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948Y1 -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948Y1
KR200370948Y1 KR20-2004-0027921U KR20040027921U KR200370948Y1 KR 200370948 Y1 KR200370948 Y1 KR 200370948Y1 KR 20040027921 U KR20040027921 U KR 20040027921U KR 200370948 Y1 KR200370948 Y1 KR 200370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ans
lock
rotating member
door lock
protr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호
임현옥
Original Assignee
남정호
임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호, 임현옥 filed Critical 남정호
Priority to KR20-2004-0027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실내측잠금수단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의 잠금을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를 구성하고, 상기 실내측잠금수단의 몸체 내부를 페쇄시키도록 장착되는 고정판의 고정편에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대향하게 관통된 고정공으로 스크류를 수평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구성함으로서, 우유투입구로 투입되는 공구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실내측잠금수단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동레버를 사용하기 위해 돌출된 손잡이를 자동으로 몸체의 내부로 안착되는 수동조작부를 장착함으로서 편리하면서도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편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입문의 내측면에 장착된 실내측잠금수단의 외측면으로 수동레버가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하여 안전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레버를 사용하기 위해 돌출시킨 손잡이가 자동으로 실내측잠금수단의 몸체 내부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상가의 일측에 설치되는 출입문에는 개인의 재산을 보호하면서도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는, 열쇠로 잠금장치를 개폐시키는 기계식 도어록이나, 키입력부, 메모리칩, 지문인식 등으로 잠금장치를 개폐시키는 디지털 도어록으로 구분된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몸체(111)의 내부에 다수의 버튼(113)을 수용하는 키입력부(112)가 장착되고, 상기 키입력부(112)를 개폐시키도록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114)가 상기 몸체(111)의 상부에 장착되는 실외측잠금수단(1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측잠금수단(11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출입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몸체(121)의 내부에 상기 키입력부(112)의 신호를 수신하고, 설정된 신호와 판단하는 인쇄회로기판(122)이 구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의 판단에 따라 회전되는 모터(123)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123)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기어(124)에 맞물려 출입문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문틀에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부재(125)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125)를 이동시키는 회전기어(124)에 연결되어 사용자 임의로 출입문에 잠금을 설정하거 해제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동레버(126)가 구비되고, 상기 수동레버(126)의 일측에 고정부재(125)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개폐레버(127)가 구비된 실내측잠금수단(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동레버(126)를 출입문의 외측에서 우유투입구를 통해 개폐시키지 못하도록 수동레버(126)를 보호캡(130)으로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도어록은,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경우에는, 보호캡이 수동레버를 수용하도록 실내측잠금수단에 장착되기 때문에 출입문의 우유투입구를 통해 별도의 공구로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밧데리의 전원이 소모되어 디지털 도어록을 수동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실내측잠금수단에서 보호캡을 이탈시킨 후, 수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설정 및 해제시켜 사용하였으나, 보호캡이 이탈된 수동레버를 출입문의 우유투입구로 공구를 삽입하여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보호캡의 착탈과정이 번거롭고, 보호캡을 별도로 제작하여 장착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우유투입구로 투입되는 공구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실내측잠금수단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동레버를 사용하기 위해 돌출된 손잡이를 자동으로 몸체의 내부로 안착되는 수동조작부를 장착함으로서 편리하면서도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편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출입문의 양측면에 실외.내측잠금수단(110)(120)이 장착되어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실내측잠금수단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의 잠금을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와;
상기 실내측잠금수단의 몸체 내부를 페쇄시키도록 장착되는 고정판의 고정편에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대향하게 관통된 고정공으로 스크류를 수평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손잡이를 가압하여 회전부재에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돌출된 손잡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을 설정하거나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손잡이가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공간의 내부로 복원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도어록 110: 실외측잠금수단
120: 실내측잠금수단 200: 수동조작부
210: 안내공간 220: 회전부재
230: 손잡이 240: 탄성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출입문의 양측면에 실외.내측잠금수단(110)(120)이 장착되어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실내측잠금수단(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의 잠금을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고정부재(125)를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200)가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잠금수단의 몸체 내부를 페쇄시키도록 장착되는 고정판(310)의 고정편(311)에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대향하게 관통된 고정공(320)으로 스크류(330)를 수평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부(3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동조작부(200)는, 상기 실내측잠금수단(120)의 내측으로 단차지게 안내공(211)이 관통되고, 상기 안내공(211)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회전부재(22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안내돌기(212)가 대향하게 돌출되는 안내공간(210)이 구비되며, 상기 안내공간(210)의 내부에 실내측잠금수단(12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회전부재(22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2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직각으로 돌출시키는 손잡이(23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220)의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230)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스프링(24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220)는, 상기 안내공(211)을 관통하여 회전기어(122)와 맞물리도록 몸체(221)의 저면에 결합돌기(222)가 돌출되고, 상기 몸체(221)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돌기(212)에 걸리도록 제어돌기(223)가 돌출되며, 상기 몸체(221)의 상면중앙과 일측 외주면이 연결되는 작동공간(22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224)의 내측으로 탄성스프링(240)을 수용하는 제1설치공(225)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30)는, 상기 회전부재(220)의 작동공간(224)에 안착되는 몸체(231)의 일측에 탄성스프링(240)을 수용하도록 상기 설치공(225)과 동일 선상으로 제2설치공(232)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회전부재(220)의 제1설치공(225)과 손잡이(230)의 제2설치공(232)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230)의 몸체(231)를 회전부재(220)의 작동공간(224)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이 제1,2설치공(225)(232)에 탄성스프링(240)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30)가 결합된 회전부재(220)를 안내공간(210)에 안착시키는데, 이때, 상기 회전부재(220)의 결합돌기(222)가 안내공간(210)의 안내공(211)으로 돌출되어 실내측잠금수단(120)의 몸체(121) 내부에 위치시켜 수동조작부(200)의 결합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안내공(211)으로 돌출된 회전부재(220)의 결합돌기(222)에 회전부재(220)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기어(124)를 결합하고, 상기 회전기어(124)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고정부재(125)을 결합하며, 상기 고정부재(125)의 일측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부재(125)을 이동시켜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개폐레버(127)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내측잠금수단(120)의 몸체(121)에 장착되는 부품을 보호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판(310)을 몸체(121)의 저면에 장착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판(310)의 고정편(311)이 몸체(121)의 내측면으로 이동하여 고정공(320)과 동일 선상이 되면, 스크류(330)가 고정공(320)으로 이동하여 고정편(311)에 수평으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본 고안의 결합이 완료되면, 출입문의 설치공으로 실외측잠금수단(110)의 몸체(111)에 고정된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출입문의 외측면에 실외측잠금수단(11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잠금수단(110)의 키입력부(112)를 연결한 신호전송선 즉,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밧데리의 전원을 인쇄회로기판의 제어에 의해 공급할 수 있도록 실내측잠금수단(120)과 연결한 후, 실외.내측잠금수단(110)(120)을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디지털 도어록(100)의 내부에 장착된 밧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밧데리의 전원에 의해 실외측잠금수단(110)의 키입력부(112)와 실내측잠금수단(120)의 개폐버튼(126)을 가압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을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의 밧데리 전원이 소진되어 수동으로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킬 경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30) 몸체(231)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여 작동공간(224)의 상부로 직각이 되도록 돌출시킨 상태에서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30)의 몸체(23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230)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부재(220)의 몸체(221)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결합돌기(222)에 결합된 회전기어(123)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20)의 제어돌기(223)는, 일측의 안내돌기(212)를 기점으로 타측의 안내돌기(212')에 걸릴때까지 회전하며, 상기 회전기어(123)에 연결된 실내측잠금수단(120)의 고정부재(125)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출입문에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출입문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여 손잡이(230)의 몸체(231)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0)의 몸체(231)는 탄성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220)의 작동공간(224) 내부로 복원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우유투입구로 투입되는 공구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실내측잠금수단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동레버를 사용하기 위해 돌출된 손잡이를 자동으로 몸체의 내부로 안착되는 수동조작부를 장착함으로서 편리하면서도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편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출입문의 양측면에 실외.내측잠금수단(110)(120)이 장착되어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실내측잠금수단(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어 상기 출입문의 잠금을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도록 고정부재(125)를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200)와;
    상기 실내측잠금수단의 몸체 내부를 페쇄시키도록 장착되는 고정판(310)의 고정편(311)에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대향하게 관통된 고정공(320)으로 스크류(330)를 수평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수동조작부(200)는,
    상기 실내측잠금수단(120)의 내측으로 단차지게 안내공(211)이 관통되고, 상기 안내공(211)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회전부재(22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안내돌기(212)가 대향하게 돌출되는 안내공간(210)이 구비되며, 상기 안내공간(210)의 내부에 실내측잠금수단(12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회전부재(22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2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직각으로 돌출시키는 손잡이(23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220)의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230)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스프링(2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3. 제2항에 있어서, 회전부재(220)는,
    상기 안내공(211)을 관통하여 회전기어(122)와 맞물리도록 몸체(221)의 저면에 결합돌기(222)가 돌출되고, 상기 몸체(221)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돌기(212)에 걸리도록 제어돌기(223)가 돌출되며, 상기 몸체(221)의 상면 중앙과 일측 외주면이 연결되는 작동공간(22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224)의 내측으로 탄성스프링(240)을 수용하는 제1설치공(2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4. 제2항에 있어서, 손잡이(230)는,
    상기 회전부재(220)의 작동공간(224)에 안착되는 몸체(231)의 일측에 탄성스프링(240)을 수용하도록 상기 설치공(225)과 동일 선상으로 제2설치공(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KR20-2004-0027921U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도어록 KR200370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21U KR200370948Y1 (ko)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21U KR200370948Y1 (ko)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948Y1 true KR200370948Y1 (ko) 2004-12-17

Family

ID=4944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21U KR200370948Y1 (ko) 2004-10-01 2004-10-01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9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945B2 (en) Door lock system
US7078640B2 (en) Opening switch for an opening and closing body
KR200370948Y1 (ko) 디지털 도어록
CN112983139A (zh) 用于门锁的驱动机构、门锁
JP2640637B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EP4020511A1 (en) Switch assembly and electric drill
CN212743629U (zh) 一种电子锁离合装置及电子锁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KR102200070B1 (ko)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0404749B1 (ko) 레버형 도어록
JP2002295059A (ja) 車両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KR200363386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록장치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CN219754285U (zh) 门窗锁具及门窗
CN209780458U (zh) 可机械开锁的电子密码锁
JP2000288215A (ja) パチンコ遊技機における遊技盤用の施錠装置
CN215914300U (zh) 互锁装置及手持式搅拌机
JP3051962B1 (ja) パチンコ遊技機における遊技盤用の施錠装置
KR940006482Y1 (ko) 도어록의 안전장치
JP2886141B2 (ja) 取外し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03036661A (ja) 携帯型情報機器のロック装置
JPH0527646Y2 (ko)
JPS6119575Y2 (ko)
JP2008174992A (ja) ハンドル装置
JP3600429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