 상호 나무 무늬결을 교차하도록 함으로써 타일간 뒤틀림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옥을 내장하는 제1 단위 타일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제1 단위 타일에 인접하여 부착된, 숯을 내장하는 제2 단위 타일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제1 단위 타일과 제2 단위 타일을 부착한 것을 연속 반복하여 배치한 타일의 집합체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b는 도 3a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8각형 타일의 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목질 타일 본체 2 : 옥
3 : 관통 구멍 4 : 숯
5,6 : 내장 공간 9 : 덧댐 나무판
10 : 제1 단위 타일 20 : 제2 단위 타일
30 : 타일의 집합체 40 : 8각형 타일의 집합체

Claims (8)

  1. 건축용 자재에 있어서,
    상기 자재는 목질 자재이고, 상기 목질 자재의 내부 일측 공간에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목질 자재가 통상의 형상을 가지는 목질 타일이며, 상기 타일의 내부 일측 공간에 옥, 게르마늄, 맥반석,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는,
    옥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이 타일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보유되고, 상기 옥, 게르마늄 또는 맥반석의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공간에 보유되는 제1 목재 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 및 상기 제1목재 타일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제2 목재 타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목재 타일은,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타일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함유되며, 상기 숯 또는 집괴된 황토가 함유된 공간의 주위 타일 부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5. 제 4 항에 잇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과 상기 제2 목재 타일의 나무 무늬결이 상호 교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타일의 하부에 나무판이 덧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의 사방면에 상기 제2목재 타일이 부착되고, 또한 상기 제2 목재 타일의 사방면에 상기 제1 목재 타일이 부착되도록 연속 반복하여 상기 제1 목재 타일과 상기 제2 목재 타일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는,
    상기 제1 목재 타일과 상기 제2 목재 타일과의 사이에 목질의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KR20-2004-0032957U 2004-11-22 2004-11-22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KR200375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57U KR200375659Y1 (ko) 2004-11-22 2004-11-22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57U KR200375659Y1 (ko) 2004-11-22 2004-11-22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686A Division KR20060056557A (ko) 2004-11-22 2004-11-22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659Y1 true KR200375659Y1 (ko) 2005-03-11

Family

ID=4367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57U KR200375659Y1 (ko) 2004-11-22 2004-11-22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55B1 (ko) * 2006-04-27 2007-03-12 이호열 건축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555B1 (ko) * 2006-04-27 2007-03-12 이호열 건축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4474Y1 (ko) 흙 판넬
KR100881070B1 (ko) 한지원료인 천연의 닥 펄프와 황토를 주원료로 사용하여얻는 한지황토판재 및 그 이용방법
KR100359736B1 (ko) 다공성 건축자재 및 제조방법
CN102777007A (zh) 茶末复合装饰板
KR200375659Y1 (ko)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KR100448464B1 (ko) 볏짚을 주재로 한 건축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6552A (ko)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20060056557A (ko) 건강 향상 부재가 내장된 건축용 자재
KR101098187B1 (ko)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3527B1 (ko) 천연수지 맥반석층을 구비한 건축 바닥재용 판넬
KR20010000257A (ko) 건물 내벽 및 바닥 시공방법
KR100322480B1 (ko) 건물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3190A (ko)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9136A (ko) 건축용 황토 패널 제조방법
KR200364393Y1 (ko) 건축자재용 패널 부재
KR200248962Y1 (ko) 원적외선 방사 바닥재
KR20130141146A (ko)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4128B1 (ko) 보도용 또는 지압용 자연석을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63655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KR200341890Y1 (ko) 건축용 은광석 보드
KR200383003Y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제품
KR20140019133A (ko) 친환경 황토패널
KR101678019B1 (ko) 친환경 왕겨숯건축보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