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916Y1 - 홀로그램 시계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916Y1
KR200197916Y1 KR2020000008215U KR20000008215U KR200197916Y1 KR 200197916 Y1 KR200197916 Y1 KR 200197916Y1 KR 2020000008215 U KR2020000008215 U KR 2020000008215U KR 20000008215 U KR20000008215 U KR 20000008215U KR 200197916 Y1 KR200197916 Y1 KR 200197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clock
watch
presen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네스 택 김
Original Assignee
케네스 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네스 택 김 filed Critical 케네스 택 김
Priority to KR2020000008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9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의 문자반을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으로 구성한 홀로그램 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는 문자반(1)과, 프레임(2)과, 전면 유리(3)와, 시각 표시용 문자부(4)와, 시침 및 분침(5)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시계에 있어서, 문자반(11)을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16)으로 구성하고 시각 표시용 문자부(14)는 별도로 전면 유리(13)의 배면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구성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시계의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며 또한 눈에 가장 잘 띠는 부분인 문자반을 보통 2개에서 6개정도 까지의 그림이나 사진을 겹쳐 만들어 다양한 색채와 무늬가 입체적으로 표현된 홀로그램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계의 장식적 미감 향상은 물론 홀로그램판에 새겨지는 그림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달리하여 시계 본연의 기능 뿐만 아니라, 교육용 또는 홍보용등의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디자인과 실용성에 각기 계층의 소비자에 맞도록 하여 다양한 변모를 줄 수 있으므로 소비자로 하여금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도록 하고 기대심리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싫증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점까지도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 시계{Hologram watch}
본 고안은 시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시계의 문자반을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으로 구성하여 장식적 미감의 증대를 도모하고 더 나아가 교육적 효과나 홍보효과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도록 고안된 홀로그램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반, 프레임, 전면유리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시계에 있어서, 종래의 문자반은 무늬가 없거나 단순히 제작사의 상호만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문자,그림,도안등은 대부분 평면으로 처리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시계 디자인 경향은 프레임의 색상이나 형태에 촛점을 맞춘 것으로서, 시계의 가장 넓은 부분을 차지하고, 눈에 가장 잘 띠는 문자반에는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았다.
이러한 단순한 형상의 시계 디자인은 인테리어 감각이 중요시되는 현재의 추세에 부합되지 못하며 또한, 장식의 효과가 떨어지는등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한다는 점과 단조로운 디자인과 색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게 되며 또한, 단지 시계 본래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제품화 되어있는 것은 사용자들이 쉽게 싫증을 내게 되고 심지어는 재구입을 하게되는 경우도 있어 경제적인 낭비가 초래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벽시계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는 기본적으로 문자반(1)과, 프레임(2) 및 전면유리(3)과, 상기 문자반의 전면에 새겨지는 시각 표시용 문자부(4)와, 상기 문자반의 중앙에 부설되는 시침 및 분침(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문자반은 시계의 가장 넓은 부분을 차지하며 눈에 가장 잘 띠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시각 표시용 문자부만이 새겨져 있거나 그림,도안,문자등이 평면으로 처리되어 있는등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계는 시계 본래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으로 특별히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는 종래의 문자반을 여러가지 형태의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으로 구성하여 시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에 설명한 단점등을 보완하고, 문자반을 구성하는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에 다양한 변모를 주어 그로 인하여 장식적 미감을 증대시키고 교육효과나 홍보효과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발휘하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고안은 다양한 그림과 사진이 겹쳐 만들어져 입체 영상을 띠며, 어떤 분명한 응용가치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작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자봉지안에 들어있어 아이들의 관심을 끄는 정도의 홀로그램판이나 스티커에 불과했던 홀로그램을 시계의 문자반으로 활용하여, 다기능을 갖는 홀로그램 시계를 제공한다는 점에 기술적 주안점을 두고 있다.
도1은 종래의 벽시계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 시계의 일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3의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시계의 홀로그램판에 형성되는 그림이 사용자의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달리 보여지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4의 (가),(나)는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 시계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가)는 탁상시계이고,
(나)는 손목시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문자반 12. 프레임
13. 전면 유리 14. 시각 표시용 문자부
15. 시침 및 분침 16. 홀로그램판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다양한 그림이 겹쳐 배열되어 만들어져 입체 영상이 표현되는 홀로그램판을 문자반으로 구성하고, 시각 표시용 문자부는 별도로 상기 문자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유리의 배면에 표시된 구조로 되어있는 홀로그램 시계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에 사용되어질 홀로그램판에 있어서 홀로그램이란 홀로그래피 파동의 간섭현상을 이용하여 상을 재생시킨 것으로서, 보통 2개에서 6개까지의 그림이나 사진을 겹쳐 만들어 보는 각도에 따라 달리 보여 입체 영상으로 보이도록 표현된 것을 말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 시계에 있어서, 시각 표시용 문자부를 문자반에 표시하지 않고 전면 유리의 배면에 표시하는 것은 문자반을 구성할 홀로그램판에 문자부를 표시하는것은 다소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홀로그램판에 직접 문자부를 표시하게 되면 입체적인 상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시각 표시용 문자부는 별도로 전면 유리의 배면에 표시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 표시용 문자부는 여러가지 숫자, 그림, 도안등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그 모양이나 색상등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는 그 문자반을 입체적인 상을 재현시킬 수 있는 홀로그램판과 같은 입체 영상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시계가 가졌던 통상의 기능이외에 여러가지 형태와 색상의 홀로그램판이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장식의 기능이나 교육의 기능등의 소비자들이 원하는 여러가지 기능을 갖도록 한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될 홀로그램판은 일반적으로 2개에서 6개까지의 그림(또는 사진)이 겹쳐진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홀로그램판에 있어서 그 특징은 홀로그램판 하나에 그림이나 사진이 여러개가 겹쳐져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판의 상에 입체감을 갖는다는 것이며, 그런 특징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홀로그램판을 사용함으로써 여러가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에 대한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구체적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 시계의 일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문자반(11)과 프레임(12) 및 전면유리(13)와, 시각 표시용 문자부(14)와, 시침 및 분침(15)과, 홀로그램판(16)으로 이루어진 홀로그램 시계(10)에 있어서 문자반(11)에 통상적으로 표시되던 시각 표시용 문자부(14)는 프레임(12)에 끼워져 있는 전면 유리(13)의 배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그림이나 사진이 입체적으로 보여지는 홀로그램판(16)은 문자반(11)을 구성한다.
이때 홀로그램판(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반(11)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홀로그램판(16)의 두께에 따라서는 상기 홀로그램판(16) 자체가 시계의 문자반(11)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말하면, 홀로그램판(16)이 문자반(11)을 대신할 만큼의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경우, 별도의 문자반(11)을 필요로 하지 않을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홀로그램 시계(10)에 사용되어지는 홀로그램판(16)의 사용자의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달리 보여지는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임의의 각도에 따라 하나의 홀로그램판(16) 안에 겹쳐진 서로 다른 두개의 그림이 각각 보여진다. 여기서는 하나의 홀로그램판(16) 안에 겹쳐지는 두개의 그림을 각각 올챙이(16a)와 개구리(16b)로 구성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가)와 (나)의 두가지 형태로 보여지게 되는데, 여기서는 주로 아이들을 위한 교육적 측면을 강조한 실시예로 볼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가)와 실시예(나)는 본 고안에 따른 홀로그램 시계의 다른 실시예들의 사시도이다.
실시예(가)는 원형의 탁상시계(20)로서 프레임(22)과, 전면 유리(23)와, 시각 표시용 문자부(24)와, 시침 및 분침(25)과, 홀로그램판(26)과, 지지판(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몇가지 그림이 겹쳐진 홀로그램판(26)을 시계의 문자반으로 사용한 것으로, 시각 표시용 문자부(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 유리(23)의 배면에 표시된다.
실시예(나)는 손목시계(30)로서 프레임(32)과, 전면 유리(33)와, 시각 표시용 문자부(34)와, 시침 및 분침(35)과, 홀로그램판(36)과, 시계줄(3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요즘 어린 아이들이 너무나 좋아하는 몇가지의 만화 캐릭터가 겹쳐져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36)으로 문자반을 대신하였고, 시각 표시용 문자부(34)는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전면 유리(33)의 배면에 표시된다.
여기서는 주로 어린이의 취향에 맞도록 홀로그램판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몇가지 그림을 겹쳐 만들어진 홀로그램판을 이용한 홀로그램 시계의 실시예인 (가)와 (나)는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장식적 미감의 증대까지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는 여러가지의 그림이나 사진이 겹쳐져 입체 영상으로 표현되는 홀로그램판(16)을 시계의 문자반(11)에 부착하거나 그 두께에 따라서 홀로그램판(16) 자체를 문자반(11)으로 사용하고, 시각 표시용 문자부(14)는 별도로 시계의 전면 유리(13)의 배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홀로그램판은 단지 두가지의 그림만 겹쳐진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홀로그램판의 그림이나 사진의 종류나 겹쳐지는 숫자 또는 각각의 색상에 따라 홀로그램 시계가 여러가지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는 문자반을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으로 구성한 구조로서, 시계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홀로그램판과 같은 입체 영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홀로그램판에 나타나는 겹쳐지는 그림과 사진의 종류나 갯수, 색상등 그 형태를 달리 함으로써 디자인과 실용성에 다양한 변모를 줄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홀로그램 시계는 장식의 미감을 증대시키고 디자인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요즘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각기 계층의 소비자들의 취향이나 목적에 맞는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기대 심리도 크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문자반(1)과, 프레임(2)과, 전면 유리(3)와, 시각 표시용 문자부(4)와, 시침 및 분침(5)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시계에 있어서, 상기 문자반(11)이 입체 영상을 띠는 홀로그램판(16)으로 이루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의 시각 표시용 문자부(14)는 전면 유리(13)의 배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탁상시계, 손목시계, 괘종시계 그리고 벽시계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시계.
KR2020000008215U 2000-03-23 2000-03-23 홀로그램 시계 KR200197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15U KR200197916Y1 (ko) 2000-03-23 2000-03-23 홀로그램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15U KR200197916Y1 (ko) 2000-03-23 2000-03-23 홀로그램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916Y1 true KR200197916Y1 (ko) 2000-10-02

Family

ID=1964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215U KR200197916Y1 (ko) 2000-03-23 2000-03-23 홀로그램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9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7878A (ko) 문자판이 시계 유리에 일체로 구비된 시계 조립체
KR200197916Y1 (ko) 홀로그램 시계
KR100828475B1 (ko) 외장 테두리 교체형 휴대용 액세서리
Hallett The Medley Print in Early Eighteenth–Century London
US2090837A (en) Die
JP3220784U (ja) フロント部にボードを備えたメガネ
KR200392923Y1 (ko) 액자를 구비한 스케치북
KR200360921Y1 (ko) 액자형 벽걸이 시계
JP3246762B2 (ja) 腕時計の表示板の構造
JP2001010298A (ja) バッグ等に使用する装飾模様付きシート
KR200179190Y1 (ko) 광고 퍼즐
KR200363658Y1 (ko) 시간 표시판이 뒤집혀진 벽시계
KR200334882Y1 (ko) 종이액자
KR200360172Y1 (ko) 탁상용 달력
KR100721115B1 (ko) 액자 기능을 갖는 투명체 장식구
KR200238417Y1 (ko) 사진 삽입용 포켓이 구비된 시계
KR200403636Y1 (ko) 주문형 문자표시부를 갖는 시계
KR200186758Y1 (ko) 장식용 시계
KR200374796Y1 (ko) 액자
JPH0734699Y2 (ja) カレンダー
KR200310447Y1 (ko) 자수원단을 이용한 기념품
KR200408440Y1 (ko) 디브이디 수납케이스
KR200237897Y1 (ko) 입체광고달력
JP2000158845A (ja) 物品を収納する本の構造
JPH03110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