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057Y1 -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057Y1
KR200372057Y1 KR20-2004-0028362U KR20040028362U KR200372057Y1 KR 200372057 Y1 KR200372057 Y1 KR 200372057Y1 KR 20040028362 U KR20040028362 U KR 20040028362U KR 200372057 Y1 KR200372057 Y1 KR 200372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coupling
vegetation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to KR20-2004-0028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블록을 연결하는 블록연결부위가 긴밀하게 조립되어 안정된 적층상태가 유지되고 블록을 수직형 또는 계단형으로 간편하게 설치할수 있으며 충분한 식생기반을 갖는 구성으로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즉, 블록(10)의 양측연결단면(26)(26')에 결합홈(28)과 결합돌기(30)가 형성되어 연결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하단 가운데부분에 잘룩한 요입부(14)(14')가 형성되고 그 양측은 요입부(14)(14')에 반분결합될수 있는 결합단부(22)(22')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요입부(14)후방에 상단 결합단부(22)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받침돌부(16)가 형성되고 하단 결합단부(22')는 받침돌부(16)에 끼워질수 있는 접속홈(24)이 형성되며 다수의 상하,좌우블록이 좌우방향 및 앞뒤방향으로 서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vegetation block for assembly revetment}
본 고안은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블록을 연결하는 블록연결부위가 긴밀하게 조립되어 안정된 적층상태가 유지되고 블록을 수직형 또는 계단형으로 간편하게 설치할수 있으며 충분한 식생기반을 갖는 구성으로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절개지, 하천둑등의 토사붕괴및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비온(gabion: 육각형철망)공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개비온은 육각철망내에 자연석을 채워 쌓은 것이기 때문에 철망의 일부분이 훼손되는 경우에는 자연석이 낙하되는등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고 자연석의 구입및 시공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철망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않고 식생기반이 부족하여 환경친화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감안하여 다수의 옹벽용 블록을 연결설치하는 경우에는 블록과블록의 상하,좌우를 고정핀으로 연결조립상태가 유지토록하는 결속수단을 사용하거나 블록의 상하단면 및 양측단면의 일부분에 결합홈부와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이를 대응결합하는 수단으로 블록을 연결조립설치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연결단면의 일부분만 끼워진 형태여서 밀착력이 크게 떨어지고 블록을 수직 또는 계단형과 같이 어느 한가지 용도로만 조립할수 있었을 뿐만 식생공간도 충분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블록은 상하단 가운데 부분이 잘룩한 요입부가 형성되고 양측단에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단차를 갖는 구성으로 블록의 요입부에 또 다른 블록의 결합단부가 상,하단에서 반분결합되어 상하 및 좌우로 연결설치되는 블록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유지토록하고, 블록의 상단요입부 일측에 결합단부와 동일선상의 받침돌부가 형성되고 블록의 하단결합단부에 상기 받침돌부에 끼워질수 있는 2개의 접속홈이 형성되어 블록의 가운데 요입부에 또다른 블록의 결합단부가 반분결합될때 요입부의 받침돌부에 결합단부의 접속홈이 끼워져서 상하블록이 앞뒤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갖고 블록의 양측 연결단면은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서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갖게 되어 있다.
또, 블록의 요입부에 식생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블록을 수직형태 또는 계단형으로 간단하게 설치할수 있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의 직선형 배치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의 곡선형 배치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블록을 수직형으로 배치한 측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블록을 계단형으로 배치한 측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2 : 표면
14,14' : 요입부 16 : 받침돌부
18 : 식생공간부 18a : 식생안내홈
20 : 배수홈 22,22' : 결합단부
24 : 접속홈 26,26' : 연결단면
27 : 부재삽입홈 28 : 결합홈
30 : 결합돌기 32 : 경사면
본 고안의 옹벽용 식생블록은 도로절개지, 하천둑등에 다수의 블록을 연결조립설치하여 토사유실및 토사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서, 블록(10)의 표면(12)은 자연석모양으로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자연석(인조석, 호박돌등과)같은 미감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블록(10)상,하단의 가운데 부분에 잘룩한 요입부(14)(14')가 형성되고 그양측의 상하단에 결합단부(22)(22')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블록의 요입부에 또다른 블록의 결합단부가 반분결합되어 상하,좌우로 연결설치되는 블록(10)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유지토록 되어 있다.
상기 상단 요입부(14)일측에 상단결합단부(22)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받침돌부(16)가 형성되고 하단 결합단부(22)에 2개의 접속홈(24)이 형성되어 선택되는 하나의 접속홈(24)이 또 다른 블록의 받침돌부(16)에 끼워져서 상하블록이 앞뒤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갖고 블록(10)을 수직형 또는 계단형으로 적층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돌부(16)는 상단요입부(14)의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받침돌부(16)전방부에는 식생안내홈(18a)구비된 식생공간부(18)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부(16)에 끼워지는 하단 결합단부(22)의 접속홈(24)은 상기 받침돌부(16)와 동일한 수직선상과 전방위치선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받침돌부(16)와 동일한 수직선상의 접속홈(24)에 끼워지면 블록(10)이 수직형으로 적층연결이 되고 전방의 접속홈(24)에 끼워지면 블록(10)이 계단형으로 적층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 블록(10)의 양측 연결단면(26)(26')은 결합홈(28)과 결합돌기(30)가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블록의 연결단면 끼리 서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갖도록 되어 있으며, 블록(10)양단은 평면상에서 전방폭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32)으로 형성되어 블록(10)을 평면상에서 일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결설치할수 있게 되어 있으며, 블록(10)의 하단요입부(14')중앙은 배수홈(2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블록(10)의 양측연결단면(26)(26')에 소정깊이로 파여진 장방형의 부재삽입홈(27)이 형성되어 시멘트 또는 토사를 채워 연결단면끼리 긴밀히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로절개지의 특성이나 환경조건에 맞추어 블록(10)을 평면상에서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배치하거나 측방향에서 수직형 또는 계단형으로 연결설치하여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먼저,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블록(10)이 밀려나오지 않도록 걸림턱등을 가진 기초지반을 구비한 다음 도6 또는 도7과 같이 블록(10)을 좌우로 연결하는 양측 연결단면(26)(26')의 결합홈(28)과 결합돌기(30)가 서로 대향결합되게 함으로서 블록(10)의 양측 연결단면(26)(26')이 또 다른 블록(10)과 서로 연결된 조립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블록(10)의 양측연결단면(26)(26')에 형성된 부재삽입홈(27)에 시멘트나 토사를 채워 연결단면끼리 긴밀히 연결되게 한다.
이어서 블록(10)을 다단적층하게 될때 도8과 같이 블록(10)의 상단 요입부(14)에 또다른 블록(10)의 하단 결합단부(22')가 반분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연결설치하는 방법으로 적층하게 되면 블록(10)의 상,하단 요입부(14)(14')와 결합단부(22)(22')에 블록이 대응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긴밀하게 결속된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의 도8과 같이 블록(10)을 다단적층하게 될때 블록(10)의 요입부(14)(14')에 또다른 블록(10)의 결합단부(22)(22')가 반분결합되는 과정에서 상단 요입부(10)의 받침돌부(16)에 하단 결합단부(22')의 접속홈(24)이 끼워져서 상하 다단으로 적층되는 블록(10)의 앞뒤가 서로 결속되는 조립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하단 결합단부(22')의 접속홈(24)은 상기 받침돌부(16)와 동일한 수직선상 또는 전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9와 같이 받침돌부(16)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한 접속홈(24)이 끼워지는 경우에는 블록이 수직형으로 배치되는 옹벽을 구축하게 되고, 도 10과 같이 받침돌부(16)의 전방위치선상에 있는 접속홈(24)이 끼워지는 경우에는 블록이 계단형으로 배치되는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상기 도9와 같이 수직형으로 구축된 옹벽에서는 식생안내홈(18a)을 통해 식생공간부(18)에서 식물이 자생하게 되며 도 10과 같이 계단형으로 옹벽을 구축하게 되면 블록(10)의 받침돌부(16)전방에 형성된 식생공간부(18)는 개방형으로 다단구비되어 식물이 자생할수 있는 식생기반을 충분히 갖게 된다.
그리고 블록(10)의 하단 요입부(14')중앙에 배수홈(20)이 형성되어 배수기능을 원활히 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블록은 블록(10)의 상하단 가운데 부분에 잘룩한 요입부(16)(16')가 형성되어 또 다른 블록(10)의 양측 결합단부(22)(22')가 반분결합되어 상하, 좌우로 연결설치되는 블록을 좌우방향에서 서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갖고 블록의 양측 연결단면은 결합홈(28)과 결합돌기(30)에 의해 서로 결속조립된 상태를 갖게 되며, 블록(10)의 상단 요입부(14)에 형성된 받침돌부(16)와 또다른 블록(10)의 하단 결합단부(22')에 형성된 접속홈(24)에 의해 한층 긴밀하게 조립되어 안정된 적층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은 상하좌우로 다단 연결설치되는 블록의 연결부위가 서로 긴밀하게 조립되어 안정된 적층상태를 유지할수 있고 블록을 수직형 또는 계단형으로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연결설치할수 있고 계단형 옹벽 구축시에는 충분한 식생공간을 갖게 되는등 친환경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블록(10)의 양측연결단면(26)(26')에 결합홈(28)과 결합돌기(30)가 형성되어 연결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하단 가운데부분에 잘룩한 요입부(14)(14')가 형성되고 그 양측은 요입부(14)(14')에 반분결합될수 있는 결합단부(22)(22')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요입부(14)후방에 상단 결합단부(22)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받침돌부(16)가 형성되고 하단 결합단부(22')는 받침돌부(16)에 끼워질수 있는 접속홈(24)이 형성되며 다수의 상하,좌우블록이 좌우방향 및 앞뒤방향으로 서로 결속된 조립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요입부(22')의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받침돌부(16)가 형성되고 하단 결합단부(22')는 상기 받침돌부(16)와 동일한 수직선상과 그 전방위치선상에 2개의 접속홈(24)이 각각 형성되어 블록을 수직형 또는 계단형으로 적층연결할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부(16)의 전방부분에 식생안내홈(18a)이 구비된 식생공간부(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하단요입부(14')중앙에 배수홈(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블록(10)의 양측연결단면(26)(26')에 소정깊이로 파여진 장방형의 부재삽입홈(27)이 형성되어 시멘트 또는 토사를 채워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KR20-2004-0028362U 2004-10-07 2004-10-07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KR200372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362U KR200372057Y1 (ko) 2004-10-07 2004-10-07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362U KR200372057Y1 (ko) 2004-10-07 2004-10-07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057Y1 true KR200372057Y1 (ko) 2005-01-10

Family

ID=4944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362U KR200372057Y1 (ko) 2004-10-07 2004-10-07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0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69B1 (ko) * 2019-12-30 2020-08-13 유근무 플라스틱 상자 적층형 옹벽 블록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 및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69B1 (ko) * 2019-12-30 2020-08-13 유근무 플라스틱 상자 적층형 옹벽 블록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 및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2057Y1 (ko)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KR20090001728U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120003971U (ko) 조립식 옹벽블록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646323B1 (ko) 옹벽블록
KR20020024921A (ko) 옹벽용 블록
KR200330438Y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200344552Y1 (ko) 식생호안블럭의 설치구조
KR200353007Y1 (ko) 식생호안블록
KR102124342B1 (ko) 식생이 가능한 절토부 조립형 중력식 녹식생 판넬
KR101784779B1 (ko) 고정홈을 구비한 조립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KR100794802B1 (ko) 호안 구조물용 조립판
KR20090019155A (ko) 식생 블록
KR20050012701A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0581171B1 (ko) 옹벽용 블록
JP3132557U (ja) 環境保全型ブロック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353006Y1 (ko) 식생호안블록
KR200397521Y1 (ko) 옹벽블록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