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464Y1 -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464Y1
KR200374464Y1 KR20-2004-0032241U KR20040032241U KR200374464Y1 KR 200374464 Y1 KR200374464 Y1 KR 200374464Y1 KR 20040032241 U KR20040032241 U KR 20040032241U KR 200374464 Y1 KR200374464 Y1 KR 200374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ink
support
main body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기
Original Assignee
코리아리프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리프컴(주) filed Critical 코리아리프컴(주)
Priority to KR20-2004-0032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중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는, 휴대전화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휴대전화기의 커버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일축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타축은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어 상기 일축에 대한 상기 타축의 회동운동을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체부에 대한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하면서도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매끄럽고 원활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Portable phone and sliding assembly for 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대한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하면서도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매끄럽고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되는 휴대전화기는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휴대전화기와 폴더형 휴대전화기 및 슬라이더형 휴대전화기로 구분된다.
플립형 휴대전화기는 디스플레이창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버튼이 있는 본체부의 일부분만을 플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중앙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등장하는 슬라이더형 휴대전화기는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근자에 들어서는 전자의 플립형보다는 후자인 폴더형 휴대전화기나 혹은 슬라이더형 휴대전화기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등장한 슬라이더형 휴대전화기를 보면, 복수의 입력버튼이 마련된 본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 커버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원동력으로 복수개의 비틀림코일스프링이 채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복수개의 비틀림코일스프링은, 본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커버부에 고정된 슬라이더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부를 본체부의 일측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면 비틀림코일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본체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타입의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의 경우에는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수동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하면서도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매끄럽고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부에 대한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하면서도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매끄럽고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로 인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조립체가 휴대전화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a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조립체의 작동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b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조립체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2 : 입력버튼
14 : 송신부 16 : 제어버튼
20 : 커버부 22 : 디스플레이창
24 : 기능버튼 26 : 카메라부
28 : 수신부 30 : 슬라이딩 조립체
32 : 지지부 34 : 슬라이더
40 : 운동변환수단 41 : 링크
42a,42b : 핀 43 : 구동모터
44 : 랙기어 45 : 피니언
47 : 연결부재
상기 목적은, 휴대전화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휴대전화기의 커버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일축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타축은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어 상기 일축에 대한 상기 타축의 회동운동을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양단 중 어느 한단은 상기 슬라이더에서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단의 일측은 상기 링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링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핀과;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형맞물림되어 상기 랙기어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링크의 양단에 위치한 핀들 중에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핀에 일체로 고정되는 피니언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의 양단에 위치한 핀들 중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 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딩 조립체가 장착되어 본체부에 대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휴대전화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로 인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할 때,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크게 본체부(10)와 커버부(2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부(10)는 휴대전화기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그 일면에는 전화번호나 문자메시지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써의 복수의 입력버튼(1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입력버튼(12)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송신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입력버튼(12)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20)의 일면에는, 입력버튼(1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22)과, 각종 기능버튼(24)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창(22)에는, 이 외에도 전화번호, 배터리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등을 확인 할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다.
선택사항이기는 하지만, 디스플레이창(22)의 상부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부(26)의 주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듣기 위한 수신부(28)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조립체가 휴대전화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a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조립체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b에 대응하는 슬라이딩조립체의 작동상태도이다.
전술한 도 1a에서 도 1b로 커버부(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본체부(10)의 측부에 형성된 제어버튼(16)을 가압하여 본체부(10)와 커버부(20) 내에 마련된 본 고안의 슬라이딩 조립체(30)를 가동시키면 된다.
도 2를 참조할 때,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30)는, 본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32)와, 커버부(20)를 지지하는 슬라이더(34)와,
일축은 지지부(32)에 배치되고 타축은 슬라이더(34)에 배치되어 일축에 대한 타축의 회동운동을 지지부(32)에 대한 슬라이더(34)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수단(40)을 포함한다.
이 때, 지지부(32)와 슬라이더(34)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운동변환수단(40)을 휴대전화기의 본체부(10)와 커버부(20)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본체부(10)가 지지부(32)가 될 수 있고, 커버부(20)가 슬라이더(34)가 될 수 있다.
운동변환수단(40)은, 지지부(32) 및 슬라이더(34)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41)와, 링크(41)의 양단 중 어느 한단은 슬라이더(34)에서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단의 일측은 링크(41)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부(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링크(41)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핀(42a,42b)과,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동모터(43)와, 구동모터(43)의 회전축에 연결된 랙기어(44)와, 랙기어(44)에 치형맞물림되어 랙기어(44)에 의해 회전하되, 링크(41)의 양단에 위치한 핀(42a,42b)들 중에서 지지부(32)에 고정된 핀(42a)에 일체로 고정되는 피니언(45)을포함한다.
링크(41)는 형상으로써 제1핀(42a) 측의 단부가 넓고 제2핀(42b) 측의 단부가 좁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링크(41)는 위의 구성들에 대한 기구적 작동메커니즘에 의해 회동운동하는데, 제1핀(42a) 측의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제2핀(42b) 측의 단부가 회동하는 궤적을 그린다.
참고로 도 3a의 그림이 도 1a의 그림과 대응하는데, 이럴 경우, 링크(41)에서 제1핀(42a) 측의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제2핀(42b) 측의 단부가 회동하는 각도(θ1)는 대략 56도 정도이다. 그리고 도 4a의 그림이 도 1b의 그림과 대응하는데, 이럴 경우, 링크(41)에서 제1핀(42a) 측의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제2핀(42b) 측의 단부가 회동하는 각도(θ2)는 대략 34도 정도를 이룬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그 각도(θ1,θ2)는 충분히 변경 설계될 수 있다.
구동모터(43)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통상의 모터로써, 휴대전화기에 채용될 수 있는 정도의 소형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스태핑모터라든지 서보모터 등 어떠한 것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제어버튼(16)의 한번 가압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결국, 제어버튼(16)을 한번씩 가압함에 따라 구동모터(43)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제어버튼(16)이 두개로 형성된다면 어는 하나를 눌렀을 경우, 구동모터(4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하나를 눌렀을 경우, 구동모터(4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핀(42a,42b)들은 링크(41)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어 링크(41)의 양단을 각각지지부(32)와 슬라이더(34)에 고정한다. 이 때, 링크(41)의 양단 중 어느 한단은 슬라이더(34)에 고정된 연결부재(47)에서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단의 일측은 링크(41)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부(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핀(42a,42b)들 중에서 지지부(32)에 인접한 핀(42a)을 제1핀(42a)이라 하고, 나머지를 제2핀(42b)이라 하여 설명한다. 제1핀(42a)은 그 일측이 링크(41)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부(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핀(42a)을 회전시키면 링크(41)는 제1핀(42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핀(42b)은 링크(41)와 연결부재(47) 각각을 자유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2핀(42b)에는 별도의 연결부재(47)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47)는 슬라이더(34)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운동변환수단(40)이 동작하면 링크(41)가 연결부재(47)를 상하로 직선운동시키게 되는데, 연결부재(47)가 슬라이더(34)에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슬라이더(34)가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연결부재(47) 없이 제2핀(42b)을 직접 슬라이더(34)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30)로 인해 커버부(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을 일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a와 같이 커버부(20)가 본체부(10)의 일영역을 커버하고(차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버튼(16)을 가압한다. 제어버튼(16)의 가압에 의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구동모터(43)에 인가되면, 구동모터(43)의 회전축이 회전한다.이에 따라 회전축에 결합된 랙기어(4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랙기어(44)가 회전하면 랙기어(44)에 기어맞물림된 피니언(45)이 회전하게 되는데, 피니언(45)은 제1핀(42a)에 고정되어 있기에 피니언(45)이 회전하면 제1핀(42a) 역시 회전한다.
이 때, 제1핀(42a)은 그 일측이 링크(41)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부(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에 제1핀(42a)을 축으로 하여 링크(41)는 회동할 수 있다. 링크(41)가 제1핀(42a)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제2핀(42b)에 결합된 연결부재(47)와 슬라이더(34)는 회동하는 링크(41)에 의해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 전체를 볼 때, 본체부(10)에 대해 커버부(20)가 "B" 방향으로 개방된 도 1b와 같은 상태가 된다.
반대로, 휴대전화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시 제어버튼(16)을 가압한다. 그러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구동모터(43)에 인가되면서 구동모터(43)는 전술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모터(4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랙기어(44), 피니언(45) 및 제1핀(42a)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다. 따라서 링크(41)가 제1핀(42a)을 축으로 하여 역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제2핀(42b)에 결합된 연결부재(47)와 슬라이더(34)는 회동하는 링크(41)에 의해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 전체를 볼 때, 본체부(10)에 대해 커버부(20)가 "A" 방향으로 개방된 도 1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부(10)에 대한 커버부(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하면서도 커버부(20)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매끄럽고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슬라이딩 조립체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는 슬라이딩 조립체가 장착되어 본체부에 대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휴대전화기 역시 본 고안의 사상 범위 내에 있는 것을 두 말할 여지가 없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카메라부가 마련되어 있고 커버부에 각종 기능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카메라부가 없거나 혹은 기능버튼들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본 고안을 적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전술한 실시예에 보면, 제어버튼이 본체부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제어버튼의 설치위치는 본 고안의 사상과 무관하므로 어떠한 위치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부에 대한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자동으로 구현하면서도 커버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매끄럽고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전화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휴대전화기의 커버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와;
    일축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타축은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어 상기 일축에 대한 상기 타축의 회동운동을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양단 중 어느 한단은 상기 슬라이더에서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단의 일측은 상기 링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링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핀과;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형맞물림되어 상기 랙기어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링크의 양단에 위치한 핀들 중에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핀에 일체로 고정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양단에 위치한 핀들 중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 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딩 조립체가 장착되어 본체부에 대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휴대전화기.
KR20-2004-0032241U 2004-11-15 2004-11-15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200374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41U KR200374464Y1 (ko) 2004-11-15 2004-11-15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41U KR200374464Y1 (ko) 2004-11-15 2004-11-15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464Y1 true KR200374464Y1 (ko) 2005-01-28

Family

ID=4944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241U KR200374464Y1 (ko) 2004-11-15 2004-11-15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4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388B1 (ko)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JP4093038B2 (ja)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JP4302708B2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機
CN100409649C (zh) 具有旋转式照相机镜头壳体的移动式电话
EP174452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US20120149438A1 (en)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EP1762083B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JP4814041B2 (ja) 携帯端末機
JP2006203842A (ja) 傾斜開閉式移動通信端末機
JP2010518774A (ja) 携帯端末機用ヒンジ式蓋開閉装置
US6885849B1 (en) Automatically closable mobile telephone
KR10058443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0396271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EP214849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module
KR100849318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374464Y1 (ko)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20050075241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4738161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KR200374460Y1 (ko)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200374462Y1 (ko)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1006192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100557065B1 (ko)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3616525B2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のキーボタン構造
KR200350771Y1 (ko) 힌지장치 및 이 힌지장치를 갖는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