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701A - 옹벽용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식생블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701A
KR20050012701A KR1020040059405A KR20040059405A KR20050012701A KR 20050012701 A KR20050012701 A KR 20050012701A KR 1020040059405 A KR1020040059405 A KR 1020040059405A KR 20040059405 A KR20040059405 A KR 20040059405A KR 20050012701 A KR20050012701 A KR 2005001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vegetation block
retaining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to KR102004005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701A/ko
Publication of KR2005001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70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02D2200/1635Shapes rectangular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도로절개지등에 다수의 블록을 연결설치하여 시공하는 옹벽용 식생블록에 충분한 식생기반이 구비되어 친환경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블록의 연결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며 설치장소등의 주변환경에 따라 블록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수 있는 옹벽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즉, 자연석무늬모양의 요철부(12a)를 형성한 블록표면(12)과, 블록(10)은 평편상에서 좌우양측에 결합홈부(14)와 결합돌부(16)를 형성하고 블록(10)양단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8)을 형성하며, 블록(10)내부에 상향개구된 식생공간부(20)를 형성하되 식생공간부(20)의 바닥면(22)에 다수의 통공(24)를 형성하여 일부통공(24)에 고정핀(26)을 끼워 블록끼리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식생블록이다.

Description

옹벽용 식생블록{BANK VEGETATION BLOCK}
본 발명은 주로 도로절개지등에 다수의 블록을 연결설치하여 시공하는 옹벽용 식생블록에 충분한 식생기반이 구비되어 친환경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블록의 연결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며 설치장소등의 주변환경에 따라 블록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수 있는 옹벽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절개지등의 토사붕괴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비온(gabion : 육각형철망)공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개비온은 육각철망내에 자연석을 채워 쌓는 것이기 때문에 철망의 일부분만 훼손되더라도 자연석이 낙하되는등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고 자연석의 구입 및 시공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철망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않고 식생기반이 부족하여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표면은 자연석 모양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블록 평면상에서 전방폭은 넓고 후방폭은 좁게 한 경사면을 형성하며 블록내부에 상향개구된 식생공간부의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그 통공을 통해 배수기능과 함과 아울러 일부통공에 고정핀을 끼워 블록과 블록을 결속시키는 구성의 옹벽용 식생블록을 제공하여 도로절개지등의 토사붕괴 및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의 (가)(나) 본 발명의 고정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을 일직선형으로 배치한 평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을 곡선형으로 배치한 평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시킨 측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블록을 계단형으로 배치한 측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후단에 지지줄을 벽체에 매설시킨 상태의 측단면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을 또 다른 형태로 배치한 측단면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블록을 서로 엇갈리게 적층시킨 전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2 : 표면
12a : 요철부 14 : 결합홈부
16 : 결합돌부 18 : 경사면
20 : 식생공간부 20a : 개구부
22 : 바닥면 24 : 통공
26 : 고정핀 28 : 걸고리
29 : 지지줄
본 발명의 옹벽용 식생블록은 도로절개지등에 다수의 블록을 연결설치하며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서, 블록(10)의 표면(12)은 자연석모양으로 다수의 요철부(12a)를 형성하여 자연석(인조석, 호박돌등)과 같은 미감을 갖도록 한다.
블록(10)은 평면상에서 좌우양측에 결합홈부(14)와 결합돌부(16)가 대응된 위치된 형성되어 블록(10)의 좌우연결시에 밀착결합이 되게 하고, 블록(10)양단의 전방폭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8)으로 형성하여 블록(10)을 일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결설치할수 있도록 한다.
블록(10)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개구부(20a)를 갖는 식생공간부(20)를 형성하되 식생공간부(20)의 바닥면(22)에 다수의 통공(24)을 형성하여 그 통공(24)으로 배수기능을 갖게 함과 아울러 일부통공에 고정핀(26)을 끼워 블록끼리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26)은 금속제에 합성수지피복이 되어 부식을 방지하고 고정핀(26)의 접속부분은 도 4의 (가)(나)에서와 같이 일직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한, 블록(10)의 후단에 걸고리(28)를 설치하여 철선 또는 로프등의 지지줄(29)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도로절개지등의 특성이나 환경조건에 따라 블록(10)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수 있게 된다.
즉, 도 5와 같이 블록(10)을 평면상에서 블록(10)의 전방부분은 일직선으로 맞추고 후방부분은 경사면(18)에 의해 블록끼리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갖게 함으로서 블록을 일직선으로 배치하게 되며, 도 6에서와 같이 블록(10)을 평면상에서 경사면(18)끼리 맞닿게 함으로서 블록을 곡선형으로 배치가 이루어지되 블록(10)의 곡선형 배치각도는 경사면(18)이 맞닿거나 이격된 형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10)은 도 7과 같이 측방향에서 수직으로 적층시켜 최상단의 식생공간부(20)에서 식물자생할수 있게 설치하거나, 도 8과 같이 측방향에서 경사지게 적층된 형태를 이루되 블록(10)을 직립상태로 놓이게 하면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중첩되어 일부개구부(20a)가 노출된 상태가 되어 그 개구부(20a)를 통해 식물이 자생하게 되고 식생공간부(20)의 바닥면통공(24)에 고정핀(26)을 끼워 그 하부의 블록에 의해 고정핀(26)이 지지되게 한 수단으로 블록의 적층상태를 긴밀히 유지되게 하며, 도 9는 블록(10)후단에 구비된 걸고리(28)에 연결시킨 철선 또는로프등의 지지줄(29)을 벽체내에 매설시켜 블록(10)이 토압에 의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케 한 것이다.
도 10과 같이 경사지반에 블록(10)을 경사상태로 놓이게 하면서 일직선상으로 적층시키고 최상단의 식생공간부(20)에서만 식물이 자생할수 있게 되고 블록(10)의 적층상태는 고정핀(26)에 의해 긴밀히 유지되며, 상기 고정핀(26)이 끼워지지 않은 통공(24)부분은 배수기능을 갖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블록(10)이 적층된 상태를 전면방향에서 볼때 도 11에서와 같이 블록을 엇갈리게 적층하고 고정핀(26)으로 이를 결속하여 블록(10)의 상하 적층상태와 좌우연결상태를 고정핀(26)에 의해 연결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한 연결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도로절개지등에 시공되는 옹벽용 식생블록은 자연석과 같은 표면으로 미관이 좋고 식생기반을 충분히 확보하여 친환경적으로 시공할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의 연결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여 안정성이 유지되고 설치장소의 특성이나 조건등에 따라 다양한 블록배치가 가능하여 한층 효과적으로 블록작업을 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자연석무늬모양의 요철부(12a)를 형성한 블록표면(12)과, 블록(10)은 평편상에서 좌우양측에 결합홈부(14)와 결합돌부(16)를 형성하고 블록(10)양단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8)을 형성하며, 블록(10)내부에 상향개구된 식생공간부(20)를 형성하되 식생공간부(20)의 바닥면(22)에 다수의 통공(24)를 형성하여 일부통공(24)에 고정핀(26)을 끼워 블록끼리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식생블록
KR1020040059405A 2004-07-28 2004-07-28 옹벽용 식생블록 KR20050012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405A KR20050012701A (ko) 2004-07-28 2004-07-28 옹벽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405A KR20050012701A (ko) 2004-07-28 2004-07-28 옹벽용 식생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068U Division KR200330438Y1 (ko) 2003-07-25 2003-07-25 옹벽용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701A true KR20050012701A (ko) 2005-02-02

Family

ID=3722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405A KR20050012701A (ko) 2004-07-28 2004-07-28 옹벽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69B1 (ko) * 2011-06-30 2013-10-29 전성민 자연친화형 조립식 철근옹벽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69B1 (ko) * 2011-06-30 2013-10-29 전성민 자연친화형 조립식 철근옹벽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200447510Y1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30438Y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20050012701A (ko) 옹벽용 식생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389264Y1 (ko) 생태옹벽블록
JP3655578B2 (ja) 擁壁ブロック
KR200372057Y1 (ko)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120003971U (ko) 조립식 옹벽블록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593196B1 (ko) 도로 경사면의 잔디 식생 블록
KR200327408Y1 (ko) 뱅크식생 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0393182Y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200361732Y1 (ko) 식생 옹벽블록
KR100646323B1 (ko) 옹벽블록
KR20040098434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873183B1 (ko) 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