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68Y1 -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268Y1
KR200374268Y1 KR20-2004-0031540U KR20040031540U KR200374268Y1 KR 200374268 Y1 KR200374268 Y1 KR 200374268Y1 KR 20040031540 U KR20040031540 U KR 20040031540U KR 200374268 Y1 KR200374268 Y1 KR 200374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song
user terminal
accompan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민
정영우
Original Assignee
(주)잉카엔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잉카엔트웍스 filed Critical (주)잉카엔트웍스
Priority to KR20-2004-0031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된 데이터를 가사 중 일부로 포함하는 노래를 검색하고, 상기 음성이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음원이 반주되도록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음원을 식별하는 음원 식별자, 및 상기 음원 식별자에 대응하여 가사 정보를 저장하는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문자화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기와, 상기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가사 정보의 일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식별자를 추출하는 곡명 검색기, 및 상기 추출된 음원 식별자를, 소정의 검색 리스트 상에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의 음성 입력에 따른 노래 곡명 정보의 검색은 물론, 검색된 곡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주의 연주가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검색/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ACCOMPANIMENT SERVICE PROVISION SYSTEM}
본 고안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된 데이터를 가사 중 일부로 포함하는 노래를 검색하고, 상기 음성이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음원이 반주되도록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 기기로 대표되는 반주기는, 사전에 노래 곡명과 코드 번호를 매칭시키고, 사용자가 특정의 코드 번호를 입력하면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노래의 반주가 재생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노래 검색 방식은, 노래 곡명에 유일하게 대응되는 코드 번호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노래 곡명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경우에는 원하는 노래를 찾는 데에 많은 노고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많은 수의 노래 각각에 대해 고유한 코드 번호를 부여하는 것 자체도 쉬운 일이 아닐 뿐더러, 이를 코드 번호 안내 책자로서 축적하는 것이나 엄청난 분량의 코드 번호 안내 책자에서 특정 노래의 코드 번호를 검색하는 것 역시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노래 흥미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때,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약간의 가사 만을 이용하여 노래 검색을 간편하게 수행하는 검색 방식이 있다면, 검색에 소요되는 많은 노고와 시간 투자를 절약할 수 있으며, 더불어 사용자는 노래 부르는 것에만 몰입할 수 있어 흥미도를 높게 유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가사를 음성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노래에 대한 정확한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노래 검색 모델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래 반주 제공 서비스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의 음성 입력에 따른 노래 곡명 정보의 검색은 물론, 검색된 곡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주의 연주가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검색/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의 하달을 위해 특별히 리모컨을 제작 또는 구비 없이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용이한 제어 명령 전송이 가능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재 반주되는 노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사용자의 노래 검색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35)에 표시되는 검색 리스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 텍스트 변환기
230 : 곡명 검색기 240 : 제1 인터페이스
250 : 제2 인터페이스 260 : 미디어 재생기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반주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음원을 식별하는 음원 식별자, 및 상기 음원 식별자에 대응하여 가사 정보를 저장하는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문자화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기와, 상기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가사 정보의 일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식별자를 추출하는 곡명 검색기, 및 상기 추출된 음원 식별자를, 소정의 검색 리스트 상에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반주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음원은 아날로그 노래 또는 반주음을 디지털화하여 압축한 것으로, 기존의 레코드(record)나 테이프 레코드(tape record) 등과 달리 보존성 및 음질 품질이 우수하여 근래 들어 디지털 음악 전송 매체로서 많이 상용되고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음원은, 소정의 반주기(예컨대 노래방 기기)에서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에 반주로서 재생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130)로부터 노래 곡명에 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노래(바람직하게는 음원 식별자)를 검색 결과로서 추출하고, 이를 리스트화하여 사용자(130)의 사용자 단말기(135) 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우선, 반주기(110)는 음악의 반주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 모듈과, 반주의 흐름에 따라 변동되는 노래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130)가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되는 노래 가사를 보면서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기기, 즉 노래방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반주기(110)는 소정처리에 의해 결정된 하나의 음원을 재생(replay)시켜 사용자(130)가 노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정하되, 현재 재생되는 노래의 가사가 상기 음원의 재생 경과 시간에 연동하여 사용자(130)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재생되는 음원의 결정은 각 노래 마다 사전에 설정된 번호를 소정의 입력 모듈에 사용자(130)가 입력하거나 곡명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수행되고, 특히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130)로부터 수집한 음성 정보를 가사의 일부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을 재생되는 음원으로 결정한다. 도 1에서 상기 반주기(110)는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이며, 반주기(110)의 위치와 무관하게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결정된 음원이 이 반주기(110)를 통해 반주 또는 노래음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원 기록 공간(120)은 소정 노래를 디지털 정보로서의 음원으로 축적, 유지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노래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음원 기록 공간(120)에 축적되는 음원은 아날로그 노래 정보에 소정의 디지털 압축 기술(MPEG 등)을 접목하여 작은 크기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규모의 음원 축적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원 기록 공간(120)은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특정 음원에 대한 추출 요청이 발생하면, 최적되는 음원을 선별하고, 반주기(110)는 상기 선별된 음원을 수신 한다.
사용자(130)는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와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135)를 보유하며, 반주기(110)에 의해 재생되는 반주에 따라 노래를부르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이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5)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140)을 통해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130)에 의해 생성된 노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로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로부터 제공 받은 검색 리스트를 소정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35)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35)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곡명을 검색하고, 검색에 응답하여 추출된 노래(음원 식별자)를 리스트화하여 사용자(130)에게 정보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로서 제공된 노래(음원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120)의 선택에 따라, 관련된 음원이 반주기(110)에서 재생되도록 하고 있어 노래 곡명의 검색 및 곡 선택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텍스트 변환기(220), 곡명 검색기(230), 제1 인터페이스(240), 제2 인터페이스(250) 및 미디어 재생기(260)를 포함한다.
우선,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음원을 식별하는 음원 식별자, 및 음원 식별자에 대응하여 가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음원 식별자는 음원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 노래 등을 대표하는 기호 코드의 일종으로, 예컨대 노래 곡명, 가수명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가사 정보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반주의 흐름에 따라 불려지는 노래 가사(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음원이 재생되는 동안 시간적으로 싱크되는 가사 정보를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소정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텍스트 변환기(220)는 사용자 단말기(135)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문자화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즉, 텍스트 변환기(220)는 사용자(130)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35)에 입력하는 노래의 일부 가사를 인식하여, 문자 형태의 텍스트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TS는 텍스트 문서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읽어주는 기술 또는 그 역방향 기술을 통칭하는 기능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특정 노래의 일부 가사만을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130)로부터 입력된 음성의 가사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데에 활용된다. 음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35)에 내장된 음성 수집 모듈(예, 마이크 등)에 의해 사용자(130)에게서 수집되며, 사용자 단말기(135)에서 소정의 전송 가공 처리가 거친후, 소정 계약 관계에 통신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텍스트 변환기(220)로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곡명 검색기(230)는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가사 정보의 일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식별자를,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를 참조하여 추출하는 장치이다. 즉, 곡명 검색기(230)는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기(135)에 입력한 음성을 노래의 일부로 갖는 음원 식별자(노래)를 검색하게 된다. 이때,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유지되는 음원 식별자 및 이에 대응하는 가사 정보의 수에 따라, 추출되는 음원 식별자의 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 운영자는 시스템 환경을 고려하여 추출되는 음원 식별자 또는 음원 식별자의 수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시스템 운영자는 음성 정보를 변환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음원 식별자가 추출되도록 상기 선정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240)는 추출된 음원 식별자를, 소정의 검색 리스트 상에 배열하여 사용자 단말기(135)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검색 리스트는 사용자(13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35)에 검색 결과로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식별자에 대한 목록을 의미한다. 특히, 제1 인터페이스(240)는 검색 리스트에 배열되는 음원 식별자의 위치를 소정의 기준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은 음원 식별자의 등록 시점 또는 추출 빈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신곡 또는 인기곡 순으로 음원 식별자가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시스템 환경을 고려한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130)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노래 곡명의 가사 일부를 사용자 단말기(130)에 음성 입력하는 것만으로 해당 가사를 포함하는 노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130)에게 노래 검색에 있어 보다 정확하면서도 편리한 검색 방식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250)는 검색 리스트에 포함되는 임의의 음원 식별자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 받는다. 즉, 제2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단말기(135)에 검색 결과로서 표시된 음원 식별자 중에서, 특정의 음원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130) 선택을 인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택 신호는 예컨대, 검색 리스트에 배열된 음원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여 부여된 키번호를 사용자 단말기(135) 상에서 사용자(130)가 키입력 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35)로부터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기(260)는 선택 신호가 발생된 음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음원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미디어 재생기(260)는 사용자(130)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음원이, 상기 반주기(110)에서 재생되어 소정의 출력 수단(스피커)로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 함으로써, 사용자(120)로 하여금 자신이 검색/선택한 반주가 재생되면서 노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디어 재생기(260)는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가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반주가 재생되는 동안, 시간 경과에 따라 적절한 노래 가사가 표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130)가 표시 화면의 가사 정보를 보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음성에 의한 노래 검색은 물론, 검색된 노래를 사용자 단말기(135) 상에서 사용자(130)가 임의 선택하는 것으로 노래방 기기에서의 음원 재생 및 가사의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노래 검색 및 노래 선택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사용자의 노래 검색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35)에 표시되는 검색 리스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하나 이상의 음원 식별자와, 이에 각각 대응하는 가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음원 식별자, 즉 특정의 노래에 포함되는 노래 가사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130)가 검색 요청시 입력하는 음성 정보를 가사로서 적어도 일부라도 포함하는 음원 식별자를 선별하게 된다.
예컨대, 노래 가사의 일부 만을 알고 있지만, 해당 가사의 노래 곡명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기(135)에 자신이 알고 있는 일부 가사인, '꽃피는 동백섬에'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텍스트 변환기(220)는 음성 입력된 '꽃피는 동백섬에'를 문자화하여 변환하고, 곡명 검색기(230)는 변환된 텍스트, 즉 '꽃피는 동백섬에'를 가사로서 일부라도 포함하는 음원 식별자 '돌아와요 부산항에' 등을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검색하게 된다.
이후,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는 검색된 음원 식별자 '돌아와요 부산항에' 등을 검색 리스트에 소정 조건에 따라 배열하고, 검색 요청을 발생한 사용자 단말기(135)로 전송한다. 도 3b에서는 상기 소정 조건을, 예컨대 추출 빈도로 설정함으로써 인기곡으로 자주 검색되는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사용자 단말기(135)의 표시 화면 상에 가장 위쪽에 위치되도록 검색 리스트 상에서의 배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표시 화면의 최상에 위치하는 음원 식별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사용자(130)로부터 선택 입력을 받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130)가 검색 리스트에 배열된 특정의 음원 식별자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에 예컨대, 대응되는 키번호 '1'을 키입력하는 경우, 해당 음원이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으로 결정되고, 결정된 음원이 반주기(110)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쿼리(노래의 일부 가사 등)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상술한 음원 정보뿐 아니라 해당 곡명에 대응하는 뮤직 비디오/MP3 파일 재생 등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검색 리스트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기(135)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130)는 단말기(135)에 표시된 검색 리스트에 대한 네비게이션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 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뮤직 비디오 감상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성 입력에 따른 노래 곡명에 대한 정보 검색은 물론, 검색된 곡명에 대해 사용자(130)가 단말기 상에서 선택함으로써 반주 연주가 시작되고, 사용자(130)로 하여금 노래를 부를 수 있게 하는 검색/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35)로 반주기(110)의 음원 재생을 제어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35)를 이용한 명령 제어의 생성을 위해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명령 제어기(27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명령 제어기(270)는 사용자 단말기(135)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반주기(110)에서의 음원 재생과 관련된 각종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즉, 명령 제어기(270)는 사용자 단말기(135)로부터 수신된 명령 정보에 따라 미디어 재생기(260)에게 명령을 하달하며, 반주기(110)에서의 음원 재생 및 가사 정보의 표시 등에 관한 다양한 제어 처리가 최적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 처리는 예컨대, 사용자(130)에 의해 선택된 음원의 재생, 정지, 빨리 재생, 느리게 재생, 예약곡 재생, 음조 선택 등 일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 단말기(135)에는 이러한 제어 처리에 관한 명령 신호의 발생을 위한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130)로 하여금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한 상태에서 키입력 만으로 본 고안의 반주기(110) 또는 본 고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명령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35)에 포함되는 적외선 통신 모듈(IrDA)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명령 제어기(27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송 손실을 최소화하며 정확한 명령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반주기(110) 또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대한 제어 명령의 하달을 위해 리모콘을 특별하게 제작하거나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 단말기(135)를 이용하여 반주기(110) 또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대한 용이한 명령 하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음원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 화면 상으로 가사 정보와 함께, 해당 음원 식별자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음원 식별자 및, 음원 식별자와 관련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8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80)는 재생되는 음원과 관련하여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소정의 광고주(예컨대, 음반 기획자, 해당 가수, 관련 캐릭터 사업자 등)에게서 실시간으로 입력 받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미디어 재생기(260)는 반주기(110)에서 수행되는 음원 재생과 연동하여, 재생하는 음원을 식별하는 음원 식별자와 대응되는 콘텐츠 정보를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80)로부터 추출하여 소정의 표시 화면에 구현되도록 한다. 여기서, 콘텐츠 정보는 반주와 관련된, 예컨대 해당 노래를 부르는 가수의 뮤직 비디오, 가수 프로필, 관련 음반의 구매 정보, 관련 상품 정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현재 반주되는 노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거부감 없이 사용자(130)에게 자연스럽게 노출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의 음성 입력에 따른 노래 곡명 정보의 검색은 물론, 검색된 곡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주의 연주가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검색/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의 하달을 위해 특별히 리모콘을 제작 또는 구비 없이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용이한 명령 전송이 가능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현재 반주되는 노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반주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원을 식별하는 음원 식별자, 및 상기 음원 식별자에 대응하여 가사 정보를 저장하는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문자화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기;
    상기 소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가사 정보의 일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 식별자를 추출하는 곡명 검색기; 및
    상기 추출된 음원 식별자를, 소정의 검색 리스트 상에 배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리스트에 포함되는 임의의 음원 식별자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 받는 제2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택 신호가 발생된 상기 음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음원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재생기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의 재생과 관련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명령 제어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처리는 상기 음원의 재생, 정지, 빨리 재생, 느리게 재생, 예약곡 재생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R(Infra red)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명령 제어기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식별자 및, 상기 음원 식별자와 관련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재생기는 상기 음원의 재생과 연동하여, 대응되는 콘텐츠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소정의 표시 화면에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음원 식별자의 등록 시점 또는 추출 빈도에 의거하여, 상기 추출된 음원 식별자를 상기 검색 리스트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음원의 상기 가사 정보 중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4-0031540U 2004-11-08 2004-11-08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374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40U KR200374268Y1 (ko) 2004-11-08 2004-11-08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40U KR200374268Y1 (ko) 2004-11-08 2004-11-08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268Y1 true KR200374268Y1 (ko) 2005-01-27

Family

ID=4935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540U KR200374268Y1 (ko) 2004-11-08 2004-11-08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2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4671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ファイルの歌詞提供システム
US10002643B2 (en) Reproducing apparatus, correlated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and correlated information notifying program
KR101459136B1 (ko) 오디오 데이터 플레이어 및 이의 재생목록 생성방법
CN101103386A (zh) 用于乐谱捕捉和带同步呈现的合成音频演奏的系统与方法
JP2002202982A (ja) 情報シーケンス保存装置及び情報シーケンス保存方法
KR20070109950A (ko) 정보 처리 시스템, 단말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CN101552000A (zh) 音乐相似性处理方法
JP3956411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5300772A (ja) 楽曲情報紹介システム
US7767901B2 (en) Control of musical instrument playback from remote management station
CN101551997B (zh) 一种乐曲辅助学习系统
JP2000020078A (ja) 選曲履歴を表示する通信カラオケ演奏端末
CN201397672Y (zh) 乐曲学习系统
JP5173380B2 (ja) パーソナルメディアの楽曲作品集合に基づいてカラオケ選曲予約を行えるカラオケ装置
KR200374268Y1 (ko)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1925897A (zh) 建议用于与内容数据项同步再现的伴奏乐曲的方法
KR100393026B1 (ko) 휴대용 시디재생장치 및 자막표시 오디오시디 및 이를이용한 학습시스템
JP4642691B2 (ja) カラオケ宴会に参加している複数の利用者の持ち歌を自動的にメドレー演奏するカラオケ装置
JP2011043714A (ja) 歌声の特徴に基づいて顧客別の歌唱履歴を自動的に作成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CN201397671Y (zh) 媒体播放设备
CN101551999B (zh) 一种自动翻页装置
CN100359586C (zh) 卡拉ok光盘的播放控制装置及其方法
JP4995021B2 (ja) パーソナルメディアの楽曲作品集合に基づいてカラオケ選曲予約を行えるカラオケ装置
CN201397670Y (zh) 网络搜索系统
JP4380284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