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25Y1 -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25Y1
KR200373325Y1 KR20-2004-0028729U KR20040028729U KR200373325Y1 KR 200373325 Y1 KR200373325 Y1 KR 200373325Y1 KR 20040028729 U KR20040028729 U KR 20040028729U KR 200373325 Y1 KR200373325 Y1 KR 200373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dy
toilet
stirring
soil microorganisms
stirr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경
Original Assignee
윤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경 filed Critical 윤주경
Priority to KR20-2004-0028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3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having means for adding powder, e.g. earth
    • A47K11/035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having means for adding powder, e.g. earth with chemical solv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이 수용되고, 상측에는 좌변기커버가 부착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스크류; 상기 교반스크류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탱크본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노약자 및 환자 등이 실내에서의 이용을 수월하게 하고, 공사현장이나 오지의 경비초소 등 화장실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편의성 내지는 방뇨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식 화장실{Movable toilet}
본 고안은 배설물을 물리적 교반에 의해 토양 미생물과 균일하게 섞어 줌으로서 위생적으로 처리함과 동시에 소형 경량화로 인해 이동이 편리하게 한 이동식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공사현장 등의 대형 이동식 화장실은 주로 야외나 고정된 건물을 세우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식 화장실은 설치와 이동이 쉬운 반면에 배설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한 취약점을 갖는다.
즉, 이동식 화장실의 배설물 처리는 매우 번거로우며 위생적이지 못하다. 이것은 이동식 화장실을 이용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며, 그 비위생적인 환경은 이동식 화장실의 사용을 기피하는 요인이 되고 특히, 여름철 이동식 화장실의 악취와 해충의 번식은 사용자의 주변 위생 환경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종래 이동식 화장실의 배설물은 별도로 수거하거나 또는 토양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를 함으로서 냄새를 제거하여 인체에 무해한 위생적인 상태로 처리를 하는 것이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설물의 분리처리 방법은 분리 수거시의 비위생적인 환경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토양 미생물에 의한 처리를 하더라도 미생물로는 전체 배설물을 처리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균일한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노약자 및 환자 등이 실내에서의 이용을 수월하게 하고, 공사현장이나 오지의 경비초소 등 화장실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편의성 내지는 방뇨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노약자 및 환자 등이 실내에서의 이용을 수월하게 하고, 공사현장이나 오지의 경비초소 등 화장실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편의성 내지는 방뇨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물리적 교반이 종전에 비해 배가된 교반스크류와 토양 미생물을 섞어 줌으로써,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의 접촉을 확장하여 배설물의 처리를 촉진하고 균일화된 미생물 처리에 의해 배설물의 잔여물을 완전분해 처리할 수 있는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탱크본체 12: 좌변기커버
14: 손잡이 20: 교반스크류
22: 교반샤프트 24: 교반날개
26: 교반암 30: 구동수단
32: 구동모터 34: 밸트
36: 종동풀리 40: 이동수단
42: 구름바퀴 44: 받침목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이 수용되고, 상측에는 좌변기커버가 부착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스크류; 상기 교반스크류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탱크본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스크류는 교반샤프트에 주변에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상호 역방향 나선형으로 설치되어 배설물 및 토양 미생물을 용이하게 교반시키는 둘이상의 교반날개를 구비한 이중교반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스크류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반암이 더 구비되어 피교반물의 분쇄 및 교반이 단시간 내에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구름바퀴와 받침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름바퀴는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며, 이동시에는 바퀴높이를 높게 조절하고, 고정사용시에는 바퀴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상기 받침목이 지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본체 일측에는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온수단이 장착되어 토양 미생물의 활동환경조건을 최적화시켜 소멸효율을 최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본체의 상단 양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장애자나 노약자가 혼자서도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는 가죽이나 소파천 등의 외장재로 마감되어 실내 사용시 집안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룸과 동시에 의자나 소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본체 일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에 장착되어 초기용변시 및 소멸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연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은 탱크본체(10)와, 교반스크류(20)와, 구동수단(30)과, 이동수단(40)을 포함한다.
탱크본체(10)에는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이 수용되고, 상측에는 좌변기커버(12)가 부착된다.
교반스크류(20)는 상기 탱크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을 교반시킨다. 즉, 탱크본체(10)의 내부에 교반스크류(20)가 가로질러 설치되고 교반스크류(20)의 양단은 탱크본체(10)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주로 소용량인 경우에는 통상의 교반스크류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스크류(20)는 교반샤프트(22)에 주변에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상호 역방향 나선형으로 설치되어 배설물 및 토양 미생물을 용이하게 교반시키는 둘이상의 교반날개(24)를 구비한 이중교반스크류이다. 이하, 교반스크류 중에서 주로 대용량일 경우 사용하는 이중교반스크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교반날개(24)는 교반샤프트(22)의 주변에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날개(24)는 반경이 큰 외측교반날개(24a)와 반경이 작은 내측교반날개(24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외측교반날개(24a)와 내측교반날개(24b)는 상호 역방향 나선형으로 설계되어 피교반물, 예를 들면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을 분쇄 및 교반시키는데, 후술될 탱크본체(10) 내에서 외측교반날개(24a)에 의한 피교반물의 진행방향과 내측교반날개(24b)에 의한 피교반물의 진행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진행하게 하여 교반효과를 배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라면 상호 역방향 나선형으로 설치된 교반날개(24)의 개수는 적어도 둘이상, 즉 3개, 4개, 5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대용량 이중교반스크류(20)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반암(26)이 더 구비되어 피교반물의 분쇄 및 교반이 단시간 내에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동수단(30)은 상기 이중교반스크류(2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구동수단(30)은 전선코드를 이용하여 일반 전원콘센트에 꽂아 구동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밸트(34)와, 상기 밸트(34)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종동풀리(36)로 구성되며, 상기 종동풀리(36)는 이중교반스크류(20)의 교반샤프트(2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2)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대용량 이중교반스크류(2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동수단(40)은 상기 탱크본체(10)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10)를 이동 또는 고정시킨다. 즉, 상기 이동수단(40)은 구름바퀴(42)와 받침목(44)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름바퀴(42)는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며, 이동시에는 바퀴높이를 높게 조절하고, 고정사용시에는 바퀴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상기 받침목(44)이 지면과 접촉하여 고정된다.
상기 탱크본체(10) 일측에는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온수단(미도시)이 장착되어 토양 미생물의 활동환경조건을 최적화시켜 소멸효율을 최대화시킨다. 이러한 정온수단의 경우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탱크본체(10)의 상단 양측에는 손잡이(14)가 구비되어 장애자나 노약자가 혼자서도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다.
상기 탱크본체(10) 일측에는 배기구(16)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16)에 장착되어 초기 용변시 및 소멸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연결관(18)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배기연결관(18)의 경우 플렉시블한 주름관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본체(10)의 외부는 가죽이나 소파천 등의 외장재(19)로 마감되어 실내 사용시 집안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룸과 동시에 의자나 소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이동시키게 되는데, 탱크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된 구름바퀴(42)를 받침목(44)보다 높게 조절하여 설치장소에 이동시킨후, 구름바퀴(42)를 받침목(44)보다 낮게 조절하여 받침목(44)이 지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구동모터(32)에 연결된 전선코드(미도시)를 일반 전원 콘센트에 꽂아 연결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노약자나 장애인 등이 본 고안의 이동식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탱크본체(10) 상측에 위치한 좌변기커버(12)를 열고 용변을 보게 되는데, 일단용변이 끝나면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눌러 구동모터(32)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2)에 밸트(34)로 연결된 종동풀리(36)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종동풀리(36)에 각각 연결된 이중교반스크류(20)도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는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이 고르게 섞이도록 교반을 통해 소멸과정을 도와주게 된다. 이러한 소멸과정의 경우 토양 미생물의 동화작용 및 이화작용에 의해 무취무해한 가스 및 수분으로 전환이 되어 소멸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대용량 이중교반스크류(20)의 경우, 톱밥에 함유된 토양 미생물이 배설물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하면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대용량 이중교반스크류(20)는 구동모터(32)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탱크본체(10) 내부에 들어있는 피교반물, 즉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이 움직이는데, 외측교반날개(24a)의 회전으로 인해 탱크본체(10) 내부의 외측의 피교반물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된다. 반대로, 내측교반날개(24b)의 회전으로 인해 탱크본체(10) 내부의 내측의 피교반물이 상기 외측교반날개(24a)에 의한 피교반물의 진행방향과는 다른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대용량 이중교반스크류(20)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더라도 외측교반날개(24a)와 내측교반날개(24b)가 서로 역방향 나선구조이기 때문에, 피교반물이 훨씬 효율적으로 회전 및 이송되면서 교반 및 혼합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대용량 이중교반스크류(20)의 한 방향 회전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공간인 상기 탱크본체(10) 내부에서는 외측교반날개(24a)와 내측교반날개(24b)가 상호 역방향으로 나선형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교반날개(24a)에 의한 피교반물의 진행방향과 상기 내측교반날개(24b)에 의한 피교반물의 진행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상호간의 역방향 진행의 접촉으로 인해 교반 및 혼합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개(24)의 회전으로 인해 탱크본체(10)의 양측으로 몰리는 피교반물이 양측벽에 의해 압축력을 받아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대용량 이중교반스크류(20)의 회전시 상기 교반암(26)이 상기 피교반물을 항상 저어줘 교반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옥외 화장실까지의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나 노약자 및 환자 등의 이용을 훨씬 용이하게 하고, 공사현장이나 오지의 경비초소 등의 화장실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변 등으로 인한 배설물의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2차적인 배설물 처리작업없이 탱크본체(10) 내에서 배설물을 단시간 내에 소멸시킬 수 있다.
상기의 일련의 작동은 사용자가 용변을 마칠 때마다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배설물을 화장실 사용하는 당시에 처리함으로써, 배설물의 누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구름바퀴 등을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설계하여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노약자 및 환자 등이 실내에서의 이용을 수월하게 하고, 공사현장이나 오지의 경비초소 등 화장실 설치가 곤란한 장소에서사용자의 편의성을 가짐과 동시에 배설물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물리적 교반이 종전에 비해 배가된 이중교반스크류에 의해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을 섞어 줌으로써,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의 접촉을 확장하여 배설물의 처리를 촉진하고 균일화된 미생물 처리에 의해 배설물의 잔여물을 완전분해 처리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이 수용되고, 상측에는 좌변기커버가 부착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설물과 토양 미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스크류;
    상기 교반스크류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탱크본체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스크류는 교반샤프트에 주변에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상호 역방향 나선형으로 설치되어 배설물 및 토양 미생물을 용이하게 교반시키는 둘이상의 교반날개를 구비한 이중교반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스크류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교반암이 더 구비되어 피교반물의 분쇄 및 교반이 단시간 내에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구름바퀴와 받침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름바퀴는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며, 이동시에는 바퀴높이를 높게 조절하고, 고정사용시에는 바퀴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상기 받침목이 지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 일측에는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온수단이 장착되어 토양 미생물의 활동환경조건을 최적화시켜 소멸효율을 최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상단 양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장애자나 노약자가 혼자서도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의 외부는 가죽이나 소파천 등의 외장재로 마감되어 실내 사용시 집안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룸과 동시에 의자나 소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 일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에 장착되어 초기용변시 및 소멸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연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KR20-2004-0028729U 2004-10-11 2004-10-11 이동식 화장실 KR200373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729U KR200373325Y1 (ko) 2004-10-11 2004-10-11 이동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729U KR200373325Y1 (ko) 2004-10-11 2004-10-11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25Y1 true KR200373325Y1 (ko) 2005-01-27

Family

ID=4944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729U KR200373325Y1 (ko) 2004-10-11 2004-10-11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3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82A1 (ko) * 2011-11-17 2013-05-23 주식회사 투해피 간이 화장실의 분뇨처리시스템
KR102054354B1 (ko) * 2019-01-21 2019-12-10 이영길 세척기능이 포함된 미생물 분해 변기
KR102155607B1 (ko) 2020-01-29 2020-09-14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이동식 화장실
KR102649367B1 (ko) * 2023-07-24 2024-03-19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차량용 이동식 화장실의 정화조 내부에 적층된 분뇨의 분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82A1 (ko) * 2011-11-17 2013-05-23 주식회사 투해피 간이 화장실의 분뇨처리시스템
KR102054354B1 (ko) * 2019-01-21 2019-12-10 이영길 세척기능이 포함된 미생물 분해 변기
KR102155607B1 (ko) 2020-01-29 2020-09-14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이동식 화장실
KR102649367B1 (ko) * 2023-07-24 2024-03-19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차량용 이동식 화장실의 정화조 내부에 적층된 분뇨의 분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5400A1 (en) Circular Animal Toilet Enclosure
KR20050113994A (ko) 화장실의 배설물 유기질 퇴비화 제조장치
JP2008504861A (ja) 移動式簡易トイレ
CN212833383U (zh) 一种移动式公共厕所粪便消毒杀菌装置
KR200373325Y1 (ko) 이동식 화장실
CN105686739A (zh) 一种能对粪便进行综合杀菌处理的乡村景区无水厕所
CN110772156B (zh) 一种槽轮式电动免冲洗干湿混合型旱厕
KR20110009269U (ko)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친환경 화장실 설비
CN110250978A (zh) 一种环保旱厕
CN211582882U (zh) 免水冲式生态马桶
KR100963269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0391380B1 (ko) 이동식 화장실의 배설물 처리장치
KR100963267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2240017B1 (ko) 친환경 이동식 바이오 화장실
KR102006620B1 (ko) 미생물에 의한 배설물 정화처리장치
JP2018175272A (ja) ポータブルバイオトイレおよびポータブルバイオトイレ収納箱
KR101980485B1 (ko) 간이화장실용 분뇨 분말화장치
KR200320394Y1 (ko) 옥외용 화장실
CN112021978A (zh) 一种利用生物技术的无水生物厕所和智能方法
JPH09313401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CN110772158A (zh) 一种槽轮式电动免冲洗干湿分离型旱厕
CN112244683A (zh) 一种免冲水微生物分解式坐便器及使用方法
JP2009090071A (ja) 洗浄トイレ付き車椅子
CN212521610U (zh) 一种微生物降解免水冲坐便器
JP4066008B2 (ja) 簡易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