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956Y1 -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956Y1
KR200370956Y1 KR20-2004-0028445U KR20040028445U KR200370956Y1 KR 200370956 Y1 KR200370956 Y1 KR 200370956Y1 KR 20040028445 U KR20040028445 U KR 20040028445U KR 200370956 Y1 KR200370956 Y1 KR 200370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g
lens
rimless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주
Original Assignee
(주)옵티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티컴 filed Critical (주)옵티컴
Priority to KR20-2004-0028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무테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를 고정시 안경렌즈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와 대응되도록 안경다리와 코다리에 형성된 고정핀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안경렌즈를 닦을 때 안경렌즈 표면에 돌출되는 볼트 등으로 인해 간섭을 받지않고, 파손된 안경렌즈를 교체하거나 안경다리 등을 수리하는 경우 이들을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는, 코다리 및 안경다리용 결합공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무테안경렌즈와,
코다리용 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핀에 의해 무테안경렌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코다리와,
안경다리용 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핀에 의해 무테안경렌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경다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테안경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본 고안은 무테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를 고정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않고 고정함에 따라, 안경렌즈를 닦을 때 안경렌즈 표면에 돌출되는 볼트 등으로 인해 간섭을 받지않아 편리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테안경렌즈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와 대응되도록 안경다리와 코다리에 형성된 고정핀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파손된 안경렌즈를 교체하거나 안경다리 등을 수리하는 경우 이들을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테안경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아이림을 사용하지않아 림을 사용하는 안경에 비해 안경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경량성이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착용자의 얼굴 윤곽을 표현하는데 있어 가장 이상적인 안경으로 인식되면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는, 안경렌즈(1)의 가장자리에 한쌍의 결합공(2,3)이 각각 형성되고, 안쪽에 위치하는 결합공(2)에 고정되는 볼트형 고정핀(4)이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코받침(5)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코다리(6)와, 바깥쪽에 위치하는 결합공(3)에 고정되는 볼트형 고정핀(8)이 형성되고 힌지구조에 의해 절첩되는 안경다리(9)를 구비한다.
종래의 무테안경 구조는, 전술한 안경렌즈(1) 좌우측에 고정되는 볼트형 고정핀(4,8)(4개씩 돌출됨)이 안경렌즈(1)에 형성된 결합공(2,3)에 돌출되게 결합된 후, 볼트형 고정핀(4,8)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10)에 의해 코다리(6)와 안경다리(9)를 안경렌즈(1)에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술한 안경렌즈(1) 안쪽면에 볼트형 고정핀(4,8)과 너트(1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안경렌즈(1)를 닦을 경우 고정핀(4,8)과 너트(10)의 간섭을 받게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감수하게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무테안경을 벗거나 착용시 또는 무테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충격이 안경렌즈(1)에 가해질 경우, 안경렌즈(1)의 안쪽면으로 부터 길게 돌출되는 볼트형 고정핀(4,8)및 너트(10)로 인해 착용자의 얼굴에 상처를 입게되는 등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안경렌즈(1)의 마모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이를 교체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안경렌즈(1)에 대해 볼트형 고정핀(4,8)과 너트(10)를 분리 및 결합하게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무테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를 고정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않고 고정함에 따라, 해당 부품수를 줄이고, 안경렌즈를 닦을때 안경렌즈 표면에 돌출되는 볼트 또는 너트 등으로 인해 간섭을 받지않아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테안경렌즈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와 대응되도록 안경다리와 코다리에 형성된 고정핀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파손 또는 마모된 안경렌즈를 교체하거나 안경다리를 수리하는 경우 고정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테안경 조립구조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 조립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 조립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 조립구조의 변형예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 코다리용 결합공
12; 안경다리용 결합공
13; 무테안경렌즈
14; 제1고정핀
15; 코다리
16; 제2고정핀
17; 안경다리
18,19; 요홈
20; 접착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다리 및 안경다리용 결합공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무테안경렌즈와,
코다리용 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핀에 의해 무테안경렌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코다리와,
안경다리용 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핀에 의해 무테안경렌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코다리 및 안경다리의 제1,2고정핀 외주연에 형성되는 환형의 요홈을 구비하여, 제1,2고정핀을 결합공에 각각 고정시 요홈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는, 코다리 및 안경다리용 결합공(11,12)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무테안경렌즈(13)와, 코다리용 결합공(1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핀(14)에 의해 무테안경렌즈(1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코다리(15)와, 안경다리용 결합공(1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핀(16)에 의해 무테안경렌즈(1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경다리(17)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코다리(15) 및 안경다리(17)의 제1,2고정핀(14,16) 외주연에 형성되는 환형의 요홈(18,19)을 구비하여, 제1,2고정핀(14,16)을 결합공(11,12)에 각각 고정시 요홈(18,19)에 소정의 본드와 같은 접착제(20)가 충전되어 결합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무테안경렌즈(13)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코다리용 결합공(11)에 코다리(15) 좌우측에 대칭으로 각각 형성된 제1고정핀(14)을 각각 결합한 후(이때, 제1고정핀(14)은 무테안경렌즈(13) 안쪽면으로 부터 돌출되지않음), 무테안경렌즈(13)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안경다리용 결합공(12)에 좌우측 안경다리(17)에 형성된 제2고정핀(16)을 각각 결합하여 고정한다(이때, 제2고정핀(16)은 무테안경렌즈(13) 안쪽면으로 부터 돌출되지않음).
이때, 전술한 제1,2고정핀(14,16)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18,19)에 본드와 같은 소정의 접착제(20)를 충전한 후, 코다리 및 안경다리용 결합공(11,12)에 제1,2고정핀(14,16)을 각각 결합시킴에 따라, 결합공(11,12)으로 부터 제1,2고정핀(14,16)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접착제(20)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접착제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와같이, 전술한 무테안경렌즈(13)에 코다리(15)와 안경다리(17)를 고정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전혀 사용하지않아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코다리(15)와 안경다리(17)를 무테안경렌즈(13)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무테안경렌즈(13)의 마모 또는 파손으로 인해 이를 교체하거나, 코다리(15) 또는 안경다리(17)를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코다리 및 안경다리용 결합공(11,12)으로 부터 제1,2고정핀(14,16)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제1,2고정핀(14,16)의 결합된 부위를 70∼80℃정도의 끊는 물에 집어넣는 경우, 제1,2고정핀(14,16)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18,19)에 충전된 접착제(20)는 용해되어 점착성을 잃게된다. 이로 인해 무테안경렌즈(13)에 형성된 결합공(11,12)으로 부터 제1,2고정핀(14,16)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무테안경렌즈(13)로 부터 코다리(15)와 안경다리(17)를 쉽게 분리하여 무테안경렌즈(13)를 교체하거나, 코다리(15) 또는 안경다리(17)를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무테안경렌즈(13)에 코다리(15)와 안경다리(17)를 고정시킨 후, 무테안경렌즈(13)를 간편하게 닦을 수 있게 된다. 즉 코다리(15)와 안경다리(17)를 무테안경렌즈(13)에 고정시키는 제1,2고정핀(14,16)이 무테안경렌즈(13)의 안쪽면으로 부터 돌출되지않게 된다.
이로 인해, 제1,2고정핀(14,16)에 의해 간섭을 받지않아 무테안경렌즈(13)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다. 또한 무테안경을 벗거나 착용시 또는 무테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충격이 무테안경렌즈(13)에 가해질 경우에도 착용자의 얼굴에 상처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는, 전술한 무테안경렌즈(13)의 안쪽 및 바깥쪽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코다리용 결합공(11)과, 안경다리용 결합공(12)의 일부가 개방되는 위치에 형성함에 따라, 무테안경렌즈(13)에 코다리(15)와 안경다리(17)를 각각 고정시키는 제1,2고정핀(14,16)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무테안경렌즈(13)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무테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를 고정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않고 고정함에 따라,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안경렌즈를 닦을 때 안경렌즈 표면에 돌출되는 볼트 또는 너트 등으로 인해 간섭을 받지않아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무테안경렌즈에 형성된 결합공에 이와 대응되도록 안경다리와 코다리에 형성된 고정핀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안경렌즈를 교체하거나 안경다리를 수리하는 경우 고정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코다리 및 안경다리용 결합공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무테안경렌즈; 및
    상기 코다리용 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핀에 의해 상기 무테안경렌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코다리; 및
    상기 안경다리용 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핀에 의해 상기 무테안경렌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다리 및 안경다리의 제1,2고정핀 외주연에 형성되는 환형의 요홈을 구비하여, 제1,2고정핀을 결합공에 각각 고정시 상기 요홈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20-2004-0028445U 2004-10-07 2004-10-07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200370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45U KR200370956Y1 (ko) 2004-10-07 2004-10-07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45U KR200370956Y1 (ko) 2004-10-07 2004-10-07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956Y1 true KR200370956Y1 (ko) 2004-12-17

Family

ID=4944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445U KR200370956Y1 (ko) 2004-10-07 2004-10-07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9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62B1 (ko) 2007-10-15 2009-01-08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62B1 (ko) 2007-10-15 2009-01-08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57104A1 (en) Glasses with replaceable lenses
KR200354906Y1 (ko) 스포츠웨어형 선글래스와 안경어셈블리
KR101325469B1 (ko) 교체형 안경
KR2004484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120006724U (ko) 안경다리 조립 구조
KR200370956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US9740021B1 (en) Glasses with lens fastened by pivotal members
KR101325465B1 (ko) 교체형 안경
KR20180069234A (ko) 조립식 안경
KR200489414Y1 (ko) 안경렌즈 장착 구조체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100740712B1 (ko) 조립식 안경 및 그 부품
US20180275422A1 (en) Spectacles
KR101992268B1 (ko) 안경테 조립구조
KR200390659Y1 (ko) 실링재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체결구조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0174219Y1 (ko) 안경
KR200378698Y1 (ko) 고글용 보조안경의 착탈구조
US20220283447A1 (en) Removable, interchangeable, unbreakable, screwless, one-piece flexible spring hinge system for eyewear
KR200453136Y1 (ko) 코받침연결간을 가진 조립식안경
KR200467559Y1 (ko) 안경
KR20170059329A (ko) 안경용 경첩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EP1347327A1 (en) Spectacle frame
KR20200023815A (ko) 조립형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