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146A -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146A
KR20130141146A KR1020120064321A KR20120064321A KR20130141146A KR 20130141146 A KR20130141146 A KR 20130141146A KR 1020120064321 A KR1020120064321 A KR 1020120064321A KR 20120064321 A KR20120064321 A KR 20120064321A KR 20130141146 A KR20130141146 A KR 20130141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combustible
board
honeycomb co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옥
Original Assignee
김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옥 filed Critical 김문옥
Priority to KR102012006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146A/ko
Publication of KR2013014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3/7017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grating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mineral material which is not further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음 판넬을 이용한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문은 전면 불연 보드; 상기 불연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에 무기물 입자로 충진된 하니콤 코어; 상기 하니콤 코어의 후면에 형성된 부직포;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불연성 흡음판;을 포함하는 불연성 흡음 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문은 제조가 간편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흡음 특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ACUSTIC ABSORBTION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음 판넬을 이용한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음문은 문에 방음판을 부착하는 형태를 이룬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2010-11256호에서는 방문과 동일한 사이즈를 가진 상태에서 방음 소재로 이루어진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방문의 문고리에 부착되는 부위를 관통 형성한 홈을 포함하는 방음커버를 부착한 문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24400호에서는 도어의 전, 후 판넬 내벽에 골판지를 접착시키고 이들의 사이에 각목으로 재단된 SOFT MDF들을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 내장시켜 도어의 방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925577호에는 철제로 이루어진 문의 외벽에 장식판을 접착하여 방화특성과 흡음 특성을 개선한 문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들은 외벽이 막혀 있어, 소리가 문에 부딪혀 반사하게 되므로 소음 제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문의 외벽뿐만 아니라 문의 내부로도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 제거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새로운 문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음성과 불연성이 뛰어난 새로운 흡음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방음성과 불연성이 뛰어난 새로운 흡음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방음성과 불연성이 뛰어나면 표면에 미려한 장식이 가능한 새로운 흡음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방음성과 불연성이 뛰어난 흡음문 제조용 흡음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방음성과 불연성이 뛰어난 흡음 판넬을 이용하여 천정 흡음판, 흡음 벽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면 불연 보드; 상기 불연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에 무기물 입자로 충진된 하니콤 코어; 상기 하니콤 코어의 후면에 형성된 부직포; 및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불연성 흡음판;을 포함하는 불연성 흡음 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 불연 보드, 후면 불연성 흡음판, 또는 전면 불연보드나 후면 불연성 흡음판의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데코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층은 불연 또는 난연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데코층은 HPM, 곤죽, 또는 ABS 성형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PM은 필름 형태로 불연보드의 표면에 부착하여 데코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HPM은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곤죽은 수지나 무기물을 곤죽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롤러로 가공하여 돌출 문양을 형성하는 데코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데코층이 불연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무기물 곤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곤죽은 황토, 점토, 화산석 가루, 수산화 알루미늄, 경탄 등과 같은 각종 천연 무기물을 바인더, 용매, 안료 등과 혼합한 고점도 페이스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바인더, 아크릴 바인더을 단독 또는 다른 바인더들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료는 공지된 다양한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제는 물이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롤러 가공 후 쉽게 증발될 수 있도록 아세톤이나 메탄올과 같은 저비점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무기물 곤죽은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인더 10-100 중량부, 안료 0.1-10 중량부, 용제 5-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곤죽 데코층은 무기물 곤죽을 판재 위에 토출한 후, 롤러를 가공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곤죽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는 정해균에게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790033호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판재에 곤죽을 토출한 후 문양이 새겨진 음각 또는 양각 롤러를 이용하여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ABS 성형판재는 ABS 판재를 진공 성형하고, 이를 불연 보드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다. 성형된 판재 중 평평한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 불연보드는 문에 기본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형성되며, 불에 타지 않는 철판, 합금판, 또는 무기물 판재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GI철판, 마그네슘보드, 또는 황토보드 등을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니콤 코어는 상하부가 개방된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태의 단위 셀들이 다수개가 반복적으로 연접된 형태를 이룬 제품을 의미하며, 전형적으로는 하니콤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단위셀들이 반복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니콤 코어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들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재질로는 알루미늄, 철,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니콤 코어판의 높이는 전형적으로는 10~40 mm 정도의 높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문의 두께에 따라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니콤 코어의 중심부는 무기물 입자로 충진되어, 후면 불연성 흡음판에 형성된 타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소음들이 무기물 입자들의 사이 또는 무기물 입자에 형성된 작은 구멍들을 통해서 흡음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들을 황토볼, 숯, 토르말린 입자와 같은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는 친환경적 재료로 사용할 경우, 상기 후면 불연성 흡음판에 형성된 타공들을 통해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는 친환경 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니콤 코어의 테두리부는 액상의 수지가 충진된 후 경화되면서 전면 및 후면 판재간에 기본적인 결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수지는 에폭시나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니콤 코어판에 충진되는 액상의 수지는 테두리부 이외에도 손잡이가 형성되는 부분과 경첩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손잡이와 경첩을 지지하기 위해서 수지가 충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하니콤 코어판에 충진되는 무기물 입자들이 후면 불연성 흡음판에 형성된 타공들을 통해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무기물 입자들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이나 원적외선 등을 투과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불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이바글라스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불연성 흡음판은 불연판재를 관통하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판재로서, 무기물 판재, 철판, 합금 판재 등에 다수의 원형 타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타공을 통해서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하니콤 코어 내부로 유입된 후 흡수되어 소멸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불연성 흡음판의 표면에는 전면 불연 판재와 같이, 데코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데코층의 종류는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타공은 데코층이 형성된 불연 판재를 타공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타공 후 부직포를 부착하여 하니콤 코어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전면 보드; 상기 전면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흡음재가 충진되고, 테두리부에 수지가 충진된 하니콤 코어;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흡음판;을 포함하는 흡음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서, 전면 보드; 상기 전면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흡음재가 충진되고, 테두리부에 수지가 충진된 하니콤 코어;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흡음판;을 포함하는 흡음 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음 판재는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돌출부와 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전면 판재에 하니콤 코어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하니콤 코어판의 중심부에는 흠음부재를 충진하고 상기 하니콤 코어판의 테두리에는 수지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하니콤 코어판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판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흠음 부재가 타공을 통해서 유출될 수 있는 형태일 경우,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판재에는 부직포가 부착되어 상기 흡음 부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판재와 하니콤 코어의 부착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니콤 코어와 판재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발포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발포성 접착제는 단열, 흡음 등의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문은 흡음 부재와 문이 일체로 형성되어 문과 흡음판이 별도로 필요한 종래 흡음문에 비해서 효율적이며, 타공판을 통해서 문의 내부로 소음을 흡수되어 소멸됨으로써 소음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음문은 내부 소재와 외부 소재의 재료 대부분을 불연성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화재시 불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문에 충진되어 있는 친환경 입자들로 인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이나 원적외선 방출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문의 테두리 부위를 수지를 부어 충진하여 접착시킴으로써, 하니콤 코어를 사용하면서도 문의 기밀성이나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흡음문 제조 과정에서 데코필름이 형성된 전면의 불연보드에 하니콤 코어판이 부착된 상태의 (a)단면도, (b)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흡음문 제조 과정에서 하니콤 코어판의 중심부에 황토볼이 충진되고 하니콤 코어판의 테두리에는 수지가 충진된 상태의 (a)단면도, (b)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흡음문 제조 과정에서 데코 필름이 부착된 불연성 흡음 보드에 부직포가 부착된 상태의 (a) 단면도, (b)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반제품과 도 4의 반제품이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흡음문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니콤 코어판의 중심부와 주변부에 균일하게 황토가 충진된 상태의 불연성 흡음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흡음문으로 제조하기 전의 불연성 흡음 보드의 단면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는 유념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불연성 흡음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의 표면에는 HPM 필름으로 전면 데코층(10)이 형성되고, 전면 데코층(10)의 배면에는 마그네슘 보드로 이루어진 불연보드(20)가 형성된다. 불연보드(20) 배면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코어판(30)이 부착된다. 허니콤 코어판(30)의 테두리부(31)에는 수지가 충진되고, 중심부(32)에는 무기물 입자로 황토볼(33)이 충진된다. 허니콤 코어판(30)의 배면에는 무기물 입자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이바글라스 부직포(40)가 형성되고, 하이바글라스 부직포(40)의 배면에는 7 mm 지름의 다수의 홀이 천공된 마그네슘 보드를 이용하여 불연성 흡음보드(50)을 형성된다. 상기 흡음성 불연 보드의 표면에는 HPM 필름이 천공되어 후면 데코층(60)으로 형성되어 불연성 흡음문(100)을 이룬다.
불연성 흡음문(100)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슘 보드에 HPM필름을 부착해서 전면의 데코층(10)과 불연보드(20)을 형성하고, 여기에 허니콤 코어판(30)을 부착하였다. 허니콤 코어판(30)과 불연보드(20)의 부착은 나사못이나 타카를 이용하여 물리적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성 접착제를 불연보드에 얇게 바른 후 허니콤 코어판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데코층(10)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하니콤 코어판(30)의 테두리부(31)에는 경화형 수지, 일예로 에폭시 수지를 충진하고 하니콤 코어판(30)의 중심부(32)에는 황토볼을 충진하였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마그네슘 보드에 HPM필름을 부착한 후 7 mm 정도의 지름으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후면 데코층(60)과 불연성 흡음 보드(50)을 제조하였다. 천공되는 구멍의 갯수나 모양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무기물 입자가 충진되는 영역에 천공이 이루어진다. 불연성 흡음 보드(50)에 화이바글라스 부직포(40)을 부착하였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볼과 에폭시 수지가 충진된 하니콤 코어판과 화이바글라스 부직포(40)가 부착된 불연성 흡음보드(50)를 부착하고, 충진된 수지를 경화시켰다. 손잡이가 부착되는 부위에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뚫고 경첩을 붙였으며, 수지와 하니콤 코어판이 노출되는 에지부위의 측면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된 에지용 시트(70)를 붙여서 마무리함으로서, 불연성 흡음문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불연성 흡음문
실시예 1에서 전면의 불연보드(20)에 HPM 필름 대신 무기물 곤죽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불연성 흡음문을 제조하였다. 무기물 곤죽층은 전면의 마그네슘 보드에 점도, 수산화 알루미늄, 및 경탄을 동량으로 혼합한 무기물 10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와 아크릴 바인더를 동량으로 혼합한 바인더 30 중량부, 백색 안료 5 중량부, 및 유기 용제 20 중량부를 믹서기에 넣고 믹싱한 후, 이를 압출기에 넣고 마그네슘 보드의 표면에 토출한 후, 장식 무늬가 음각으로 새겨진 회전 롤러로 가공하여 형성하였다. 건조기를 통과시켜 이를 건조시켰다.
실시예 3
흡음문
실시예 1에서 전면의 불연 보드 대신 목재 보드를 사용하고, 허니콤 코어판으로 종이 재질의 허니콤 코어판을 사용하고, 불연성 흡음보드 대신 천공된 목재보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가볍고 저렴한 흡음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불연성 흡음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의 표면에는 HPM 필름으로 전면 데코층(10)이 형성되고, 전면 데코층(10)의 배면에는 마그네슘 보드로 이루어진 불연보드(20)가 형성된다. 불연보드(20) 배면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코어판(30)이 부착된다. 허니콤 코어판(30)에 전체적으로 황토와 발포성 수성 우레탄 접착제를 혼합하여 부어서 흡음재(34)로 충진하였다. 배면에 7 mm 지름의 다수의 홀이 천공된 마그네슘 보드를 이용하여 불연성 흡음보드(50)을 형성된다. 상기 흡음성 불연 보드의 표면에는 HPM 필름이 천공되어 후면 데코층(60)으로 형성되어 불연성 흡음문(100)을 이룬다. 황토 흡음재와 허니콤 코어판이 노출되는 문의 측단면에는 HPM 필름이 부착된다.
상기 불연성 흡음문(100)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마그네슘 보드에 HPM필름을 부착해서 전면의 데코층(10)과 불연보드(20)을 형성하고, 여기에 허니콤 코어판(30)을 부착하였다. 허니콤 코어판(30)과 불연보드(20)의 부착은 나사못이나 타카를 이용하여 물리적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성 접착제를 불연보드에 얇게 바른 후 허니콤 코어판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별도로 마그네슘 보드에 HPM필름을 부착한 후 7 mm 정도의 지름으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후면 데코층(60)과 불연성 흡음 보드(50)을 제조하였다. 황토가 하니콤 코어판의 셀들을 충진하게 되므로 별도의 부직포는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손잡이 부착되는 부위에 구멍을 뚫고 경첩을 붙여서 불연성 흡음문을 완성하였다.

Claims (15)

  1. 전면 불연 보드;
    상기 불연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에 무기물 입자로 충진된 하니콤 코어;
    상기 하니콤 코어의 후면에 형성된 부직포;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불연성 흡음판;
    을 포함하는 불연성 흡음 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불연 보드 또는 후면 불연성 흡음판의 표면에 데코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 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콤 코어의 테두리부는 수지로 충진되고, 중앙부는 무기물 입자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불연보드는 CRC, GI철판, 마그네슘보드, 또는 황토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층은 HPM, 곤죽, 또는 ABS 성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콤 코어는 알루미늄 또는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문.
  7. 제1항에 있어서, 무기물 입자는 숯, 황토, 또는 토르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문.
  8. 제1항에 있어서, 부직포는 하이바글라스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문.
  9. 전면 보드;
    상기 전면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흡음재가 충진되고, 테두리부에 수지가 충진된 하니콤 코어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흡음판;
    을 포함하는 흡음문.
  10. 전면 보드;
    상기 전면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에 흡음재가 충진된 하니콤 코어;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흡음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가 하니콤 코어판의 중심부에는 흡음재가 충진되고, 테두리부에는 수지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가 하니콤 코어에 전체적으로 충진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흡음 문.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와 흡음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액상의 수지와 흡음재가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문.
  14. 전면 보드;
    상기 전면 보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중심부에 흡음재가 충진되고, 테두리부에 수지가 충진된 하니콤 코어;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후면 흡음판;
    을 포함하는 흡음 판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판재의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돌출부와 홈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판재.
KR1020120064321A 2012-06-15 2012-06-15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41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21A KR20130141146A (ko) 2012-06-15 2012-06-15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21A KR20130141146A (ko) 2012-06-15 2012-06-15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46A true KR20130141146A (ko) 2013-12-26

Family

ID=4998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321A KR20130141146A (ko) 2012-06-15 2012-06-15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1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15B1 (ko) * 2019-03-06 2019-09-17 이원용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20190002617U (ko) * 2018-04-11 2019-10-21 (주)엘지하우시스 소음 차단성이 향상된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617U (ko) * 2018-04-11 2019-10-21 (주)엘지하우시스 소음 차단성이 향상된 도어
KR102022215B1 (ko) * 2019-03-06 2019-09-17 이원용 결로 방지용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393A (zh) 结合微粒基质的实用材料
KR20120046688A (ko) 실내공기질을위한미장천연목재숯보드목질재료복합체의흡착흡음구조와제조방법
PT2362831T (pt) Produto compósito com efeito de superfície
KR101551542B1 (ko) 건축용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205818594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环保型pvc壁纸
CN101014462A (zh) 功能木炭板片层的制造方法
KR101523577B1 (ko) 직물 마감된 목재 흡음판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20130141146A (ko) 흡음문 및 그 제조 방법
CN103758276B (zh) 结合微粒基质的墙板材料
CN102777007A (zh) 茶末复合装饰板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N205997440U (zh) 新型多功能家装用生态板
KR20060088173A (ko) 목재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675B1 (ko) 인테리어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인테리어용 패널
KR200426223Y1 (ko) 건물용 실내 내장재
CN206987250U (zh) 一种硅藻石膏吸声板
KR20170093564A (ko)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성형물
KR20140025882A (ko) 에어로젤이 구비된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KR20140113068A (ko) 점탄성 폴리머 쉬트를 이용한 복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207714530U (zh) 具有吸音效果的复合木板
KR200401927Y1 (ko) 기능성 매트
CN207130908U (zh) 一种聚酯纤维吸音板
KR20100025799A (ko)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KR100702916B1 (ko) 기능성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