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794Y1 -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 Google Patents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794Y1
KR200371794Y1 KR20-2004-0028438U KR20040028438U KR200371794Y1 KR 200371794 Y1 KR200371794 Y1 KR 200371794Y1 KR 20040028438 U KR20040028438 U KR 20040028438U KR 200371794 Y1 KR200371794 Y1 KR 200371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water distribu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20-2004-0028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7Thermostat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92Fluid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 관한 것으로, 전기의 공급에 의한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해 플런저를 이동시켜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장착되는 온도조절기와,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조절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캡이 구비된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를 이루는 본체(3)의 외표면에 걸림홈(3a)이 형성되고, 상기 캡(2)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홈(3a)에 걸리는 걸림돌기(4a)가 형성된 걸림구(4)가 힌지핀(7)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구(4)는 탄력적으로 굽혀지도록 상기 캡(2)에 장착된 탄력편(6)에 연결되며, 상기 탄력편(6)에는 상기 캡(2)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관통 형성된 절개홈(2a)을 통해 캡(2)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보호용 캡이 온도조절밸브에 원터치로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Heat working type drive utility for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본 고안은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용 캡이 온도조절밸브에 원터치로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된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아파트 등에는 난방을 위하여 온수를 사용하며, 대개 온수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후 배관을 통해 온수분배기로 공급되고, 이렇게 온수분배기로 공급된 온수는 온수파이프를 통해 실내 바닥을 가열한 후 다시 온수분배기를 거쳐 보일러로 귀환하는 순환 경로를 거친다.
온수분배기는 공급분배부와 환수분배부를 포함하며, 이 온수분배기는 하우징(30)에 내장되는 형태로 소요 개소에 설치되거나 그 하우징(30)이 생략된 상태로 소요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수분배기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급분배부는 대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온수분배헤더(10)를 갖는다.
상기 온수분배헤더(10)의 일측 단부를 통해 온수가 유입되며 이 부위에 스톱밸브(11)와 스트레이너(1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온수분배헤더(10)의 타측 단부에는 필요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배출밸브(13)가 설치되며, 이 배출밸브(13)에는공기를 퍼지시킬 수 있는 공기배출부(13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분배헤더(10)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온수 파이프(14)가 연결되어 각각의 온수 파이프(14)로 온수가 분배 공급되며, 상기 온수 파이프(14)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기(15)가 설치된다.
다음에, 상기 환수분배부는 대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환수분배헤더(20)를 갖는다.
상기 환수분배헤더(20)의 일측 단부를 통해 난방을 하고 귀환하는 환수가 유입되며 이 부위에 정유량밸브(21)와 자동유량조절밸브(2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환수분배헤더(20)의 타측 단부에는 필요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배출밸브(23)가 설치되며, 이 배출밸브(23)에는 공기를 퍼지시킬 수 있는 공기배출부(23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환수분배헤더(20)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환수 파이프(24)가 연결되어 각각의 환수 파이프(24)로 환수가 귀환되며, 상기 환수 파이프(24)를 통해 유입되는 환수의 유량을 각각 파악할 수 있도록 유량계(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환수 파이프(24)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열동식 구동기인 온도 조절기(26)가 설치되며, 이 온도 조절기(26)는 각 룸의 설정 온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되면서 해당 룸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기(26)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서 끼워 결합되는캡(28)에 의해 온도 조절기(26)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보호되는 구성을 갖는바, 이 캡(28)은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 형상을 갖추어 그 하단의 내측이 온도 조절기(26)를 이루는 본체(27)의 하단 외측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온도 조절기(26)를 보호하기 위한 캡(28)의 결합 구성은 캡(28)의 하단 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28a)가 본체(27)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홈(27a)의 내부로 끼워 결합되는 것으로써, 캡(28)의 하단 부위가 탄력적인 성질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 캡(28)을 본체(27)에 끼워 결합하는데 상당한 힘이 필요하여 캡(28)의 장착 작업에 상당한 수고가 따르는 것은 물론, 온도 조절기(26)의 유지 및 보수 등을 위하여 캡(28)을 본체(27)로부터 제거하려면 별도의 공구로 캡(28)의 하단 부위를 변형시켜야 하므로 캡(28)의 재활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그 제거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 조절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캡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된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온수분배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를 나타낸 일부 절개 단면도;
도4는 도3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캡 2a : 절개홈
2b : 안내홈 2c : 눈금
3 : 본체 3a : 걸림홈
4 : 걸림구 4a : 걸림돌기
5 : 버튼 6 : 탄력편
7 : 힌지핀 8 : 지시봉
31 :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전기의 공급에 의한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해 플런저를 이동시켜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장착되는 온도조절기와,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조절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캡이 구비된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 있어서,상기 온도조절기를 이루는 본체의 외표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구가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구는 탄력적으로 굽혀지도록 상기 캡에 장착된 탄력편에 연결되며, 상기 탄력편에는 상기 캡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관통 형성된 절개홈을 통해 캡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본 고안의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서, 상기 캡에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는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와 연동하여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시봉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를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측면을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열동식 구동기는 전기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한 왁스의 열팽창으로 기계적 변위가 발생하여 밸브 개도가 조정되는 온도 조절기이며, 그 온도 조절기(1)의 외부가 상부에서 끼워 결합되는 캡(2)에 의해 온도 조절기(1)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보호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의 열동식 구동기인 온도 조절기(1)의 내부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일례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136578호(명칭: 전기식 자동온도조절밸브)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것인바, 그 온도 조절기(1)의 내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참고로, 온도 조절기(1)는 발열판에 전류가 공급되면 그 발열판의 발열 정도에 따라 왁스가 팽창 및 수축하면서 밸브의 개도가 조절되는 구성을 가지며, 이는 통상적으로 모터와 기어박스를 갖는 기계적인 구성에 비하여 전력이 적게 소모되며 수명이 긴 장점을 갖는다.
상기 캡(2)은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 형상을 갖추어 온도 조절기(1)를 이루는 본체(3)를 에워싸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캡(2)의 하단은 온도 조절기(1)의 본체(3) 하단이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접촉되는 정도로 그 내경 크기가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2)의 하단 부위가 약간의 탄력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 캡(2)의 하단 부위에 대한 내경 크기가 본체(3) 하단이 형성하는 가장자리 부위의 외경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됨으로써 캡(2)의 하단 부위가 본체(3) 하단이 형성하는 가장자리 부위에 밀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캡(2)의 내부에는 그 캡(2)이 본체(3) 하단에 밀착되는 부위보다 상부에 위치되면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걸림구(4)가 설치되며, 상기 걸림구(4)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이웃한 것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것처럼 걸림구(4)가 180°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걸림구(4)는 상하로 긴 길이를 갖는 대략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걸림구(4)의 하단에는 온도조절기(1)의 본체(3) 쪽으로 절곡된 걸림돌기(4a)가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기(1)의 본체(3)에는 상기 걸림돌기(4a)가 끼워지는 걸림홈(3a)이 그 본체(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물론, 상기 걸림홈(3a)은 본체(3)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그 걸림홈(3a)이 상기 걸림돌기(4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미리 선택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4)의 걸림돌기(4a)는 캡(2)의 외측 상부에 위치되는 버튼(5)의 조작에 의해 본체(3)의 걸림홈(3a)에 끼워지거나 그 걸림홈(3a)으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캡(2)에는 양측에 상하로 긴 길이를 갖도록 관통 형성된 절개홈(2a)이 각각 위치되며, 이 절개홈(2a)에는 탄력편(6)이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탄력편(6)의 하단은 절개홈(2a)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된 구성을 가지며, 그 탄력편(6)은 탄력적인 성질을 갖도록 형성되어 굽힘에 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튼(5)은 탄력편(6)의 상단에 구비되며, 이 버튼(5)은 캡(2)의 외표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버튼(5)을 누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탄력편(6)의 상단이 캡(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 버튼(5)이 생략되어도 좋다.
상기 걸림구(4)는 그 상단이 상기 탄력편(6)에 연결되며, 이 탄력편(6)의 중앙 부위는 캡(2)에 힌지핀(7)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탄력편(6)이 캡(2)의 내측 방향으로 눌려지는 경우 걸림구(4)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a)가본체(3)의 걸림홈(3a)에서 빠지도록 이동하며, 반대로 탄력편(6)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즉 캡(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림구(4)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a)가 본체(3)의 걸림홈(3a)에 끼워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2)에는 온도 조절기(1)의 내부에 장착된 밸브의 개도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게이지가 구비되는바, 상기 캡(2)에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안내홈(2b)과, 상기 안내홈(2b)을 따라 표시되는 눈금(2c)과, 밸브(34)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안내홈(2b)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시봉(8)을 포함한다.
상기 지시봉(8)이 밸브(34)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은 다양하며, 일례로서 플런저(32)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1)에 상기 지시봉(8)이 고정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이때, 전기의 공급에 의해 발열판(예컨대, 서미스터)이 발열하면, 그 발열에 의해 왁스가 팽창하면서 플런저(32)와 스템(33)이 상승되며, 반대로 전기의 차단에 의해 발열판이 냉각되면, 그 냉각에 의해 왁스가 수축하면서 플런저(32)와 스템(33)이 하강되며, 상기 스템(33)의 하단에는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34)가 장착되는 구성을 갖는바, 상기 스프링(31)은 플런저(32)가 상하 이동하면 수축 및 팽창하게 되며, 그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스프링(31)에 고정 설치된 지시봉(8)도 캡(2)에 형성된 안내홈(2b)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지시봉(8)이 가리키는 눈금(2c)을 읽음에 의해 밸브(34)의 개도가 외부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를 이루는 온도조절기(1)는 캡(2)에 의해 내부 부품들이 보호되며, 이 캡(2)은 버튼(5)의 조작에 의해 온도 조절기(1)의 본체(3)에 간단하게 장착 또는 탈착된다.
즉, 버튼(5)을 누르면 그 버튼(5)이 구비된 탄력편(6)의 상단 부위가 캡(2)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탄력적으로 굽혀지며, 동시에 상기 탄력편(6)에 연결된 걸림구(4)가 힌지핀(7)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4)는 그 상단 부위가 탄력편(6)에 연결되므로 하단 부위는 본체(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걸림구(4)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a)는 본체(3)의 걸림홈(3a)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캡(2)이 본체(3)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버튼(5)을 누른 상태로 캡(2)을 본체(3)에 끼운 후, 그 버튼(5)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면, 탄력편(6)의 상단 부위가 캡(2)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동시에 상기 탄력편(6)에 연결된 걸림구(4)가 힌지핀(7)을 중심으로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걸림구(4)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a)는 본체(3)의 걸림홈(3a)에 끼워지도록 이동하여 캡(2)이 본체(3)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캡(2)의 장착 방법은 상기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는바, 버튼(5)을 누르지 않은 상태로 캡(2)을 본체(3)에 강제로 끼우면, 걸림구(4)의 걸림돌기(4a)가 탄력편(6)의 탄력적인 굽힘과 복원에 의해 본체(3)의 걸림홈(3a)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의 공급에 의한 밸브의 개폐 작동시, 그 밸브에 연동하도록 연결 설치된 지시봉(8)이 캡(2)의 안내홈(2b)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외부에서 밸브의 개도를 파악함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 의하면, 버튼을 누르거나 그 버튼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캡의 걸림구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온도조절기의 본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거나 그 걸림홈에서 분리됨으로써 캡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밸브에 연동하도록 설치된 지시봉이 가리키는 눈금에 의해 밸브의 개도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도 보유한다.

Claims (2)

  1. 전기의 공급에 의한 열팽창 및 열수축에 의해 플런저를 이동시켜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장착되는 온도조절기와,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조절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캡이 구비된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를 이루는 본체(3)의 외표면에 걸림홈(3a)이 형성되고, 상기 캡(2)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홈(3a)에 걸리는 걸림돌기(4a)가 형성된 걸림구(4)가 힌지핀(7)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구(4)는 탄력적으로 굽혀지도록 상기 캡(2)에 장착된 탄력편(6)에 연결되며, 상기 탄력편(6)에는 상기 캡(2)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관통 형성된 절개홈(2a)을 통해 캡(2)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에는 상기 플런저(3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안내홈(2b)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2b)에는 눈금(2c)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32)와 연동하여 상기 안내홈(2b)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시봉(8)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KR20-2004-0028438U 2004-10-07 2004-10-07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KR200371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38U KR200371794Y1 (ko) 2004-10-07 2004-10-07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38U KR200371794Y1 (ko) 2004-10-07 2004-10-07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794Y1 true KR200371794Y1 (ko) 2005-01-15

Family

ID=4944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438U KR200371794Y1 (ko) 2004-10-07 2004-10-07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7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35Y1 (ko) * 2007-09-03 2009-01-07 임양현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WO2010126267A2 (ko) 2009-04-29 2010-11-04 (주)샘시스템 난방부하를 고려한 정유량 자동제어장치
KR101071029B1 (ko) * 2008-07-21 2011-10-06 홍석기 난방 분배기용 분배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35Y1 (ko) * 2007-09-03 2009-01-07 임양현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KR101071029B1 (ko) * 2008-07-21 2011-10-06 홍석기 난방 분배기용 분배관
WO2010126267A2 (ko) 2009-04-29 2010-11-04 (주)샘시스템 난방부하를 고려한 정유량 자동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15280A2 (pt) suporte de instalaÇço de atuador para um sistema de fechamento de vÁlvula, conjunto atuador de vÁlvula para um sistema de fechamento de fluido e sistema de fechamento de fluido
KR200371794Y1 (ko)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CN211879934U (zh) 一种家用安全的配电箱
KR20090035056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유량조절밸브
KR200443035Y1 (ko) 온수분배시스템용 열동식 구동기
US6705162B2 (en) Probe assembly for monitoring the water level in electric resistor boilers
KR200215819Y1 (ko) 형상기억합금스프링을 이용한 개폐밸브
JPH10238650A (ja) 熱動弁の漏電防止構造と弁駆動部ユニット
JP4338299B2 (ja) 給湯器の自動排水装置
CN101307832A (zh) 智能消防阀装置
KR100953701B1 (ko)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JP2001235055A (ja) 漏電防止機能付き熱動弁
US3790122A (en) Zone control valve assembly
US1942009A (en) Valve
CN216045528U (zh) 一种地热井与锅炉联动控制系统用温控阀
CN209818899U (zh) 一种手动防污功能阀芯
KR200492404Y1 (ko) 온도 변화를 이용한 유체 제어장치
CN208237209U (zh) 一种可自动清洗的阀芯
CN211821424U (zh) 一种壁挂炉
CN216928392U (zh) 一种液涨式温控器
CN219734360U (zh) 一种密封性好的阀门
US20100200564A1 (en) Overheat Protection Control Component for Liquid Heating Vessel
CN212539611U (zh) 一种用于风电机组通用型温控阀的检测设备
CN220060567U (zh) 一种防烫阀
CN207999951U (zh) 嵌入式温控器及换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