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806Y1 -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806Y1
KR200371806Y1 KR20-2004-0028708U KR20040028708U KR200371806Y1 KR 200371806 Y1 KR200371806 Y1 KR 200371806Y1 KR 20040028708 U KR20040028708 U KR 20040028708U KR 200371806 Y1 KR200371806 Y1 KR 200371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touch screen
touch
fire truck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수
최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보테크니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보테크니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보테크니칼
Priority to KR20-2004-0028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시 실물을 보지 않고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통하여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소방차의 전후 좌우 측면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에 부착되어 아웃트리거의 작동 및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제어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신호를 교환하여 차체의 수평을 잡아주는 레벨센서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과 정보를 교환하는 PLC와; 상기 PLC에 정보교환 및 명령을 내리는 입력장치로서, 사용자가 스크린의 문자나 그림으로 표시되는 터치부를 직접 건드리면 접촉이 일어난 부분을 인지해서 PLC에 정보를 교환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Outrigger auto leveling device for fire fighting truck}
본 고안은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시 실물을 보지 않고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통하여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차가 화재발생지역에 도착하면 차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아웃트리거(outrigger)를 인출하여 지면에 착지시켜 차체의 수평(레벨링leveling)을 맞추게 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 사다리가 설치된 소방차의 경우에는 고가 사다리를 펼친 상태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차체가 지면과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 못할 경우 전복(顚覆)의 위험성이 따르므로 아웃트리거의 설치 작업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종래의 아웃트리거의 설치방법은, 전후 좌우 측면에 장착된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현 위치의 상황과 관계없이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차체의 수평을 맞추거나, 조작자가 차체에 장착된 수평계를 보면서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수동레버로 조절하여 차체의 수평을 맞추기 때문에 차체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는데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신속한 화재진압이 어려우며, 비숙련자가 아웃트리거의 조작을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스위치 또는 레버의 빈번한 사용으로 오작동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방차의 후방에 터치 스크린을 장착하여 터치 스크린의 조작에 의해 아웃트리거를 지면에 착지시키고 차체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웃트리거의 설치와 차체의 수평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켜 화재진압을 더욱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비숙련자인 경우에도 쉽게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소방차 11:아웃트리거 12:PLC
13:터치 스크린 14:터치부 15:수동조작부
16:센서 17:레벨센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방차의 전후 좌우 측면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에 부착되어 아웃트리거의 작동 및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제어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신호를 교환하여 차체의 수평을 잡아주는 레벨센서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과 정보를 교환하는 PLC와; 상기 PLC에 정보교환 및 명령을 내리는 입력장치로서, 사용자가 스크린의 문자나 그림으로 표시되는 터치부를 직접 건드리면 접촉이 일어난 부분을 인지해서 PLC에 정보를 교환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 스크린의 표시된 터치부를 건드리면 아웃트리거가 작동되며 터치 스크린 상에 경고 및 메시지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터치부 중 자동운전이라는 문자를 터치하면 아웃트리거가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아웃트리거의 움직임이 그림으로 나타나고 아웃트리거의 작동이 완료되면 램프의 점멸 신호로 표시되며, 수동운전이라는 문자를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에 표기된 각 문자나 그림의 터치에 따라 개별 작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터치부 중 확장, 수축, 하강, 상승이라는 문자를 터치하면 아웃트리거가 확장, 수축, 하강, 상승되며, 상기의 모든 작동상황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그림으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터치 스크린은 소방차의 후방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소방차 후방에는 터치 스크린 및 수동조작부가 동시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 장치는 소방차(10)의 전후 좌우의 측면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11)와, 상기 아웃트리거(11)의 작동을 제어하며 터치 스크린(13)과 정보를 교환하는 PLC(12)와, 상기 PLC(12)와 정보 교환 및 명령을 내려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터치 스크린(13)으로 구성된다.
상기 PLC(12)는, 아웃트리거(11)의 인출 및 삽입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11)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 장치들과 연결 구성된다.
또한 상기 PLC(12)는, 아웃트리거(11)에 부착되어 아웃트리거(11)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16)와, 이 센서(16)와 신호를 주고받아 차체의 수평을 잡아주는 레벨센서(17)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PLC(12)는, 터치 스크린(13)과 연결되어 터치 스크린(13)에서 입력된 정보를 주고받으며 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 장치를 제어한다.
참고로 PLC은,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로서 센서류로 부터 입력을 받아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하고 기계나 프로세서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을 처리하는 산업용 컴퓨터로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이 가능한 장치를 말하며 Input & Output Interface, Memory, Programming terminal, CPU, Power supply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13)의 설치 위치는 소방차(10)의 후방이 가장 적합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13)은 PLC(12)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PLC(12)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PLC(12)에 명령을 내리는 입력장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13)은 화면상에 문자 및 그림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부(14)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3)의 문자나 그림으로 표시되는 터치부(14)를 직접적으로 누르게 되면 접촉이 일어난 부분을 인지해서 PLC(12)에 정보를 교환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부(14)는 조작자가 작동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13)상에 자동운전, 확장, 수축, 하강, 상승, 비상정지, RPM 등의 문자로 표시된다.
참고로 터치 스크린은, 손가락, 펜 등으로 스크린을 직접 건드리면 접촉이 일어나는 부분을 인지해서 명령이 실행되거나 커서의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설계된 스크린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의 작동원리는 다양하지만, 스크린 표면에 여러 가지 형태의 센서를 눈에 보이지 않게 부착하고 여기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해독하여 특정한 명령으로 전환하는 장치가 있는 것은 동일하다.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살펴보면, 첫째 표면에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격자 형태로 촘촘하게 설계해 스크린에 입력이 가해진 위치를 가로줄과 세로줄의 좌표로 알아내는 방식이 있다.
둘째 스크린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에 센서를 설치한 후 접촉 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 방식은 좀더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ED)를 스크린 둘레에 설치해 적외선 격자를 만들고 접촉 시에 적외선이 가로막히는 것을 감지해 접촉 위치를 알아내는 방식으로 이 방식은 스크린 표면이 오염되기 쉬운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여 현금인출기 등에 사용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로서, 상기 소방차(10) 후방에 터치 스크린(13)과 레버 및 스위치로 작동되는 수동조작부(14)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3)과 수동조작부(14)를 선택하여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 스크린(13)과 수동조작부(14) 중 어느 한 쪽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를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터치 스크린(13)의 조작에 의해 아웃트리거(11) 오토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작자가 터치 스크린(13)의 화면을 보면서 아웃트리거(11)의 오토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11)의 오토레벨링 작업은, 아웃트리거(11)의 작동 및 높이를 제어하는 센서(16)와, 이 센서(16)와 신호를 교환하여 차체의 수평을 잡아주는 레벨센서(17)와, 상기 레벨센서(17)를 제어하는 PLC(12)와, 상기 PLC(12)와 정보를 교환하는 터치 스크린(13)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 스크린(13)에는 문자와 함께 스위치 모양의 그림으로 터치부(14)가 표시되어 있어 비숙련자 이더라도 이해가 쉬워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스크린(13)은 초기화면을 거쳐 조작화면(아웃트리거의 작동이 가능한 화면) 및 동작 그림이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되다.
이하 터치 스크린(13)의 조작방법을 그림과 문자로 구성된 각 터치부(14) 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터치 스크린(13)의 조작화면에 표시된 “자동운전”이라는 문자를 조작자가 누르게 되면,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아웃트리거(11)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이때 터치 스크린(13)의 화면상에는 아웃트리거(11)의 움직임이 그림으로 나타나며 아웃트리거(11)의 작동완료 신호는 그림상의 램프(lamp)로 표시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3)에 표시된 “수동운전”이라는 문자를 조작자가 누르게 되면, 문자 및 그림으로 표시된 각 터치부(14)가 개별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13)의 조작화면에 표시된 “확장, 수축, 하강, 상승”이라는 문자를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누르게 되면, 문자의 의미와 같이 아웃트리거(11)의 확장, 수축, 하강, 상승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때 아웃트리거(11)의 작동과정과 완료 상태는 터치 스크린(13) 화면상에 그림으로 나타나며 화면상에 표시된 램프의 점등과 점멸로서 표시되기도 한다.
그 외 터치 스크린(13)의 조작화면에 비상정지, RPM 등의 문자로 된 터치부를 표시하여 위급 상황시 아웃트리거(11)의 작동을 급하게 멈추거나 속도를 조절할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방차(10)의 후방에 터치 스크린(13)과, 종래의 스위치 또는 레버로 구성되는 수동조작부(15)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터치 스크린(13)과 수동조작부(15)를 선택하여 아웃트리거(11)의 오토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터치 스크린으로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스위치식 수동조작부에 비하여 조작이 매우 간편하며 조작부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으로 조작함으로 아웃트리거의 설치와 차체의 수평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화재진압을 더욱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소방차의 전후 좌우 측면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의 오토레벨링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에 부착되어 아웃트리거의 작동 및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제어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신호를 교환하여 차체의 수평을 잡아주는 레벨센서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과 정보를 교환하는 PLC와;
    상기 PLC에 정보교환 및 명령을 내리는 입력장치로서, 사용자가 스크린의 문자나 그림으로 표시되는 터치부를 직접 건드리면 접촉이 일어난 부분을 인지해서 PLC에 정보를 교환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표시된 터치부를 건드리면 아웃트리거가 작동되며 터치 스크린 상에 경고 및 메시지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터치부 중 자동운전이라는 문자를 터치하면 아웃트리거가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아웃트리거의 움직임이 그림으로 나타나고 아웃트리거의 작동이 완료되면 램프의 점멸 신호로 표시되며, 수동운전이라는 문자를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에 표기된 각 문자나 그림의 터치에 따라 개별 작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터치부 중 확장, 수축, 하강, 상승이라는 문자를 터치하면 아웃트리거가 확장, 수축, 하강, 상승되며, 상기의 모든 작동상황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그림으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소방차의 후방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차 후방에는 터치 스크린 및 수동조작부가 동시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KR20-2004-0028708U 2004-10-11 2004-10-11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KR200371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708U KR200371806Y1 (ko) 2004-10-11 2004-10-11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708U KR200371806Y1 (ko) 2004-10-11 2004-10-11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806Y1 true KR200371806Y1 (ko) 2005-01-06

Family

ID=4935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708U KR200371806Y1 (ko) 2004-10-11 2004-10-11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8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61B1 (ko) * 2005-05-10 2007-01-10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고가사다리 자동차의 아우트리거 제어장치
KR20200129945A (ko) * 2019-05-10 2020-11-18 (주)드림티엔에스 고가 사다리차의 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61B1 (ko) * 2005-05-10 2007-01-10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고가사다리 자동차의 아우트리거 제어장치
KR20200129945A (ko) * 2019-05-10 2020-11-18 (주)드림티엔에스 고가 사다리차의 제어 시스템
KR102261374B1 (ko) 2019-05-10 2021-06-08 (주)드림티엔에스 고가 사다리차의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6731B2 (ja) 照明設定装置および照明設定方法
US11106251B2 (en) Operation of the light management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with motion sensor
TWI535478B (zh) Control method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ts control system
CA2797086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KR20100000514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2897696A (zh) 举高消防车臂架控制系统及控制方法,举高消防车
KR200371806Y1 (ko) 소방차용 아웃트리거 오토레벨링 장치
TW201324497A (zh) 顯示裝置及其亮度調節方法
CN105159458A (zh) 一种移动终端手势功能的自动启停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202454107U (zh) 物联网智慧农业实训装置
CN104035716A (zh) 触摸屏操作方法和装置以及终端
KR102151219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
KR20110047600A (ko) 근접 센싱이 가능한 전자장치
WO2017032921A1 (en) Controlling of lifting device
CN206720589U (zh) 具有伸缩式光电吊舱的半潜式抓斗
EP2455856A1 (en) Program generation device
CN113671855A (zh) 晾衣设备控制方法、装置、系统和晾衣设备
TW201523542A (zh) 智慧型廚房三機遠端監控人機介面
CN109841140B (zh) 示教器及其操作方法、计算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CN108330654B (zh) 一种智能化晾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740146A (zh) 姿势识别系统
CN206959056U (zh) 一种吸油烟机
JP3131889U (ja) 交通信号機における歩行者用待時間表示装置
CN202001864U (zh) 具有定时熄灭功能的灯具
CN204215357U (zh) 操作器突出显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