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861Y1 -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861Y1
KR200372861Y1 KR20-2004-0029109U KR20040029109U KR200372861Y1 KR 200372861 Y1 KR200372861 Y1 KR 200372861Y1 KR 20040029109 U KR20040029109 U KR 20040029109U KR 200372861 Y1 KR200372861 Y1 KR 200372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eating
heating chamber
ai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20-2004-0029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78Mould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e.g. steam j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40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 B28B7/42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for heating or cooling, e.g. steam jackets, by means of treating agents acting directly on the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3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sulfur, sulfides or sele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MSPC(Modified Sulfur Polymer Concrete)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타설 전에 몰드를 미리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는, 입구 및 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출구를 연결하는 밀폐된 몰드 이동 경로가 설치된 가열 챔버;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구 게이트;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출구 게이트; 및 가열 챔버 내부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유니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Heating apparatus of mold for MSPC products}
본 고안은 MSPC(Modified Sulfur Polymer Concrete)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타설 전에 몰드를 미리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압축 강도와 내구성이 크고, 가격이 저렴하고 풍부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건설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산업의 발달에 따라 각종 구조물들이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기존의 콘크리트보다 물성이 향상된 콘크리트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의 최대 결점인 큰 취성(brittleness)과 작은 인장 강도 및 쉽게 균열이 발생하는 단점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또한, 콘크리트는 산성 환경에 약하고 각종 세균이 증식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내화학성이 크고 항균성이 큰 콘크리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각종 구조물들이 점차 대형화, 다양화됨에 따라 기존의 콘크리트에 비하여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 콘크리트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로 만든 제품 중 하수관, 오ㆍ폐수관, 지하 공동관 등의 콘크리트 관에서는 하수, 오ㆍ폐수 등에 섞여 있는 산 등의 유해 성분과 시멘트 성분의 반응에 의해 관체가 부식되거나 관체에 균열이 발생되어 종국적으로 땅 속을 오염시키는 일이 자주 생기고 있다. 또한, 기설 콘크리트관과 다른 콘크리트 관과의 연통이 필요한 경우, 관체를 드릴 또는 망치로 천공하고 있으나, 콘크리트관의취성 때문에 천공 작업시 관체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관체를 연통시킨 후 이음부를 시멘트 몰탈로 연결 처리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이음부가 시멘트 몰탈과 잘 접착되지 않아 이음부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되어 땅 속을 오염시키는 일이 자주 생긴다. 뿐만 아니라, 손상된 기설한 콘크리트관을 시멘트 몰탈로 보수하는 경우에 기설한 콘크리트관과 시멘트 몰탈이 잘 접착되지 않아 완전한 보수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콘크리트관의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유황 폴리머가 포함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근 철근이 설치된 몰드에 타설하여 MSPC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상기 MSPC 제품의 제조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3-0008279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몰드를 조립하고 몰드에 철근을 배근하는 공정과, 상기 몰드를 미리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과, 가열된 몰드를 원심 성형대에 설치하는 공정과, 유황 폴리머가 혼합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약 100∼160℃의 온도에서 믹싱하는 공정과,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원심 성형대의 몰드까지 이송하여 타설하는 공정과, 원심 성형대를 이용하여 몰드를 회전시켜 제품을 성형하는 공정과, 제품 성형이 완료된 몰드를 냉각 장소로 이동시켜 냉각시키는 공정 및, 냉각이 완료된 몰드를 탈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를 미리 예열하는 것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타설 및 제품 성형 도중에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MSPC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몰드를 미리 약 100∼160℃ 정도로 예열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콘크리트 조성물의 타설 전에 몰드를 미리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조성물의 타설 전에 몰드를 미리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Modified Sulfur Polymer Concrete)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의 입구 게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의 적재부가 이송 부재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의 텐션 조절 유니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몰드 20 : 가열 챔버
30 : 가열 유니트 40 : 프레임
50 : 이송 유니트 100 :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는, 입구 및 상기 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출구를 연결하는 밀폐된 몰드 이동 경로가 설치된 가열 챔버;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구 게이트; 상기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출구 게이트; 및 상기 가열 챔버 내부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 유니트는, 상기 가열 챔버의 급기구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가열 챔버로부터 차가워진 공기를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하며,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공기를 히터 부재로 가열하여 상기 급기구를 통하여 다시 상기 가열 챔버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가열 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덕트부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 유니트는 상기 순환 덕트부 또는 가열 챔버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압력 조절 덕트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열 유니트는, 상기 급기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몰드의 전방측면부재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분기 덕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는, 소정의 도어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 부재; 상기 도어 부재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부재 및, 상기 도어 부재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센서 부재의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가열 챔버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공기 분사 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공기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는, 상기 가열 챔버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온도에 따른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가능하도록 지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무한 궤도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몰드를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몰드를 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 챔버에 무한 궤도상으로 설치된 이송 부재; 및 상기 몰드가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부재에 설치된 적재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적재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를 지지하는 레일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몰드가 적재되는 적재 평판; 상기 적재 평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평판을 이송 부재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적재 평판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 축 및, 상기 바퀴 축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는 상기 이송 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 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무한 궤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부재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조절 유니트는, 상기 방향 전환 부재의 방향 전환축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각각 그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위치 조절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위치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베어링 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송 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몰드의 이송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몰드를 감지하는 몰드 센서; 및 상기 몰드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아울러, 도 3은 상기 MSPC 제품용 몰드 가열 장치의 입구 게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100)는, 몰드 이동 경로(21)가 내부에 형성된 가열 챔버(20)와, 가열 챔버(20)의 입구(23)에 설치된 입구 게이트(24)와, 가열 챔버(20)의 출구(25)에 설치된 출구 게이트(26) 및, 가열 챔버(20)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유니트(30)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 챔버(20)에는 입구(23)와 출구(25)를 연결하는 몰드 이동 경로(21)가 그 내부에 형성된다. 가열 챔버(20)는 후술하는 프레임(40)의 상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 챔버(20)는 너비에 비하여 몰드 이동 경로(2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터널이다.
상기 몰드(10)는 입구(23)를 통하여 가열 챔버(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출구(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입구(23)를 통하여 들어온 몰드(10)는 몰드 이동 경로(21)를 따라 이송되면서 가열 유니트(30)에 의하여 가열된다. 가열 챔버(2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입구(23)와 출구(25)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되고, 그 외부는 단열재(미도시)에 의하여 단열된다.
상기 입구 게이트(24)와 출구 게이트(26)는 몰드(10)가 가열 챔버(20)의 내부로 투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입구(23)와 출구(25)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입구 게이트(24)와 출구 게이트(26)에는 통상적인 개폐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구 게이트(24)와 출구 게이트(26)는 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부재(24a)(26a) 및, 도어 부재(24a)(26a)의 작동에 따라 압축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외부 공기 차단부(27)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 부재(24a)(26a)는 도어 모터(24b)(26b)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즉,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 부재(24a)(26a)는 가열 챔버(20)의 상단에 위치한 도어 모터(24b)(26b)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하 왕복 이동 운동을 함으로써 입구(23)와 출구(25)를 개폐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모터(24b)(26b)는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그 작동이 제어된다. 가열 장치(100)의 작동 초기에 입구 게이트(24)에 근접한 몰드 센서(미도시)가 몰드(10)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도어 모터(24b)(26b)를 작동하여 입구 게이트(24)를 개방함으로써 몰드(10)가 가열 챔버(20) 내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몰드(10)가 소정 온도까지 가열된 경우에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도어 모터(24b)(26b)를 작동시켜 출구 게이트(26)와 입구 게이트(24)를 개방함으로써 소정 온도로 가열된 몰드(10)가 외부로 배출되고 새로운 몰드(10)가 입구(23)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 공기 차단부(27)는 도어 부재(24a)(26a)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부재 및, 도어 부재(24a)(26a)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도어 센서 부재의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가열 챔버(2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공기 분사 부재(27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센서 부재는 도어 부재(24a)(26a)의 개폐에 따라 접점이 접환되는 리미트 스위치(27b)를 구비한다. 즉, 도어 부재(24a)(26a)가 개폐되면 리미트 스위치(27b)의 접점이 전환되어 그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압축공기 분사 부재(27a)의 작동을 개시 또는 중지한다.
상기 압축공기 분사 부재(27a)는 압축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외부 공기가 가열 챔버(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도어 부재(24a)(26a)가 개방되면 리미트 스위치(27b)의 접점이 전환되고 그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는 압축 공기 분사 부재(27a)로 하여금 압축 공기를 분사하게 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가열 유니트(30)는 가열 챔버(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덕트부(32)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로서 급기구(33)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Ⅴ-Ⅴ' 단면도로서 배기구(34)를 통하여 가열 챔버(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순환 덕트부(32)는 급기구(33)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가열 챔버(20) 내부의 차가워진 공기를 배기구(34)를 통하여 배출한다. 배기구(34)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히터 부재(35)에 의하여 가열된 후 다시 급기구(33)를 통하여 가열 챔버(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을 위해서는 통상적인 팬이 덕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34)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열 챔버(20) 내부의 차가워진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가열 챔버(20)의 하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 부재(35)는 공기를 가열하는 통상적인히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 유니트(30)는 가열 챔버(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덕트(도 2의 36)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 조절 덕트(36)는 순환 덕트부(3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소정 길이의 덕트이다. 압력 조절 덕트(36)는 순환 덕트부(32)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에 비하여 높은 경우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외부 대기압과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순환 덕트부(32)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에 비하여 낮은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압력 조절 덕트(36)를 통하여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대기압과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한편, 도 2는 순환 덕트부(32)와 연통된 압력 조절 덕트(36)를 나타내고 있으나, 순환 덕트부(32)는 가열 챔버(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유니트(30)는 몰드(10)의 소정 부분을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분기 덕트(37)를 구비한다. 상기 분기 덕트(37)는 급기구(33)로부터 분기되어 고온의 공기를 몰드(10)의 전방 측면부재(12)에 공급한다. 전방 측면부재(12)는 통상적으로는 '캐스트'라고 불리는 부재로서, 몰드(10)의 양단 중 어느 한 곳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전방 측면부재(12)는 그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급기구(33)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용이하게 가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분기 덕트(37)를 통하여 고온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전방 측면부재(12)의 온도를 높인다.
바람직하게, 상기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100)는 가열 챔버(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40) 및, 프레임(40)에 무한 궤도상으로 설치되어 몰드(10)를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5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40)은 온도에 따른 열수축 또는 열팽창이 가능하도록 지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40)은 지면에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열수축 또는 열팽창이 가능하게 된다. 프레임(40)은 지면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도 그 자중과 이송 유니트(50)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4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가열 챔버(30)의 내부로 몰드(10)를 이송하는 경우에 가열 챔버(30) 내부의 프레임(40)이 열팽창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열팽창된 프레임(40)은 가열 장치(1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다시 원상태로 회복하는 열수축을 하기 때문이다. 즉, 프레임(4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열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니트(50)는 프레임(40)에 무한 궤도상으로 설치되어 MSPC 제품용 몰드(10)를 이송한다. 이송 유니트(50)는 프레임(40)에 무한 궤도상으로 설치된 이송 부재(52) 및, 몰드(10)가 적재되는 적재부(58)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 부재(52)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축(54)과 방향 전환 부재(55) 사이를 이동하며 몰드(10)를 이송한다. 상기 이송 부재(52)로는 체인 부재 또는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부재(55)는 방향 전환축(55a)과, 방향 전환축(55a)에 설치된 스프라켓(55b) 또는 기어를 포함한다. 방향 전환 부재(55)의 위치는 후술하는 텐션 조절 유니트에 의하여 조절된다. 이러한 점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유니트(50)는 적재부(58)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적재부(58)를 지지하는 레일 부재(59a)(59b)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 부재(59a)(59b)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 부재(52)의 측면에서 적재부(58)를 지지하는 측면 레일 부재(59a)와, 이송 부재(52)의 하측에서 적재부(58)를 지지하는 하측 레일 부재(59b)를 구비한다. 측면 레일 부재(59a)는 이송 방향으로 이동 중인 적재부(58)를 지지하고, 하측 레일 부재(59b)는 방향 전환 부재(55)에 의하여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회송 중인 적재부(58)를 지지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이송 방향은 몰드(10)가 적재되어 가열 챔버(30)의 출구(25)를 향하여 이송되는 방향을 뜻하고, 회송 방향은 이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뜻한다.
상기 적재부(58)는 몰드(10)가 적재되는 적재 평판(58a)과, 적재 평판(58a)을 이송 부재(52)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58b) 및, 레일 부재(59a)(59b)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퀴 부재(58c)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 평판(58a)에는 각종 몰드(10)가 적재된다. 적재 평판(58a)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송 부재(52)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 간격은 몰드(1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는 간격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적재 평판(58a)이 몰드(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적재 평판(58a)은 몰드(10)의 파지부(11)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부(11)는 몰드(10)가 이송되는 경우에 이송 적재기(미도시)에 의하여 파지되는 부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적재 평판(58a)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그 외형이 곡면인 몰드(10)가 이송 도중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 부재(58b)는 적재 평판(58a)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 평판(58a)을 이송 부재(52)에 결합시킨다. 상기 바퀴 부재(58c)는 적재 평판(58a)에 연결되어 설치된 바퀴 축 및, 바퀴 축에 설치되고 레일 부재(59a)(59b)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퀴를 포함한다. 즉, 바퀴가 레일 부재(59a)(59b)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적재 평판(58a)이 안정적으로 몰드(10)를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퀴 부재(58c)는 적재부(58a)가 이송 방향으로 이동 중인 경우에는 측면 레일 부재(59a)에 의하여 지지되고, 적재부(58a)가 방향 전환 부재(55)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회송 중인 경우에는 하측 레일 부재(59b)에 의하여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유니트(50)는 이송되는 몰드(10)를 감지하는 몰드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몰드 센서는 몰드(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몰드(10)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이송 부재(52)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소정 온도로 가열된 몰드(10)가 출구(25)를 통하여 배출된 경우에 후방에 위치한 몰드(10)가 이동하여 정위치에 정지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100)는 이송 부재(52)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 유니트(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텐션 조절 유니트(56)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향 전환축(55a)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56a) 및, 베어링 부재(56a)와 프레임(40)에 각각 그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위치 조절 부재(56b)를 구비한다. 텐션 조절 유니트(56)는 위치 조절 부재(56b)를 이용하여 베어링 부재(56a)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 부재(52)에 걸리는 텐션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조절 부재(56b)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프레임(40)에는 상기 나사산과 형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위치 조절 부재(56b)를 회전시킴으로써 베어링 부재(56a)의 위치를 미세한 범위까지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철근 배근이 완료된 몰드를 적재부(58)에 적재한다. 상기 적재 과정은 소정의 이송 적재기(미도시) 또는 크레인(미도시)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재부(58)는 몰드(10)의 양단이 거치될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이송 부재(5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재부(58)의 적재 평판(58a)은 그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그 외주면이 곡면인 몰드(10)도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58)에 적재된 몰드(10)는 이송 유니트(50)에 의하여 입구 게이트(24)를 통하여 가열 챔버(20)의 내부로 이송된다. 이러한 몰드(10)의 이송은 몰드 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몰드 센서가 입구 게이트(24)에 근접한 몰드(10)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도어 모터(24b)를 작동하여 도어 부재(24a)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입구 게이트(24)를 개방한다.
이 때, 도어 센서 부재는 도어 부재(24a)의 개방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압축공기 분사 부재(27a)로 하여금 압축 공기를 분사하게 한다. 상기 압축 공기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가열 챔버(20) 내부로 몰드(10)의 이송이 완료되면, 몰드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도어 부재(24a)를 하강시켜 입구 게이트(24)를 닫고 압축 공기의 분사를 중단한다.
이와 같이, 출구 게이트(26)에 가장 근접한 몰드 센서가 몰드(10)를 감지하기 전까지는 입구 게이트(24)의 전방에 위치한 몰드 센서가 몰드(10)를 감지하면 입구 게이트(24)가 개방되어 가열 챔버(30) 내부로 몰드(10)가 투입된다.
또한, 위와 같은 제어부와 몰드 센서에 의한 자동화된 몰드 이송에 대한 대안으로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도어 모터(24b) 및 이송 부재(52)의 구동 모터를 작동함으로써 몰드(10)를 이송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가열 챔버(30) 내부로 이송된 몰드(10)는 이송 부재(52)가 이동함에 따라 출구(25)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 과정에서 바퀴 부재(58c)는 측면 레일 부재(59a)에 의하여 지지되어 적재부(58)가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 몰드(10)가 소정 온도까지 가열되면, 이송 유니트(50)에 의하여 몰드(10)가 순차적으로 출구(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는 이러한 몰드(10)의 이송이 가능해지도록 도어 부재(24a)를 개폐한다. 즉, 몰드(10)가 소정 온도까지 가열된 경우에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도어 부재(24a)를 개폐함으로써 소정 온도로 가열된 몰드(10)를 외부로 배출하고 새로운 몰드(10)가 입구(23)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인 가열 장치(100)는 MSPC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몰드를 연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기존의 크레인 또는 이송 적재기를 사용한 이송의 경우보다 몰드를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급기구(33)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급기량이 일정한 경우에는 몰드(10)가 가열 챔버(20)의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소정 시간마다 출구 게이트(26)와 입구 게이트(24)를 개폐시켜 소정 온도로 가열된 몰드(10)를 하나씩 배출하고 새로운 몰드(10)를 가열 챔버(20)의 내부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압축 공기 분사부재(27a)는 도어 부재(24a)의 개폐와 상응하여 압축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출구 게이트(26) 및 입구 게이트(24)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이송 부재(52)와 프레임(40)은 가열 챔버(30) 내부의 열기에 의하여 열팽창을 하게 된다. 프레임(40)은 지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라 자유로이 열팽창을 할 수 있다. 즉, 프레임(40)에는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송 부재(52)에 걸리는 텐션은 텐션 조절 유니트(56)에 의하여 조절된다.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이송 부재(52)가 열팽창을 하는 경우에는 위치 조절 부재(56b)를 이용하여 베어링 부재(56a)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 부재(52)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열 챔버(30)의 외부까지 몰드(10)를 이송한 적재부(58)는 방향 전환 부재(55)에 의하여 그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원래의 위치로 회송된다. 적재부(58)는 회송 과정 중에는 하측 레일 부재(59b)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다수의 MSPC 제품용 몰드를 소정 온도까지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둘째, 온도 변화에 따른 열팽창과 열수축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Claims (8)

  1. 입구 및 상기 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출구를 연결하는 밀폐된 몰드 이동 경로가 설치된 가열 챔버;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구 게이트;
    상기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출구 게이트; 및
    상기 가열 챔버 내부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니트는,
    상기 가열 챔버의 급기구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가열 챔버로부터 차가워진 공기를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공기를 히터 부재로 가열하여 상기 급기구를 통하여 다시 상기 가열 챔버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가열 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덕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니트는 상기 순환 덕트부 또는 상기 가열 챔버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압력 조절 덕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니트는, 상기 급기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몰드의 전방 측면부재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분기 덕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는,
    소정의 도어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 부재;
    상기 도어 부재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부재 및, 상기 도어 부재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센서 부재의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가열 챔버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공기 분사 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공기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챔버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온도에 따른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가능하도록 지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무한 궤도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몰드를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 및
    상기 이송 유니트에 작용하는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 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몰드를 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 챔버에 무한 궤도상으로 설치된 이송 부재; 및
    상기 몰드가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부재에 설치된 적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니트는 상기 무한 궤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부재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조절 유니트는,
    상기 방향 전환 부재의 방향 전환축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각각 그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위치 조절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위치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베어링 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송 부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KR20-2004-0029109U 2004-10-14 2004-10-14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KR200372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109U KR200372861Y1 (ko) 2004-10-14 2004-10-14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109U KR200372861Y1 (ko) 2004-10-14 2004-10-14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046A Division KR20060033101A (ko) 2004-10-14 2004-10-14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861Y1 true KR200372861Y1 (ko) 2005-01-15

Family

ID=4944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109U KR200372861Y1 (ko) 2004-10-14 2004-10-14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6547A (en) Heat treatment method using a zoned tunnel furnace
KR101093947B1 (ko) 트롤리 컨베이어를 이용한 박판글라스 강화 열처리장치
CN109624055A (zh) 一种地铁管片的自动化生产线
EP2255142B1 (en) A method for firing ceramic products and a kiln therefor
KR200372861Y1 (ko)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KR20060033101A (ko) Mspc 제품용 몰드의 가열 장치
KR20090131328A (ko) 폐고무용 열분해장치
KR200372862Y1 (ko) Mspc 제품용 몰드의 냉각 장치
KR20010023294A (ko) 건축 패널 및 그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1149282B1 (ko) 프레스 경화 공정용 가열로장치
KR100662742B1 (ko) Mspc 제품용 몰드의 이송 장치
KR20060033102A (ko) Mspc 제품용 몰드의 냉각 장치
KR100665707B1 (ko) Mspc 조성물 타설 방법
KR100649162B1 (ko) Mspc 제품용 몰드의 탈형 방법
KR20050037115A (ko) Mspc 제품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206475292U (zh) 一种陶瓷坯体成型自动生产线
KR100654937B1 (ko) 이송 적재기
KR20050037117A (ko) Mspc 조성물 이송장치
KR200428695Y1 (ko)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CN212457861U (zh) 一种多炉腔步进式加热炉
KR102595269B1 (ko) 자동 연속 양생라인을 갖는 친환경 고품질 제조원가 절감형 phc 파일 양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
JPS633236B2 (ko)
FI79516C (fi) Ungsanordning foer boejning av glasskivor.
NZ210808A (en) Apparatus for soaking hot and/or cold steel pieces:soaking furnace has heating zone and soaking zone;heating zone is connected to a preheating chamber
JPH11198125A (ja) コンクリート成形品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