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648Y1 -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648Y1
KR200372648Y1 KR20040028946U KR20040028946U KR200372648Y1 KR 200372648 Y1 KR200372648 Y1 KR 200372648Y1 KR 20040028946 U KR20040028946 U KR 20040028946U KR 20040028946 U KR20040028946 U KR 20040028946U KR 200372648 Y1 KR200372648 Y1 KR 200372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ring
cleaning member
socke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8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to KR20040028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시 휴대폰의 악세사리 기능을 하는 휴대폰 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필요시 휴대기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Camera lens cleaner for a portable devices}
본 고안은 일반적인 휴대기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카메라 렌즈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휴대성과 장식성과 더불어 카메라 렌즈 클리너로서의 기능까지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휴대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휴대폰이 출시 및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휴 대폰은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휴대폰으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결재 등 다양한 기능이 일반화 되어있으며, 최근에는 휴대폰에 카메라 렌즈를 설치하여 휴대폰으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휴대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렌즈를 장착한 휴대폰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01432호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에 발 맞추어, 휴대폰 줄도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폰에 걸어 휴대폰을 안전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휴대수단으로서의 기능만을 지니고 있었으나, 이러한 휴대폰 줄에 열쇠고리, 인형, 발광안테나 등의 각종 악세사리가 부가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된 종래의 휴대폰은 휴대폰의 악세사리 기능을 겸비하면서 휴대폰의 주요부위인 카메라 렌즈가 오염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는 수단이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 휴대폰을 장식하는 악세사리 기능을 하는 휴대폰 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필요할 경우 휴대기기의 카메라 렌즈 부위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클리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클리닝부재 120 : 고리체
122 : 링부 123 : 심
124 : 그립부 125 : 삽입부
126 : 소켓부 127 : 끼움홈
128 : 숫나사부 130 : 캡
132 : 암나사부 134 : 끼움홀
140 : 연결줄 200 : 카메라 렌즈 클리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는 고리체; 상기 고리체에 결합되는 클리닝부재; 상기 클리닝부재를 커버하는 캡; 및 상기 캡에 연결되는 연결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리체는 링부와, 상기 링부와 결합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고정되며 상기 클리닝부재가 끼워지는 소켓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켓부는 상기 캡과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달리, 상기 고리체는 링부와, 상기 링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링부 일측에 형성되는 심과, 상기 심과 연결되며 상기 클리닝부재가 끼워지는 소켓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켓부는 상기 캡과 나사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와 상기 링부 및 상기 심은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는 휴대폰 악세사리의 기능과 함께 카메라 렌즈를 닦을 수 있는 클리너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하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휴대기기 중에서 특히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휴대폰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 밖에 카메라 렌즈가 장착되어 있는, 예컨대,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인 PDA 등 손으로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휴대기기에 적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200)는 클리닝부재(110)가 장착된 고리체(120)와, 상기 고리체(1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클리닝부재(110)를 커버하는 캡(130)과, 상기 캡(130)과 연결되어 휴대폰에 걸어지는 연결줄(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리체(120)는 손가락에 걸 수 있는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는 링부(122)와 상기 링부(122)와 결합되는 그립부(12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그립부(124)와 맞물리게 되는 상기 링부(122)의 개방된 양단에는 상기 링부(12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는 직선형태의 심(123)이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124)에는 클리닝부재(11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27)이 내측부에 형성된 소켓부(126)가 결합된다.
상기 소켓부(126)는 그립부(124)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그 하단부가 링부(122)에 형성된 심(123)의 끝단과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소켓부(126)는 상기 링부(122)와 상기 심(123)과 함께 다이캐스팅 성형하여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일반적인 용접에 의한 고정방식에 비하여 작업공정이 단순화될뿐 아니라 소켓부(126)와 심(123)과의 용접시 소켓부(126)의 축이 뒤틀려 발생되는 결합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126)는 그립부(124)에 형성된 삽입홈(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126)의 돌출된 외면상에는 캡(1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숫나사부(128)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캡(130)의 내면상에는 암나사부(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130)은 그립부(124)에 고정된 소켓부(126)로부터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캡(130)과 소켓부(126)를 나사체결에 의한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사용에 따른 유사시 고리체(120)가 캡(130)으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리닝부재(110)는 카메라 렌즈 닦기에 적합한 인공피혁의 일종인 샤무드(chamude) 원단을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형광펜의 펜 촉과 같은 발포성형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게 되며, 카메라 렌즈의 좁은 구석에 묻어 있는 이물질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도록 그 끝부분을 펜(pen)의 촉 형상 처럼 뾰족한 구조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클리닝부재(110)는 소켓부(126)에 형성된 끼움홈(127) 내에 압입방식으로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아 같이 클리닝부재(110)를 끼움홈(127)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클리닝부재(110)의 마모나 파손시 고리체(12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새로운 클리닝부재로 갈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와는 달리 클리닝부재(110)의 외면상에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소켓부(126)의 내면상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고리체(120)와 대향하는 상기 캡(130)의 끝단에는 휴대폰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줄(140)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캡(130)에는 상기 연결줄(140)이 끼워지는 끼움홀(13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줄(140)은 끝단에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홀(134)반대편에서 끼워 넣어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카메라 렌즈 클리너(200)는 평상시 연결줄(140)을 통해 휴대폰에 연결하여 악세사리 및 손가락에 걸 수 있는 행거(hanger)로 사용하다가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닦고자 할 경우 고리체(120)를 캡(130)으로부터 분리한 후 클리닝부재(110)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닦아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클리닝부재(110)가 마모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고리체(12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새로운 클리닝부재로 갈아 끼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매우 실용적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의 카메라 렌즈 클리너는 외형을 링 타입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평상시 손가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행거의 기능을 담당하다가 필요 시에는 카메라 렌즈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클리너로서의 기능을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폰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휴대 편의성을 제공함과 함께 콤펙트하고 미려한 외부 디자인으로 장식성이 향상됨에 따라 악세사리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클리닝부재를 고리체에 형성된 소켓부 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클리닝부재의 마모 또는 파손시 고리체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새로운 클리닝부재로 갈아 끼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매우 실용적이다
셋째, 캡과 고리체를 나사체결 방식에 의한 자유로운 착탈 구조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캡이 고리체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넷째, 클리닝부재를 펜 촉 형상과 같이 끝이 뾰족한 구조로 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작은 구경의 카메라 렌즈나 렌즈의 좁은구석에 묻어 있는 이물질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섯째, 소켓부를 링부와 심과 함께 다이캐스팅 성형하여 일체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소켓부가 그립부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기타 일반적인 용접 고정방식에 비해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소켓부와 심과의 용접시 소켓부의 축이 뒤틀려 발생되는 결합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고리체;
    상기 고리체에 결합되는 클리닝부재;
    상기 클리닝부재를 커버하는 캡; 및
    상기 캡에 연결되는 연결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체는,
    링부;
    상기 링부와 결합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고정되며 상기 클리닝부재가 끼워지는 소켓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켓부는 상기 캡과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체는,
    링부;
    상기 링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링부 일측에 형성되는 심;
    상기 심과 연결되며 상기 클리닝부재가 끼워지는 소켓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켓부는 상기 캡과 나사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와 상기 링부 및 상기심은 다이캐스팅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KR20040028946U 2004-10-13 2004-10-13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KR200372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8946U KR200372648Y1 (ko) 2004-10-13 2004-10-13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8946U KR200372648Y1 (ko) 2004-10-13 2004-10-13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648Y1 true KR200372648Y1 (ko) 2005-01-15

Family

ID=4113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8946U KR200372648Y1 (ko) 2004-10-13 2004-10-13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1756A1 (en) * 2007-09-28 2009-04-02 Minco Ls Inc. Portable accessory with replaceable exterior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1756A1 (en) * 2007-09-28 2009-04-02 Minco Ls Inc. Portable accessory with replaceable exterior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2648Y1 (ko)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US20180019776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detachable wireless module and method thereof
KR20060032727A (ko) 휴대기기용 카메라 렌즈 클리너
KR200379805Y1 (ko) 핑거스트랩
US7637681B2 (en) Writing implement and chopstick combination
JP3172736U (ja) 容量式パネル用タッチペン
KR200396198Y1 (ko) 스타일러스 팬
KR200326363Y1 (ko) 이동통신기기 장신구 겸용 청소용구
KR200218256Y1 (ko) 필기구 휴대장치
KR200396529Y1 (ko) 패션 액세서리 장착용 연결구조
CN207995191U (zh) 一种基于射电干涉技术的双摄像手机壳
KR20041783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세서리 크리너
KR200396528Y1 (ko) 패션 액세서리용 회전 연결구조
TWI386007B (zh) 具可分離式接聽裝置之攜帶型電子裝置
KR200461710Y1 (ko) 다용도 걸이용 캡
KR200209072Y1 (ko) 이동전화의 안테나겸용 발광램프
KR200368170Y1 (ko) 다기능 휴대폰 목걸이 줄
KR200324645Y1 (ko) 휴대폰 탈착형 필기구
KR100451177B1 (ko)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KR200363062Y1 (ko) 클리너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줄
CN201004123Y (zh) 一种游泳眼镜
KR200447545Y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 액세서리
KR200405052Y1 (ko)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JP3142387U (ja) ペン機能付き箸
CN2731491Y (zh) 多功能镜片喷雾清洁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