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796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796Y1
KR200374796Y1 KR20-2004-0030743U KR20040030743U KR200374796Y1 KR 200374796 Y1 KR200374796 Y1 KR 200374796Y1 KR 20040030743 U KR20040030743 U KR 20040030743U KR 200374796 Y1 KR200374796 Y1 KR 200374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certificate
picture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선
Original Assignee
쓰리라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라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0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형성된 액자에 주위의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액자의 틀에 변화를 주어 단순한 이미지를 벗어남과 동시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며,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액자의 색깔이 변화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통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색깔이 도색된 전면패널; 소정의 색깔이 도색된 상태로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띠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단결합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2통공이 형성된 중간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된 제1통공을 통해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볼 수 있도록 일측에 보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패널의 다단결합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액자에 설치하고, 나머지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액자 내에 함께 보관하므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사진, 상장, 인증서 등에 묻지 않으며, 별도로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보관하지 안으므로 필요시 바로 교체하여 개재하고,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띠패널을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교환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느낌의 액자를 장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자{The picture-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형성된 액자에 주위의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액자의 틀에 변화를 주어 단순한 이미지를 벗어남과 동시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며,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액자의 색깔이 변화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각종 그림이나 사진 등의 장식물을 끼워 벽면에 설치하는 장식용 액자는 사각형틀의 프레임과 이에 장식물을 끼워 고정하는 후면판으로 구성된다. 즉, 사각의 프레임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부의 걸림턱에 장식물과 후면판을 끼우고, 이에 핀 등의 고정구로써 후면판을 고정하여 장식물을 액자에 끼우고, 이를 벽면에 설치하여 장식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하나의 프레임이 하나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사각 프레임의 표면에 각종 장식문양을 조각하거나 채식하여 장식미를 더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순 사각형틀의 프레임으로 된 액자는 그림이나 사진 등과 같이 액자에 끼워지는 장식물에 의한 장식 효과만을 기대하게 되고, 이에 더하여 장식하고자 하는 경우는 사각프레임의 표면에 장식문양이나 채색에 의한 장식만 가능하였다. 이는 사각 프레임만이 장식을 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므로 장식의 효과를 줄 수 있는 공간이 프레임 외에는 없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는 장식의 효과에 큰 제한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액자의 틀을 소정의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액자에 소정의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갖는 띠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의 환경, 액자의 틀의 다양한 변화 등을 꽤할 수 있도록 한 액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액자 틀에 설치되는 띠패널에 다양한 색상을 입혀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골라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계절에 따라 색상이 온도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여 계절의 분위기에 맞는 액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에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개재할 수 있도록 소정의 틀로 형성되는 액자에 있어서, 전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통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색깔이 도색된 전면패널; 소정의 색깔이 도색된 상태로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띠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단결합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2통공이 형성된 중간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된 제1통공을 통해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볼 수 있도록 일측에 보관부가 형성되며, 보관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를 가지며 상기 중간패널의 다단결합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자 10 : 전면패널
11 : 제1통공 12 : 안착홈
13 : 결합홀 14 : 결합턱
20 : 띠패널 21 : 끼움돌기
30 : 중간패널 31 : 제2통공
32 : 다단결합부 40 : 후면패널
41 : 보관부 42 : 결합돌기
43 : 제1탄성체 44 : 제2탄성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에 의한 액자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자(1)는 파도모양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결합턱(14)이 형성된 전면패널(1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10)의 소정 위치에 둘레를 따라 안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2)의 소정 위치에는 결합홀(13)이 형성되고, 사진, 인증서, 상장 등이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도록 제1통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0)에 형성된 안착홈(12)에는 액자(1)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띠패널(20)이 설치되고, 상기 띠패널(20)의 배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안착홈(12)에 형성된 결합홀(13)에 설치될 수 있도록 그 결합홀(13)의 형상과 동일한 끼움돌기(21)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0)에 형성된 제1통공(11)과 같은 크기의 제2통공(31)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패널(1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단결합부(32)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중간패널(30)이 설치되고, 상기 중간패널(30)이 상기 전면패널(10)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패널(30)의 배면에는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이 개재되는 후면패널(40)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패널(40)은 일측면에는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이 개재되거나 보관 될 수 있도록 이격돌기를 갖는 보관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41)의 양측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제1탄성체(43)와 제2탄성체(4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관부(41)의 이격돌기는 상기 후면패널(40)이 중간패널(30)과 결합될 시에 보관부(41)에 일정한 높이가 형성되어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이 개재 또는 보관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면패널(40)에 형성된 보관부(41)의 둘레를 따라 일측이 절곡된 상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패널(30)의 형성된 다단결합부(32)에 끼움방식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최하단부와 상기 주간패널의 최하단부는 같은 위치에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띠패널(20)에는 여러 종류의 색이 도색되며, 상기 띠패널(20)에 도색되는 색은 상기 전면패널(10)이 갖는 색과 다른 색이 도색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띠패널(20)은 제조업자에 의해 시중에서 띠패널(20)만을 별도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의 띠패널(20)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액자(1)에 대하여 실증을 느낄 때 새로운 변화를 줄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지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띠패널(20)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될 수 있도록 도색하여 계절에 따라 띠패널(20)의 색이 변화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면패널(10) 또한 상기 띠패널(20)과 같이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도색하여 계절에 따라 액자(1)와 띠패널(20)이 각기 다른 색을 표출되어 식상함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액자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조공장에서 금형을 소정 형상을 갖는 전면패널(10), 중간패널(30), 후면패널(40) 및 띠 패널을 형성하고,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전면패널(10)과 띠패널(20)에 사용자가 식상함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색하거나 또는 온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도록 도색을 하여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10)과 띠패널(20)에 도색이 완료되면, 제조공장에서는 액자(1)를 구성하기 위하여 결합시키는데, 전면패널(10)에 형성된 안착홈(12)에는 띠패널(20)이 안착되도록 하고, 이때 안착홈(12)에 설치되는 띠패널(20)의 배면 각 모서리에 형성된 끼움돌기(21)를 안착홈(12)의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홀(13)에 결합시킨다.
상기 띠패널(20)이 결합된 전면패널(10)의 배면에 중간패널(30)을 결합시키고, 중간패널(30)의 다단결합부(32) 일측단이 상기 전면패널(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턱(14)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패널(10)에 형성된 제1통공(11)과 중간패널(30)에 형성된 제2통공(31)이 같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전면패널과 중간패널(30)을 결합한 상태에서 중간패널(30)의 단단결합부의 배면에 후면패널(40)을 설치하는데, 이때 중간패널(30)의 다단결합부(32)의 최하단이 후면패널(40)의 최하단과 같은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후면패널(40)은 상기 중간패널(30)의 배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형상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자(1)에 형성된 보관부(41)에 사진, 상장, 인증서 등과 같은 것을 개재하기 위해서는 중간패널(30)에 설치된 후면패널(40)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보관부(41)의 결합돌기(42)에 설치된 제1탄성체(43)와 제2탄성체(44)에 끼우는 것만으로 사진, 상장, 인증서가 액자(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부(41)에 형성된 제1탄성체(43)와 제2탄성체(44)는 보관부(41)의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장의 사진, 상장, 인증서 중 어느 하나 만이 보관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장을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으며, 이때 액자(1)의 전면패널(10)쪽으로 어떠한 것을 위치시키느냐에 따라 전면패널(10)의 제1통공(11)을 통해 표출되는 것이 틀리고, 표출되는 사진, 상장, 인증서의 뒤에 다른 사진, 상장, 인증서를 같이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액자(1)가 식상하게 느껴지는 경우 사용자는 전면패널(10)의 전면에 설치된 띠 패널을 분리하여 다른 색깔로 도색되어 형성된 띠패널(20)을 설치하므로 사용자는 새로운 느낌이 드는 액자(1)를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면패널(10)에 설치되는 띠패널(20)은 액자(1)를 판매할 시에 띠패널(20)을 하나 더 첨부하여 판매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여러 색깔로 형성된 띠패널(20)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액자의 효과를 설명하면,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액자에 설치하고, 나머지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액자 내에 함께 보관하므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사진, 상장, 인증서 등에 묻지 않으며, 별도로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보관하지 안으므로 필요시 바로 교체하여 개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띠패널을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교환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느낌의 액자를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패널 또는 띠패널에 도색되는 색체를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색체를 도색하여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에 따라 색체가 변화되어 식상함을 느끼지 못하는 액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실내의 벽면에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개재할 수 있도록 소정의 틀로 형성되는 액자(1)에 있어서,
    전면에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통공(11)이 형성되며, 소정의 색깔이 도색된 전면패널(10);
    소정의 색깔이 도색된 상태로 상기 안착홈(12)에 설치되는 띠패널(20);
    상기 전면패널(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단결합부(3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2통공(31)이 형성된 중간패널(30);
    상기 전면패널(10)에 형성된 제1통공(11)을 통해 사진, 상장, 인증서 등을 볼 수 있도록 일측에 보관부(41)가 형성되며, 보관부(41)의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42)를 가지며 상기 중간패널(30)의 다단결합부(32)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면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패널(20)은 전면패널(10)에 형성된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 또는 띠패널(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계절에 따른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41)에는 결합돌기(4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탄성체(43);
    상기 제1탄성체(43)의 대응되는 곳의 결합돌기()에 설치되는 제2탄성체(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04-0030743U 2004-10-30 2004-10-30 액자 KR200374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43U KR200374796Y1 (ko) 2004-10-30 2004-10-30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43U KR200374796Y1 (ko) 2004-10-30 2004-10-30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796Y1 true KR200374796Y1 (ko) 2005-02-03

Family

ID=4935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743U KR200374796Y1 (ko) 2004-10-30 2004-10-30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7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3739B2 (en) Display of pictures in decorative settings
US6412744B1 (en) Monitor mounted personal organizer
US6209248B1 (en) Picture frame
EP1191868A1 (en) Display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9254708B2 (en) Decorative back appliqué for folding chairs
KR200374796Y1 (ko) 액자
US5946838A (en) Mailbox clip having detachable decorative panels
US6472038B1 (en) Exchangeable decorative frame cover
KR200374797Y1 (ko) 액자
JP3227551U (ja) 装飾用置物
US20110146125A1 (en) Picture frame assembly
KR200360921Y1 (ko) 액자형 벽걸이 시계
JP3222915U (ja) 壁掛けフック
US20130216735A1 (en) Interchangeable decoration system
USD440503S1 (en) Front panel of an electronic compass and temperature display
JP3234546U (ja)
GB2353470A (en) Display device with removable fascia
KR200342988Y1 (ko) 액자
KR200220840Y1 (ko) 동양화용 액자틀
KR200186758Y1 (ko) 장식용 시계
KR200253471Y1 (ko) 액자
KR200197916Y1 (ko) 홀로그램 시계
JP3104479U (ja)
KR200216448Y1 (ko) 액자
KR200439897Y1 (ko) 거울 기능을 갖는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