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063Y1 - 복근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복근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063Y1
KR200371063Y1 KR20-2004-0026456U KR20040026456U KR200371063Y1 KR 200371063 Y1 KR200371063 Y1 KR 200371063Y1 KR 20040026456 U KR20040026456 U KR 20040026456U KR 200371063 Y1 KR200371063 Y1 KR 200371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frame
fixed
pai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구
Original Assignee
한조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조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조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6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근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살을 빼기 위해 복근운동을 편안하게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벅지 및 히프 운동을 동시에 안정한 상태에서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은 범위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복근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측에는 머리받침대(10)를 가지며, 하부 양측에는 손잡이(22a),(22b)를 갖는 등받침대(20)와; 등받침대(20)의 뒷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등받침대(20)가 뒤로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미끄럼 방지러버(14a),(14b)를 갖는 한쌍의 반원 프레임(12a),(12b)과; 등받침대(20)의 뒷면 중앙에 일단이 피벗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쌍의 반원 프레임(12a),(12)이 보다 바깥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바퀴(19)를 갖는 지지프레임(16)과; 상기 지지프레임(16)의 중앙에 고정된 걸림부(24b)에 걸려 고정되며, 일단은 등받침대(20)의 하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부(24a)에 걸려 지지프레임(16)이 일정한 힘을 갖고 밀쳐지지 않도록 당겨주는 한쌍의 탄성 고무편(18a),(18b);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복근운동장치{ABDOMINAL MUSCLES EXCERCISING APPARATUS}
본 고안은 복근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살을 빼기 위해 복근운동을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벅지 및 히프 운동을 동시에 안정한 상태에서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은 범위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복근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근운동은 발끝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고 복근의힘을 이용해 몸을 일으키는 운동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근 운동은 상체를 다리쪽으로 구부리면서 세우기 위해 허리와 배에 힘을 주면서 일어나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또한, 허리가 약하거나, 복근력이 약한 사람들은 더더욱 쉽지 않은게 윗몸일으키기 운동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목적은 쉬운 상태로 복근운동을 편안한 상태로 할 수 있고, 허벅지 및 히프 운동을 동시에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장시간동안 복근운동을 할 수 있는 복근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지지프레임 10: 머리받침대
12a,12b: 반원 프레임 14a,14b: 미끄럼 방지러버
18a,18b: 탄성 고무편 19: 바퀴
20: 등받침대 22a,22b: 손잡이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는, 상부측에는 머리받침대를 가지며, 하부측 양측에는 손잡이를 갖는 등받침대와; 등받침대의 뒷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등받침대가 뒤로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미끄럼 방지러버를 갖는 한쌍의 반원 프레임과; 등받침대의 뒷면 중앙에 일단이 피벗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쌍의 반원 프레임이 보다 바깥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바퀴를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된 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며, 일단은 등받침대의 하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 지지프레임이 일정한 힘을 갖고 밀쳐지지 않도록 당겨주는 한쌍의 탄성 고무편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의 측면에서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침대(20)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등받침대(20)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손잡이(22a),(22b)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등받침대(20)에 등을 대고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상부측에는 머리받침대(10)가 형성된다.
상기 등받침대(20)의 뒷면에는 한쌍의 반원 프레임(12a),(12b)이 반원형으로 둥글게 형성된다.
반원형으로 둥글게 형성된 반원 프레임(12a),(12b)의 외주면에는 회전될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러버(14a),(14b)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반원 프레임(12a),(12b)의 사이에는 지렛대 형상으로 일단이 등받침대(20)에 피벗 운동 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바퀴(19)가 형성되어 있어 등받침대(20)의 바깥측으로 굴러가도록 지지프레임(16)이 고정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6)의 일단측이 반원 프레임(12a),(12b)의 바깥측으로 밀칠시 힘을 가해주어야 늘어나는 탄성 고무편(18a),(18b)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 고무편(18a),(18b)은 지지프레임(16)의 중앙측에 고정되게 형성된 걸림부(24b)가 형성되고, 반대측을 걸어 고정되게 등받침대(20)의 후면 하부측에걸림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의 실시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복근운동장치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놓여지면, 등받침대(20)는 지지프레임(16)에 의해 거의 수직되게 세워진다.
등받침대(20)의 상부측에는 머리받침대(10)를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크기에 맞게 조절한 후 등과 머리가 안착되도록 기댄다.
등받침대(20)의 하부측 양단에 형성된 손잡이(22a),(22b)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잡고 뒤로 젖히도록 잡는다.
상기와 같이 등받침대(10)의 하단측에 형성된 손잡이(22a),(22b)를 양손으로 잡게 되면, 사용자는 등받침대(20)와 머리받침대(10)에 기댄 상태로 좌우측으로 흔들리지 않고 앞뒤로만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22a),(22b)는 등받침대(20)의 하단측에 손잡이(22a),(22b)의 길이방향 바깥측으로 뽑아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시에는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뽑아서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반원 프레임(12a),(12b)도 등받침대(20)에서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등받침대(20)의 뒷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6)은 등받침대(20)의 뒷면에 형성된 반원 프레임(12a),(12b)이 뒤로 쉽게 젖혀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이때에 등받침대(20)를 받쳐주고 있는 지지프레임(16)은 반원 프레임(12a),(12b)이 뒤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바깥측으로 밀쳐지지 않게 탄성 고무편(18a),(18b)이 탄성지지 되게 당겨주고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하지 않는이상 뒷쪽으로 밀쳐지지 않는다.
이는 탄성 고무편(18a),(18b)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지지프레임(16)은 등받침대(20)가 힘이 가해질 시에만 밀쳐지도록 탄성지지 된다.
상기 탄성 고무편(18a),(18b)은 지지프레임(16)의 중앙에 형성된 걸림부(24b)와 등받침대(2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24a)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서로 당기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근운동을 하기 위해 등받침대(20)에는 등을 대고 머리받침대(20)에는 머리를 밀치도록 대고 앉은 후, 등쪽으로 밀치도록 접혀있던 무릎이 펴면 밀쳐지는 힘에 의해 등받침대(20)가 뒤로 밀쳐진다.
상기와 같이 밀치면 등받침대(20)는 뒷면에 형성된 반원 프레임(12a),(12b)을 타고 각도가 바뀌면서 넘어간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침대(20)에 의해 밀쳐지는 반원 프레임(12a),(12b)이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반원 프레임(12a),(12b)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러버(14a),(14b)가 부착되어 있어 미끄러지지 않고 반원 프레임(12a),(12b)의 곡선을 따라 천천히 넘어간다.
이때에 등받침대(20)는 반원 프레임(12a),(12b)의 곡선을 따라 넘어감과 동시에 지지프레임(16)의 끝단부에 형성된 바퀴(19)는 후면측으로 직선지게 굴러가면서 지지프레임(16)의 각도는 넓어지면서 탄성 고무편(18a),(18b)이 일정길이 만큼 늘어나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등받침대(20)는 더 이상 넘어가지 않고 고정된다. 즉, 상기 등받침대(10)의 일단이 피봇 고정되어 있고, 일단에는 바퀴(19)가 형성된 지지프레임(16)이 탄성 고무편(18a),(18b)에 의해 더 이상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 등받침대(20)가 눕혀지면서 탄성 고무편(18a),(18b)은 일정길이 만큼 차츰 늘어나게 된다.
사용자가 아무리 등받침대(20)로 강한 힘을 가해도 탄성 고무편(18a),(18b)의 탄성력이 지지프레임(16)을 잡아 준다.
지지프레임(16)이 등받침대(20)에 의해 밀쳐지게 되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 이상 늘어나게 되면 지지프레임(16)의 일단에 형성된 바퀴(19)는 더 이상 진행을 멈추고 정지되기 때문에 등받침대(10)는 후부측으로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뒷쪽으로 밀쳐지는 등받침대(10)는 탄성 고무편(18a),(18b)의 탄성한계에 의해 도달했기 때문에 더 이상 뒤로 넘어가지 않고 정지된다.
등받침대(20)와 지지프레임(16)이 연동되게 작동되도록 결합된 탄성 고무편(18a),(18b)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는 다리에 힘을 주어 등받침대(10)를 힘있게 밀치는 작용을 반복하므로 배의 복근에 힘이 가해짐과 동시에 허벅지 및 히프에 힘이 주어지게 되면서 운동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밀침 작용에 의해 반대로 밀쳐져 있던 등받침대(20)를 원상 복귀시킬 때에는 등받침대(20)를 뒤로 밀치도록 펴져 있는 다리 및 배의 복근에힘주고 있던 힘을 서서히 빼면 된다. 즉, 등받침대(20)측으로 밀쳐져 있던 힘을 서서히 빼면 등받침대(20) 및 지지프레임(16)을 서로 연동되게 결합시키고 있던 탄성 고무편(18a),(18b)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등받침대(20) 및 지지프레임(16)을 서로 당기기 때문에 등받침대(20)는 다시 수직인 원래의 형태로 위치된다.
이는 탄성 고무편(18a),(18b)이 팽팽하게 늘어나 있기 때문에 등받침대(20)에 기대고 있던 사용자가 힘을 서서히 빼면 지렛대 방식으로 받치고 있던 지지프레임(16)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다시 당기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도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침대(20)에 등을 대고 뒷쪽으로 미는 복근운동은 다리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구조이며, 특히, 등받침대(20)에 허리가 무리하게 쓰이지 않도록 등 및 허리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
본 고안은 특히, 등받침대(20)를 지렛대 방식으로 받치고 있는 지지프레임(16)을 탄성지지 하고 있는 탄성 고무편(18a),(19b)이 고무로 되어 있어, 사용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드럽게 늘어나고 줄어들기 때문에 복근, 허벅지 및 히프 운동시 허리에 부담을 주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는 다리와 허리의 힘을 이용해 상체를 밀어 뒤로 눕도록 밀치면서 수평으로 펴는 동작을 하면서 복근운동을 하므로 뱃살을 빼는 운동임과 동시에 밀칠때에 허벅지 및 히프 등이 동시에 운동되는 매우 유용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등받침대(20)의 후면에 형성된 반원 프레임(12a),(12b)이 반원형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뒤로 젖혀질 시에 연결동작이 끊김 없어 매끄럽게 진행된다.
또한, 복근운동의 강도를 높이고 싶을 시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6)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 고무편(18a),(18b)을 바퀴(19)가 형성되어 있는 끝단 방향으로 밀쳐서 고정시키면 등받침대(20)를 더욱 높게 세우기 때문에 밀쳐야 하는 힘이 더욱 커져야 한다.
즉, 지지프레임(16)과 등받침대(20)가 탄성 고무편(18a),(18b)에 의해 세워진 각이 더욱 좁아졌기 때문에 지지프레임(16)의 끝단을 바깥측으로 그만큼 더 밀쳐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더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탄성 고무편(18a),(18b)을 지지프레임(16)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위치를 바꿔 각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복근운동장치에 의해, 그 목적은 쉬운 상태로 복근, 허벅지 및 히프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장시간동안 복근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측에는 머리받침대(10)를 가지며, 하부 양측에는 손잡이(22a),(22b)를 갖는 등받침대(20)와;
    등받침대(20)의 뒷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등받침대(20)가 뒤로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미끄럼 방지러버(14a),(14b)를 갖는 한쌍의 반원 프레임(12a),(12b)과;
    등받침대(20)의 뒷면 중앙에 일단이 피벗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쌍의 반원 프레임(12a),(12)이 보다 바깥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바퀴(19)를 갖는 지지프레임(16)과;
    상기 지지프레임(16)의 중앙에 고정된 걸림부(24b)에 걸려 고정되며, 일단은 등받침대(20)의 하단부측에 형성된 걸림부(24a)에 걸려 지지프레임(16)이 일정한 힘을 갖고 밀쳐지지 않도록 당겨주는 한쌍의 탄성 고무편(18a),(18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운동장치.
KR20-2004-0026456U 2004-09-15 2004-09-15 복근운동장치 KR200371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56U KR200371063Y1 (ko) 2004-09-15 2004-09-15 복근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56U KR200371063Y1 (ko) 2004-09-15 2004-09-15 복근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063Y1 true KR200371063Y1 (ko) 2004-12-29

Family

ID=4944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456U KR200371063Y1 (ko) 2004-09-15 2004-09-15 복근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0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16B1 (ko) 2007-06-19 2008-04-11 이정 복근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16B1 (ko) 2007-06-19 2008-04-11 이정 복근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1051A (en) Body exerciser
US7686750B2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US20080119338A1 (en) Body postur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device
KR100909449B1 (ko) 복근 운동기구
JP2017528297A (ja) 身体運動のための装置
US20040067830A1 (en) Exercise device
US3475020A (en) Rocking platform exerciser
JP4523988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200371063Y1 (ko) 복근운동장치
US20100286578A1 (en) Exerciser with massage function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KR20200000008U (ko) 운동 장치
JP2010207324A (ja) 運動補助装置
WO2008001173A1 (en) Gymnastic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workout of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gluteus muscles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JP615016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KR102434907B1 (ko) 아령 들어올리기
KR102482764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102434901B1 (ko) 노젓기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CN111659084B (zh) 一种迷你型瑜伽倒立运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