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288Y1 -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288Y1
KR200372288Y1 KR20-2004-0025949U KR20040025949U KR200372288Y1 KR 200372288 Y1 KR200372288 Y1 KR 200372288Y1 KR 20040025949 U KR20040025949 U KR 20040025949U KR 200372288 Y1 KR200372288 Y1 KR 200372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in body
door
spur ge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춘식
Original Assignee
윤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춘식 filed Critical 윤춘식
Priority to KR20-2004-0025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2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를 감지하게 되면 신속하게 아암과 소결판이 걸림해지상태로 전환되어 도어를 닫아 유독가스를 차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의 타측면으로 볼(31)(31')과 스프링(32), 스퍼기어회전구(40)와 베어링(43), 스넵링(44), 그리고 감지기(50)가 삽입고정되고, 본체(10)의 일측면으로 암대(61)와 소결판(67)이 결합볼트(71)와 결합너트(72)로 결합고정되며, 본체(10)의 앞면으로 모터기어(81)가 장착된 모터(80)가 삽입되어진 후, 본체(10)는 케이스(91)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연기감지센서에 연기가 감지되면 신호를 보내어 모터(80)와 모터기어(81)가 구동하게 되고 모터기어(81)와 맞물려있는 스퍼기어회전구(40)도 회전하게 되어 볼(31')이 스퍼기어회전구(40)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된 볼구름구(41)의 안으로 구르게 되므로 볼(31'), 스프링(32), 볼(31)이 차례로 뒤로 밀리게 되면 소결판(67)의 걸림홈(64)과 볼(31)이 걸림해지가 되어 도어가 닫히게 되는 구조로 유독가스를 신속하고 쉽게 차단시켜 큰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Smoke perception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system of fireproof door}
본 고안은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작동부에 암대와 결합된 소결판이 삽입되고, 본체의 앞면에 형성된 모터부와 모터기어부로 모터기어가 장착된 모터가 장착되며, 본체 내부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관으로 볼과 스프링이 삽입되어지고, 본체 타측면으로 스퍼기어회전구와 베어링이 삽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어클로저의 아암과 문틀사이에 연결설치됨으로써,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를 감지하게 되면 신속하게 아암과 소결판이 걸림해지상태로 전환되어 도어를 닫아 유독가스를 차단시키는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여러 건의 실용신안 및 특허출원중인 바 있으며,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 제 0328911호에서는 도어의 걸림과 걸림해지를 위해 스퍼기어가 부착된 모터와 스퍼기어볼트를 사용하여 방화 시 연기를 감지하면 신속하게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0329541호에서는 도어의 걸림과 걸림해지를 위해 렉기어가 형성되고 베어링이 장착된 샤프트와 기어가 장착된 모터가 구비되어 방화 시 연기를 감지하면 신속하게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게 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0329725호에서는 원통형의 아암 일측으로 삽입되어 내장된볼이 본체의 작동부에 삽입된 소결판의 걸림홈과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고 도어의 걸림과 걸림해지가 이루어지는 도어걸림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0338171호에서는 일측면으로 안내홈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삽입·장착되는 스퍼기어가 스러스트 베어링과 지지볼트에 의해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스퍼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모터가 구비되어 도어의 걸림과 걸림 해지가 이루어지는 도어걸림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0338187호에서는 본체내부로 일측면 원주를 따라 안내턱이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감지돌기가 역시 반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퍼기어회전구가 삽입되어, 상기 스퍼기어회전구의 180˚회전으로 도어의 걸림, 걸림해지가 이루어지는 도어걸림장치를 제시한 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선출원 도어걸림장치들과는 달리 장방형으로 형성된 본체의 일측면으로 작동부와 조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앞면에는 모터부와 모터기어부가 형성되며, 본체의 타측면 내부에는 회전부와 감지부가 형성되어, 작동부에는 암대와 소결판이 삽입되고, 모터부와 모터기어부에는 모터기어가 장착된 모터가 삽입되며, 회전부와 감지부에는 각각 스퍼기어회전구와 감지기가 삽입되어져 상기 모터기어와 상기한 스퍼기어회전구의 스퍼기어가 맞물려 회전가능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스퍼기어회전구의 회전으로 도어의 걸림과 걸림 해지가 이루어지는 방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로써, 상세한 내용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방화용 도어의 도어클로저에 연기감지형 자동개폐장치, 즉모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퍼기어회전구가 장착되며, 볼구름구가 형성된 상기 스퍼기어회전구의 일측면에 볼이 맞닿여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되면 연기감지센서로 유독가스가 감지되어 제어부를 통해 모터가 구동이 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시 모터기어와 스퍼기어회전구의 스퍼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되어 스퍼기어회전구가 회전함에 따라 소결판과 맞물린 볼이 스퍼기어회전구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구름구로 구르게 되면서 뒤로 밀리게 되어 소결판의 걸림상태가 해지되면서 도어를 닫아 유독가스를 신속하고도 쉽게 차단시켜 큰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a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본체 사시도, b는 a의 A - A'선 절개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본체 사시도, b는 a의 B - B'선 절개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볼의 걸림상태도, b는 도어걸림해지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볼의 걸림해지상태도.
도 5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감지기의 상태도, b는 도어걸림해지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감지기의 작동도.
도 6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상태시 종단면도, b는 도어걸림상태시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해지상태시 종단면도, b는 도어걸림해지상태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작동부
12 : 조임부 13,13' : 결합공
14 : 모터부 15 : 모터기어부
16 : 삽입관 17 : 회전부
18 : 고정구 19 : 감지부
21,21',22,22' : 고정공
31,31' : 볼 32 : 스프링
40 : 스퍼기어회전구 41 : 볼구름구
42 : 감지돌기 43 : 베어링
44 : 스넵링
50 : 감지기 51 : 감지센서
52 : 가이드
61 : 암대 62, 65 : 톱니부
63,66 : 결합공 64 : 걸림홈
67 : 소결판
71 : 결합볼트 72 : 결합너트
80 : 모터 81 : 모터기어
91 : 케이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a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본체 사시도, b는 a의 A - A'선 절개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본체 사시도, b는 a의 B - B'선 절개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볼의 걸림상태도, b는 도어걸림해지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볼의 걸림해지상태도, 도 5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감지기의 상태도, b는 도어걸림해지상태시 스퍼기어회전구와 감지기의 작동도, 도 6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상태시 종단면도, b는 도어걸림상태시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인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해지상태시 종단면도, b는 도어걸림해지상태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하단부에 형성된 작동부(11)와, 상기 작동부(11)와 결합공(13)으로 연결되며 본체(10)의 일측을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임부(12)와, 앞면에는 깊이를 두고 형성된 모터부(14)와 모터기어부(15)와, 본체(10)의 내부 하단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11)와 연결된 삽입관(16)과, 타측면내부로 형성된 원형의 회전부(17)와 고정홈(18)과, 상기 회전부(17)의 상단에 형성된 감지부(19)로 이루어지는 본체(1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단중앙에 형성된 삽입관(16)으로 삽입되는 볼(31)(31')과 스프링(32)과; 상기 본체(10)의 타측면 내부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부(17)에 삽입되는 스퍼기어회전구(40)와 베어링(43)과; 상기 본체(10)의 고정홈(18)에 끼워져 고정시키는 스넵링(44)과; 상기 본체(10)의 감지부(19)에 장착되는 감지기(50)와; 본체(10) 일측면에 형성된 작동부(11)에 삽입되는 암대(61)와 소결판(67)과; 상기 조임부(12)의 삽입되어 결합공(13)에 끼워지는 결합볼트(71)와 본체(10)하단부에 위치한 결합공(13')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볼트(71)와 결합되는 결합너트(72)와; 상기 본체(10)의 앞면에 위치한 모터부(14)와 모터기어부(15)에 삽입되는 모터기어(81)가 장착된 모터(80)와; 상기 본체(10)가 끼워지는 케이스(91)로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단중앙에 위치한 삽입관(16)으로 볼(31)과 스프링(32), 볼(31')을 차례로 삽입하고, 삽입관(16)과 연결형성된 회전부(17)로 스퍼기어회전구(40)와 베어링(43)이 차례로 삽입된 후, 회전부(17)에 형성된 고정홈(18)으로 스넵링(44)이 끼워져 고정되어진다.
이때, 스퍼기어회전구(40)의 일측면은 반호형상의 볼구름구(41)가 한쪽으로 경사지게 함몰형성되어 있어 삽입관(16)내의 볼(31')과 맞물려 회전되게 형성되며, 타측면으로는 외주면을 따라 감지돌기(4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7)의 상단부에 형성된 감지부(19)로 가이드(52)에 연결된 감지기(50)가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감지기(50)의 하단부에 위치한 감지센서(51)는 스퍼기어회전구(40)의 타측면에 형성된 감지돌기(42)에 의해 인아웃(in-out)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작동부(11)에는 암대(61)와 소결판(67)이 서로 결합한 형태로 삽입되어져 상기 소결판(67)의 타측면에 형성된 걸림홈(64)에서 상기 삽입관(16)내의 볼(31)이 걸림, 혹은 걸림해지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상기 작동부(11)의 상단에 위치하며, 본체(10)의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임부(12)에 결합볼트(71)이 삽입되어 조임부(12)의 하단면 중앙에 위치한 결합공(13)에 끼워지고, 작동부(11)의 하단면 중앙에 위치한 결합공(13')에는 결합너트(72)가 끼워짐으로서 본체(10)의 작동부(11)에 암대(61)와 소결판(67)이 결합볼트(71)와 결합너트(72)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암대(61)의 바닥면은 톱니부(62)가 형성되어 상기 소결판(67)의 상면에 위치한 톱니부(65)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도어의 정지각을 지정하여 준다.
상기 소결판(67)의 타측면 중앙에는 반호형의 걸림홈(64)이 형성되어 본체(10) 내의 삽입관(16)내의 볼(31)과 서로 맞물려 걸림 혹은 걸림해지의 기능을 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면에 위치한 모터부(14)와 모터기어부(15)로 모터기어(81)가 장착된 모터(80)가 삽입되면 모터기어(81)는 상기한 스퍼기어회전구(40)의 일측에 위치한 스퍼기어와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됨으로서 스퍼기어회전구(40)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구조이다.
상기 본체(10)의 타측면으로 볼(31)(31')과 스프링(32), 스퍼기어회전구(40)와 베어링(43), 스넵링(44), 그리고 감지기(50)가 삽입고정되고, 본체(10)의 일측면으로 암대(61)와 소결판(67)이 결합볼트(71)와 결합너트(72)로 결합고정되며, 본체(10)의 앞면으로 모터기어(81)가 장착된 모터(80)가 삽입되어진 본체(10)는 케이스(91)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91)는 미관상 수려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제조회사 혹은 시공회사의 로고 등이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방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의 도어걸림상태 즉, 문이 열린상태를 살펴보면 도 4a 및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걸림상태일때 볼(31')은, 스퍼기어회전구(40)의 일측면에, 한쪽면이 경사지게 함몰형성된 반호형의 볼구름구(41)의 경사진 한쪽면의 끝에 위치하고 있어 맞은편 볼(31)이 소결판(67)의 걸림홈(64)과 서로 맞물리게 하여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도어걸림해지상태 즉, 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4b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걸림해지상태일때 화재시 연기가 감지되면 모터기어(81)에 의해 스퍼기어회전구(40)가 회전하게 되어 한쪽면이 경사지게 함몰형성된 반호형의 볼구름구(41)의 위치가 180˚회전 이동되면 볼(31')이 제자리에서 굴러 함몰된 반호형 볼구름구(41)로 이동하므로 볼(31')과 스프링(32), 맞은편 볼(31)이 차례로 뒤로 밀리게 됨으로서, 소결판(67)의 걸림홈(64)이 볼(31)과 걸림해지되어 회전하게 되면 문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걸림상태 혹은 도어걸림해지상태를 조절하는 스퍼기어회전구(40)의 회전이동은 상기 감지부(19)에 삽입장착된 가이드(52)에 연결된 감지기(50)의 하단부에 위치한 감지센서(51)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어걸림상태시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관(16)내의 볼(31')은 볼구름구(41)의 경사진 한쪽면의 끝부분에 위치하며 이때 스퍼기어회전구(40)의 타측면에 위치한 걸림돌기(42)는 감지기(50)의 하단에 위치한 감지센서(51)과 맞닿이지 않아 신호를 주지 않는 (out)상태로 스퍼기어회전구(4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화재시 연기감지로 인해 도어걸림해지상태가 되면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즉, 연기감지센서에서 신호를 받은 모터(80)의 모터기어(81)에 의해 스퍼기어회전구(40)가 회전하여 스퍼기어회전구(40)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구름구(41)가 회전 이동되고 삽입관(16)내의 볼(31')의 위치가 함몰된 볼구름구(41)로 이동되어 볼(31)(31')과 스프링(32)의 위치가 뒤로 밀리어 소결판(67)의 걸림홈(64)과 볼(31)이 걸림해지상태가 될때, 상기 스퍼기어회전구(4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서, 볼(31')이 구르는 동안 스퍼기어 회전구(40)의 타측면에 위치한 걸림돌기(42)가 감지기(50)의 하단에 위치한 감지센서(51)를 눌러 신호를 주어서(in) 스퍼기어회전구(40)의 회전이 계속되게 되는 상태이다.
볼(31')이 함몰된 볼구름구(41)에 도착하여 볼(31')의 구름이 멈춰지는 때에는 도 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42)가 감지센서(51)와 떨어지게 되어 신호를 주지 않게(out) 되어서 스퍼기어회전구(40)의 회전이 멈춰지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스퍼기어회전구(40)의 걸림돌기(42)와 감지기(50)의 하단에 위치한 감지센서(51)의 인아웃(in-out)의 구조는 화재시 도어걸림해지설정 뿐만 아니라 화재진압후 도어걸림상태로의 초기화(재셋팅)가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서 도어걸림설정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되면 모터(80)의 모터기어(81)에 의해 스퍼기어회전구(40)가 다시 회전하게 되어 볼(31')이 다시 삽입관(16)으로 밀려들어가 스프링(32)과 볼(31) 또한 앞으로 위치이동하여 소결판(67)의 걸림홈(64)과 볼(31)이 다시 맞물려 도어걸림상태가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가 걸림상태가 되는 동안, 즉, 볼(31')이 구르는 동안 스퍼기어회전구(40)의 타측면에 형성된 감지돌기(42)는 상기 감지기(50)의 감지센서(51)와 다시 맞닿이게 되어 신호를 주게(in) 되어 모터(40)를 계속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모터(40)는 정, 역방향의 구동이 아니라 한방향의 구동만으로도 걸림혹은 걸림해지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걸림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6a 내지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연기감지센서에 연기가 감지되면 신호를 보내어 모터(80)를 구동시키며 상기 모터(80)가 구동하게 되면 모터(80)에 장착된 모터기어(8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기어(81)와 맞물려있는 스퍼기어회전구(40)도 회전하게 되어 볼(31')이 스퍼기어회전구(40)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된 볼구름구(41)의 안으로 구르게 되므로 볼(31'), 스프링(32), 볼(31)이 차례로 뒤로 밀리게 되면 소결판(67)의 걸림홈(64)과 볼(31)이 걸림해지가 되어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가 걸림해지된 후, 스퍼기어회전구(40)의 타측면에 형성된 감지돌기(42)는 상기 감지기(50)의 감지센서(51)와 떨어지게 되어 신호를 더 이상 주지 않게 되면(out) 모터(80)의 구동이 정지되고 스퍼기어회전구(4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후 초기화 단계로 다시 재 셋팅을 할 경우 도어걸림설정버튼(미도시)를 눌러주게 되면 모터(80)가 다시 구동하여 모터(80)에 장착된 모터기어(8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기어(81)와 맞물려있는 스퍼기어회전구(40)도 회전하게 되어 볼(31')이 스퍼기어회전구(40)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된 볼구름구(41)에서 구르게 되므로 볼(31'), 스프링(32), 볼(31)이 앞으로 이동하면서 소결판(67)의 걸림홈(64)과 볼(31)이 걸림상태가 되고, 상기 도어가 걸림상태가 된 후, 스퍼기어회전구(40)의 감지돌기(42)는 상기 감지기(50)의 감지센서(51)와 다시 떨어지게 되어 신호를 주지 않게 되면(out) 모터(4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방화용 도어의 걸림 및 걸림해지를 위한 수단으로 본체(10)의 타측면으로 볼(31)(31')과 스프링(32), 스퍼기어회전구(40)와 베어링(43), 스넵링(44), 그리고 감지기(50)가 삽입 고정되고, 본체(10)의 일측면으로 암대(61)와 소결판(67)이 결합볼트(71)와 결합너트(72)로 결합 고정되며, 본체(10)의 앞면으로 모터기어(81)가 장착된 모터(80)가 삽입되어진 본체(10)가 사용되어지며, 상기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의 경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는 본체의 타측으로, 일측면에 볼구름구가 반호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스퍼기어회전구가 내장되고, 볼이 상기 볼구름구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여 위치 이동함으로써, 도어걸림작동 혹은 도어걸림해지작동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연기감지센서로 감지가 되면 모터가 구동이 되고, 상기 모터의 모터기어와 맞물려서 스퍼기어회전구가 회전하여 스퍼기어회전구의 일측면상에 형성된 볼구름구로 볼이 구르게 되면 볼과 스프링, 하우징이 뒤로 밀림과 동시에 소결판의 걸림홈과 볼이 신속하게 걸림해지됨으로서 도어를 닫아 유독가스를 신속하고 쉽게 차단시켜 큰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방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10)의 내부 하단중앙에 형성된 삽입관(16)으로 볼(31), 스프링(32), 볼(31')이 차례로 삽입되며, 본체(10)의 타측면 내부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부(17)에 스퍼기어회전구(40)와 베어링(43)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회전부(17)의 상단에 형성된 감지부(19)에 감지기(50)가 장착되며, 본체(10) 일측하단부에 형성된 작동부(11)에 암대(61)와 소결판(67)이 삽입되고, 상기 스퍼기어회전구(40)는 모터기어(81)와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기어회전구(40)는 일측면에 반호형상의 볼구름구(41)가 한쪽으로 경사지게 함몰형성되어 있어 삽입관(16)내의 볼(31')이 볼구름구(41)를 따라 회전되게 형성되며, 타측면으로는 외주면을 따라 감지돌기(42)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50)의 하단부에 위치한 감지센서(51)에 의해 스퍼기어회전구(40)의 회전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대(61)의 바닥면은 톱니부(62)가 형성되어 상기 소결판(67)의 상면에 위치한 톱니부(65)와 서로 맞물려 형성되며, 암대(61)와 소결판(67)은 본체(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작동부(11)에 서로 결합한 형태로 삽입되어지고, 상기한 작동부(11)에서는 소결판(67)의 타측면에 형성된 걸림홈(64)과 상기 삽입관(16)내의 볼(31)이 걸림, 혹은 걸림해지의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11)의 상단에 위치한 조임부(12)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3)에 결합볼트(71)가 삽입되어 끼워지고, 작동부(11)의 하단면 중앙에 위치한 결합공(13')에는 결합너트(72)가 끼워져 상기 결합볼트(71)와 결합고정됨으로서 본체(10)의 작동부(11)에 암대(61)와 소결판(67)이 결합볼트(71)와 결합너트(72)로 결합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KR20-2004-0025949U 2004-09-09 2004-09-09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KR200372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49U KR200372288Y1 (ko) 2004-09-09 2004-09-09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49U KR200372288Y1 (ko) 2004-09-09 2004-09-09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187A Division KR20060023366A (ko) 2004-09-09 2004-09-09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288Y1 true KR200372288Y1 (ko) 2005-01-10

Family

ID=4944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49U KR200372288Y1 (ko) 2004-09-09 2004-09-09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2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62Y1 (ko) 2008-06-17 2011-02-08 (주) 경진에스디에스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용 암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62Y1 (ko) 2008-06-17 2011-02-08 (주) 경진에스디에스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용 암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713B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그 시스템.
JP3169281U (ja) 回転式缶切り
KR101486167B1 (ko) 방화도어 자동폐쇄장치
KR101534935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524344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0372288Y1 (ko)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KR20060023366A (ko)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KR101195317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0656890B1 (ko) 연기감지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1225960B1 (ko)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
KR101442922B1 (ko) 도어클로저 폐쇄장치
KR20100027818A (ko) 비상시 도어를 닫을 수 있는 플로어 힌지
KR100853747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KR100567775B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JP2002168014A (ja) ドアロック遠隔操作装置
JP2004308929A (ja) ボルトアクション銃の安全装置
KR200338171Y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KR200338187Y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KR100567774B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KR200328911Y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KR100567769B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JP2011179240A (ja) 錠前
KR100567771B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KR101503846B1 (ko) 창문용 자동 폐쇄장치
KR200329541Y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