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943Y1 -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콘트롤박스 - Google Patents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콘트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43Y1
KR200371943Y1 KR20-2004-0028926U KR20040028926U KR200371943Y1 KR 200371943 Y1 KR200371943 Y1 KR 200371943Y1 KR 20040028926 U KR20040028926 U KR 20040028926U KR 200371943 Y1 KR200371943 Y1 KR 200371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guide jaw
power switch
wat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20-2004-0028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내식당이나 학생식당, 편의점 등에서 사용되는 가열식 물통에 있어서, 통상의 가열식 물통 콘트롤박스에 별도의 가이드턱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턱은 전원스위치의 상측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일체로 돌출 형성함으로서,
상기 가이드턱에 의해 물통의 외주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전원스위치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가이드턱을 따라 전원스위치의 주변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여 불필요한 전원스위치의 단락을 방지하면서도 전원스위치가 손상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 {Control box of heating water bottle having guide sill for protecting switch}
본 고안은 구내식당이나 학생식당, 편의점 등에서 사용되는 가열식 물통에 있어서, 특히 상기한 물통의 콘트롤박스에 내장되는 누전차단기로 물통본체의 외주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유입되어 그 누전차단기가 단락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에 대한 것이다.
구내식당이나 학생식당 혹은 각종 편의점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식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는 비교적 대형의 보온, 보냉의 물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단순한 보온, 보냉의 기능에서 진보하여, 물통본체에 내장된 히터에 의해 물통 내부를 가열함으로서 그 물통 자체로 내부의 물을 직접 끓일 수 있게 한 가열식 물통이 제안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한 가열식 물통은 물을 직접 끓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항상 일정한 온도로 지속적인 유지상태를 보이므로 더욱 편리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식 물통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체의 일측에 별도의 콘트롤박스(10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콘트롤박스(100)에는 물통 내부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갖는 온도조절기(101)와, 보온 또는 가열상태를 표시하는 점멸등(102)및 누전차단기로 된 전원스위치(10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전원스위치(103)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이를 온도조절기(101)로 공급하면 상기 온도조절기(101)에 셋팅된 온도까지 물통 내부의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열되게 하면서도 물통 내부의 물이 일정 온도에 다다르면 내부 온도센서에 의해 자동을 전원을 단락시켜 가열을 멈추게 되는 것이며, 지속적인 온도센싱에 의해 가열 및 단락을 반복하면서 일정하게 내부 수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히터의 발열에 의해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동안 가열에 의한 수증기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기화되는 것인데, 이러한 수증기는 물통의 상측에 형성된 뚜껑의 틈새로 흘러나와 액체상태로 물통 본체의 외주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물은 상기한 콘트롤박스의 전원스위치로 유입되어 그 전원스위치의 고장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전원스위치는 지락이나 과부하시 단락되면서도 인체감전 등을 예방하기 위해 누전차단기로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한 누전차단기는 통상적으로 전원의 인가상태에서는 그 스위치레버가 상향 위치하게 되므로 상향의 스위치레버로 인해 흘러내리는 물이 스위치레버로 고여 스며들게 되므로, 빈번한 스위치의 단락으로 인해 원활한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누전차단기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고압의 쇼트저항에 의해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수명이 매우 짧으면서도 비경제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의 가열식 물통 콘트롤박스에 별도의 가이드턱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턱은 전원스위치의 상측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일체로 돌출 형성함으로서,
상기 가이드턱에 의해 물통의 외주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전원스위치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가이드턱을 따라 전원스위치의 주변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여 불필요한 전원스위치의 단락을 방지하면서도 전원스위치가 손상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식 물통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콘트롤박스의 가이드턱 타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 콘트롤박스의 가이드턱 또다른 실시예도
도 5는 종래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를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물통본체
10 : 콘트롤박스 11 : 온도조절기
12 : 점멸등 13 : 전원스위치
20 : 가이드턱 21 : 수평부
22,22' : 수직부 23,23' : 곡면부
24 : 배수유도홈 25 : 넘침방지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식 물통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의 확대사시도이다.
온도조절기(11)와 점멸등(12) 및 전원스위치(13)가 각각 형성된 콘트롤박스(10)를, 물통본체(1)의 하부 일측에 장착하여 된 공지의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13)의 상측 주연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수평부(21)와 그수평부(21)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형성되는 수직부(22)(22')로 된 돌출상의 가이드턱(20)을 형성하되,
상기한 수평부(21)와 수직부(22)(22')는 원호상의 곡면부(23)(23')에 연결 형성되어 가이드턱(20)을 완성하여 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턱(2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조상의 배수유도홈(24)을 형성하거나, 돌출조상의 넘침방지턱(25)을 별도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물통본체(1) 내부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응집되어 물이 물통본체(1)의 외주벽을 타고 흘러내리더라도 상기한 가이드턱(20)에 의해 흘러내리는 물이 전원스위치(13)의 주변으로 유도 배수되므로 그 전원스위치(13)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인데,
상기한 가이드턱(20)은 만곡의 곡률로 된 수평부(21)에 의해 그 수평부(21)에 흘러내리는 물이 고이지 않고 바로 바로 양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수평부(21)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다시 그 수평부(21)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22)(22')를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통본체(1)를 타고 비교적 많은 량이 물이 흘러내리더라도 상기한 전원스위치(13)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원의 단락이 없을 뿐더러 그 전원스위치의 고장 또한 예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수평부(21)와 수직부(22)(22')는 보다 부드러운 곡률을 갖게 하는 곡면부(23)(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흘러내리는 물이 지체하거나 정체됨이 없이 자연스럽게 가이드턱(20)을 따라 유도되어 회피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가이드턱(2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의 배수유도홈(24)을 형성하여 더욱 안전한 유도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물통본체(1)를 타고 흘러내리는 물의 량이 비교적 많더라도 가이드턱(20)의 넘침없이 그 배수유도홈(24)을 따라 신속하게 목적하는 위치로 배수되는 것이며,
도 4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턱(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의 넘침방지턱(25)을 형성함으로서, 부주의한 사용이나 과다한 넘침에 의해 많은 량이 물이 흘러내릴 경우에도 상기한 넘침방지턱(25)에 의해 흘러내리는 물이 전원스위치(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더욱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누전스위치로 된 전원스위치(13)로 흘러내리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불필요한 전원 단락에 따른 온도조절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유입되는 물에 의해 전원스위치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는, 별도의 가이드턱에 의해 물통의 외주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전원스위치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가이드턱을 따라 전원스위치의 주변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여 불필요한 전원스위치의 단락을 방지하면서도 전원스위치가 손상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온도조절기(11)와 점멸등(12) 및 전원스위치(13)가 각각 형성된 콘트롤박스(10)를, 물통본체(1)의 하부 일측에 장착하여 된 공지의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13)의 상측 주연에, 만곡의 곡률을 갖는 수평부(21)와 그 수평부(21)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형성되는 수직부(22)(22')로 된 돌출상의 가이드턱(20)을 형성하되,
    상기한 수평부(21)와 수직부(22)(22')는 원호상의 곡면부(23)(23')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가이드턱(20)을 완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턱(2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조상의 배수유도홈(24)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턱(2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조상의 넘침방지턱(25)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 콘트롤박스.
KR20-2004-0028926U 2004-10-13 2004-10-13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콘트롤박스 KR200371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926U KR200371943Y1 (ko) 2004-10-13 2004-10-13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콘트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926U KR200371943Y1 (ko) 2004-10-13 2004-10-13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콘트롤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43Y1 true KR200371943Y1 (ko) 2005-01-06

Family

ID=4935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926U KR200371943Y1 (ko) 2004-10-13 2004-10-13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콘트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9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55B1 (ko) * 2007-10-19 2014-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머플러
KR200486425Y1 (ko) 2017-05-15 2018-05-16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안전 체결형 콘트롤 스위치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55B1 (ko) * 2007-10-19 2014-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머플러
KR200486425Y1 (ko) 2017-05-15 2018-05-16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안전 체결형 콘트롤 스위치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3791T3 (es) Generador electrico de vapor domestico con nivel de agua del hervidor estabilizado, particularmente para planchas electricas.
JP6504516B2 (ja) 貯湯式電気温水器
ITUD960143A1 (it) Generatore di vapore per ferri da stiro o simili
KR20080112992A (ko) 자동커피머신
KR200371943Y1 (ko) 스위치 보호용 가이드턱을 갖는 가열식 물통의콘트롤박스
JP5153835B2 (ja) 加熱調理器
KR20230046214A (ko) 일체형보일러
ES2141027B1 (es) Destilador de agua con caracteristica mejorada de desconexion automatica.
CN206261450U (zh) 咖啡机
JP4562788B2 (ja) 加熱調理器
RU165043U1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JP2005185745A (ja) 麺茹で装置
CN206669094U (zh) 一种带有温度显示的即热式水龙头
US20160345546A1 (en) Water heater with mounting error protection
KR200377411Y1 (ko) 해빙장치
ATE400209T1 (de) Elektrischer getränkebereiter
KR20050034779A (ko) 비데 온도조절장치
KR200182433Y1 (ko) 가스레인지의 가스밸브용 국물받이커버
JP5717047B2 (ja) 貯湯式電気温水器
CN205174783U (zh) 一种自动调压暖水器
CN105333605A (zh) 一种智能暖水器
CN2363236Y (zh) 具有防干烧功能的饮水机加热器
CN208463682U (zh) 开关组件和电水壶
CN102512074B (zh) 一种多功能电热杯
CN206586816U (zh) 一种防烫型电热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