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722Y1 -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 Google Patents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0722Y1 KR200370722Y1 KR20-2004-0028190U KR20040028190U KR200370722Y1 KR 200370722 Y1 KR200370722 Y1 KR 200370722Y1 KR 20040028190 U KR20040028190 U KR 20040028190U KR 200370722 Y1 KR200370722 Y1 KR 2003707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duct
- flame
- retardant sheet
- fabric layer
- flame retarda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한편 후렉시블 덕트의 유연성, 굴절성, 그리고, 난연성의 확보를 가능케 하는 후렉시블 덕트의 난연 쉬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후렉시블 덕트 제조를 위해 스프링 코일에 부설되며, 중간층을 이루는 직물층(2)을 베이스로 하여, 그 직물층(2) 상에 형성된 유연성의 합성수지 필름층(4a, 4b)과, 상기 합성 수지 필름층(4a, 4b) 상에 형성된 난연성의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이 상기 직물층(2)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을 이루며 적층 형성된 후렉시블 덕트의 난연쉬트의 제공을 통해 구현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흡기, 배기, 송풍용의 후렉시블 덕트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굴절성, 유연성 및 난연성을 동시에 갖는 후렉시블 덕트의 난연 쉬트에 관한 것이다.
후렉시블 덕트는 온풍, 냉풍, 특히 가스 배기 등이 통과하는 공조 시설재로서 흡진, 집진(集塵)등의 화학적, 기계적 용도로 그 쓰임이 다양하다. 특히, 이러한 후렉시블 덕트는 굴절성이 뛰어나서 풍도(風圖)의 위치 설정이 자유롭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통상, 후렉시블 덕트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 박판을 벨로우즈 형태로 감아 형성한 것과 스프링 코일 상에 소정의 합성수지 또는 섬유상의 쉬트를 감아 형성한 것이 있다.
특히, 스프링 코일 상에 타포린(tarpaulin) 소재의 쉬트를 감아 형성한 후렉시블 덕트가 종래에 제안된 바 있는데, 이 후렉시블 덕트는 취급 및 가공이 용이하고 유연성 및 굴절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는 화재시에 발화가 빠르고 많은 유독가스를 발생하는 타포린 소재의 쉬트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설치에 따른 많은 위험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는 스프링 코일에 대한 쉬트의 부착을 위해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부착에 사용된 접착제로 인한 표면 얼룩이 문제가 되어왔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직물층, 합성수지 필름층, 그리고 알루미늄 박막층을 적절히 배치하여 적층 성형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고 후렉시블 덕트의 유연성, 굴절성, 그리고, 난연성의 확보를 가능케 하는 후렉시블 덕트의 난연 쉬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강도, 유연성, 굴절성, 그리고 난연성을 동시에 갖고 스프링 코일 상에 용이하게 부설되는 것이 가능한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직물층, 합성수지 필름층, 그리고 알루미늄 박막층을 갖는 난연 쉬트를 스프링 코일 상에 부설하여 유연성, 굴절성 및 난연성을 갖는 후렉시블 덕트를 보다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의 난연 쉬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 난연 쉬트를 이용해 제조된 후렉시블 덕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2 후렉시블 덕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난연 쉬트를 이용한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 공정의 일예를 순서도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 후렉시블 덕트 c: 스프링 코일
1: 난연 쉬트 2: 직물층
4a, 4b: 합성수지 필름층 6a, 6b: 알루미늄 박막층
8a, 8b: 상온 경화형 접착제층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를 위해 스프링 코일에 부설되는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를 제공함에 있어서, 중간층을 이루는 직물층을 베이스로 하여, 그 직물층 상에 적층 형성된 유연성의 합성수지 필름층과, 상기 합성 수지 필름층 상에 적층 형성된 난연성의 알루미늄 박막층이 상기 직물층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을 이루는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쉬트의 제공을 통해 구현된다.
여기에서, 상기 직물층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유리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채 씨실과 날실로 직조되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합성수지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OPP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 상에는 가열에 의해 접착성을 갖는 상온 경화형의 접착제층이 도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간층을 이루는 직물층을 베이스로 하여, 합성수지 필름층 및 그 위의 알루미늄 박막층을 상기 직물층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하여 적층구조의 난연쉬트를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난연쉬트를 길이방향으로 잘라 기다란 띠형태로 준비하는 제 2 단계와, 스프링 코일의 나선방향을 따라 띠형의 난연쉬트를 스프링 코일의 내외로 중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후렉시블 덕트를 제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후렉시블 덕트 제조방법의 제공을 통해 구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 상에 상온 경화형의 접착제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난연쉬트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접착성을 갖게 하고 그 접착성을 이용해 서로 중첩되는 난연쉬트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체 적층구조의 일부분이 도시의 편의를 위해 분해되어 표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난연 쉬트(1)는 중간층을 이루는 직물층(2)을 베이스로 하여, 그 직물층(2) 상에 적층 형성된 유연성의 합성수지 필름층(4a, 4b)과, 상기 합성 수지 필름층(4a, 4b) 상에 적층 형성된 난연성의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이 상기 직물층(2)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의 적층구조를 이루어 형성된다.
직물층(2)은 난연쉬트(1)의 베이스를 이루는 것으로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난연쉬트(1)의 전체적인 강도 상승에 기여하는 뼈대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직물층(2)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유리섬유 소재의 씨실과 날실이 서로 직조되어 형성되어지며, 그 씨실과 날실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직물층(2)은 4방향으로 강한 인장강도를 갖게 되며 이하 기술되는 후렉시블 덕트(D)의 허용 내압을 상승시켜 준다.
그리고, 합성수지 필름층(4a, 4b)은 난연쉬트(1)의 유연성 및 굴절성의 확보를 위해 그리고 상기 직물층(2)과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의 접착을 위한 매개체 기능을 위해 상기 직물층(2)의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층이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폴리에스테르(PET) 또는 OPP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의 비닐 형태를 갖춘 채 예를 들면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직물층(2)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한 합성수지 필름층(4a, 4b)이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제조되고, 상기 직물층(2) 또한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제조된 경우, 직물층(2)과 합성수지 필름층(4a, 4b) 간의 상호 친화력이 개선되어 보다 안정된 적층구조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이에 연속하여, 본 실시예의 난연 쉬트(1)는 상, 하 합성수지 필름층(4a, 4b) 상에 예를 들면, 접착, 증착, 코팅 등의 방식으로 적층부착된 상,하 한 쌍의알루미늄 박막층(6a, 6b)을 구비하여 이하 기술될 후렉시블 덕트(D; 도 2 및 도 3참조)의 외기 및 스프링 코일(c; 도 2 및 도 3 참조)과 접촉하는 부분에 대한 난연성을 갖게 된다.
추가로, 상기한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의 표면 상에는 고온에서 접착성을 갖고 상온에서 경화되는 투명의 상온 경화형 접착제층(8a, 8b)이 형성된다. 이 상온 경화형 접착제층(8a, 8b)은 이하 기술되는 후렉시블 덕트(D)의 제조시 서로 중첩된 난연쉬트(1)를 일정 온도의 가열을 통해 접착시킬 수 있게 해주어 후렉시블 덕트(D)의 용이한 제조를 가능케 한다.
도 2는 도 1 난연쉬트(1)를 이용해 제조된 후렉시블 덕트(D)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후렉시블 덕트(D)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후렉시블 덕트(D)는 앞서 설명된 난연 쉬트(1)와 그 난연 쉬트(1)에 내외측으로 감겨져 매설되는 나선형의 스프링 코일(c)을 포함한다.
상기한 후렉시블 덕트(D)는 스프링 코일(c)의 내경에 의해 한정된 중공을 가져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접착제층을 제외하고는 외주면과 중공 내측면 모두에서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이 최상층 및 최하층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한 후렉시블 덕트(D)는 난연쉬트(1)가 스프링 코일(c)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는 구조를 이루어 그 스프링 코일(c)과 접촉하는 부분 또한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후렉시블 덕트(1)는 내, 외측에서 가해지는 화염 또는 뜨거운 열을 알루미늄 박막층(6a, 6b)으로써 차단하는 한편 그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이 스프링 코일(c)과 합성수지 필름층(4a, 4b)과의 경계에서 합성수지 필름층(4a, 4b) 및 그 안쪽의 직물층(2)을 덕트 외측 또는 스프링 코일로부터의 열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 때, 상기한 후렉시블 덕트(1)는 베이스를 이루는 직물층(2)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갖게되고 그 직물층(2) 상의 합성수지 필름층(4a, 4b)에 의해 충분한 굴절성 및 유연성을 갖게 된다.
도 4는 앞서 설명된 난연쉬트(1)를 제조하고 그 난연쉬트(1)를 스프링 코일(c)에 부설하여 후렉시블 덕트(D)를 제조하는 공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후렉시블 덕트(D)는 적층구조의 난연쉬트(1)를 형성하는 제 1 단계(S1)와, 그 난연쉬트(1)를 길이방향으로 잘라 기다란 띠형태로 준비하는 제 2 단계(S2)와, 준비된 띠형태의 난연쉬트(1)를 스프링 코일 상에 부설하는 제 3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계(S1)에서는, 씨실과 날실로 이루어진 직물층(2)을 베이스로 하여, 그 직물층(2)의 상하로 합성수지 필름층(4a, 4b)을 접착제로써 부착하고, 상, 하 합성수지 필름층(4a, 4b) 상에 미세 두께의 알루미늄 포일을 부착하여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을 형성하고, 상, 하 알루미늄 박막층(6a, 6b) 상에 상온 경화형의 접착제층(8a, 8b)을 미세 두께로 도포하여 상하 대칭의 적층구조를 갖는 대략1.5mm의 난연 쉬트(1)를 제조한다.
상기 제 2 단계(S2)에서는, 제조된 난연쉬트(1)를 길이방향으로 잘라 띠형태의 난연 쉬트로 준비한다. 이 때, 띠형의 난연 쉬트(1)는,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코일(c)의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되면서 스프링 코일(c)에 부착될 때, 상기 스프링 코일(c)이 난연쉬트(1)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도록 쉬트 폭이 정해진다.
상기 제 3 단계(S3)에서는, 제 2 단계(S2)에서 소정 폭으로 준비된 띠형의 난연 쉬트(1)를 스프링 코일(c)의 나선방향을 따라 스프링 코일(c)의 내측 및 외측으로 중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후렉시블 덕트(D)를 제조한다. 이 때, 중첩된 난연쉬트(1)의 부착은 난연쉬트(1)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해 알루미늄 박막층(6a, 6b) 위의 상온 경화형 접착제층(8a, 8b)이 접착성을 갖게 한 후 그 접착성을 이용하여 중첩된 부분을 가볍게 눌러줌으로써 가능하다.
이하의 여러 시혐예들에서는, 본 고안으로 제조된 후렉시블 덕트와 타포린 소재로 제조된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의 성능을 시험하고 그 시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시험예 1: 난연성 및 유독가스 발생 시험>
본 고안의 후렉시블 덕트와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를 쉬트 재질을 제외한 다른 조건을 모두 같게 하여 제조한 후, 대략 700℃ 의 화염을 본 고안의 후렉시블 덕트와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에 각각 가한 후 표면 상태의 변화 및 유독가스 발생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고안의 후렉시블 덕트의 경우, 약 20여초 동안 약간의 변형과 노란색으로의 변색만이 관찰되었을 뿐 표면이 타는 현상 및 유독가스의 발생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의 경우, 화염이 닫는 즉시 매캐한 유독가스를 내며 타기 시작하여 타포린 쉬트가 바로 전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시험예 2: 내압시험>
본 고안의 후렉시블 덕트와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를 구경 1500mm, 쉬트 두께 0.15mm를 갖도록 쉬트 재질을 제외한 다른 조건을 모두 같게 하여 제조한 후 본 고안의 후렉시블 덕트와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에 대한 내압시험을 하였다.
같은 조건하에서, 500mm WG 압력의 공기를 55M/sec의 풍속으로 송풍하여 그 결과를 관찰한 결과, 종래 후렉시블 덕트가 본 고안의 후렉시블 덕트보다 먼저 손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유연성 및 굴절성의 육안 관찰시험>
같은 조건으로 제조된 본 고안의 후렉시블 덕트와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는 모두 우수한 유연성과 굴절성을 가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으로 구현된 후렉시블 덕트는 타포린 쉬트로 형성된 종래의 후렉시블 덕트와 비교할 때 그 유연성 및 굴절성이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난연성, 강도, 그리고 내압성면에서 우수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저렴한 재료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난연 쉬트를 이용하여비용절감의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가열에 의해 접착성을 갖게 되는 상온 경화형 접착제층을 가져 난연 쉬트를 중첩시키면서 후렉시블 덕트를 제조함에 있어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 후렉시블 덕트의 제조를 위해 스프링 코일에 부설되는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에 있어서,중간층을 이루는 직물층(2)을 베이스로 하여, 그 직물층(2) 상에 적층 형성된 유연성의 합성수지 필름층(4a, 4b)과, 상기 합성 수지 필름층(4a, 4b) 상에 적층 형성된 난연성의 알루미늄 박막층(6a, 6b)이 상기 직물층(2)을 중심으로 상, 하 대칭의 적층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쉬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직물층(2)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유리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채 씨실과 날실로 직조되어 형성된 것이며,상기 합성수지 필름층(4a, 4b)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OPP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쉬트.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알루미늄 박막층(6a, 6b) 상에는 가열에 의해 접착성을 갖게 되는 상온 경화형의 접착제 층(8a, 8b)이 도포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쉬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8190U KR200370722Y1 (ko) | 2004-10-05 | 2004-10-05 |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8190U KR200370722Y1 (ko) | 2004-10-05 | 2004-10-05 |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8959A Division KR20060030176A (ko) | 2004-10-05 | 2004-10-05 |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및 이를 이용한 후렉시블덕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0722Y1 true KR200370722Y1 (ko) | 2004-12-16 |
Family
ID=4944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8190U KR200370722Y1 (ko) | 2004-10-05 | 2004-10-05 |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0722Y1 (ko) |
-
2004
- 2004-10-05 KR KR20-2004-0028190U patent/KR20037072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54710A (en) | Laminated insulation blanket | |
US3768523A (en) | Ducting | |
JP3752583B2 (ja) | マントル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US9023444B2 (en) | Thermal insulating material | |
JP4708356B2 (ja) | パイプシェル | |
TWI269848B (en) | Structure of an anti-burst double-layer woven fabric flexible tube and its fabrication method | |
KR20160068816A (ko) | 향상된 가요성을 가진 권취가능한 적층형 텍스타일 슬리브 및 권취가능한 텍스타일 슬리브의 포일 레이어 내에서의 균열을 감소시키는 방법 | |
US20050218655A1 (en) | Duct board with adhesive coated shiplap tab | |
KR20060030176A (ko) |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및 이를 이용한 후렉시블덕트의 제조방법 | |
KR200370722Y1 (ko) | 후렉시블 덕트용 난연 쉬트 | |
KR20170103235A (ko) | 난연 단열필름 | |
JP6912202B2 (ja) | ダクト | |
KR101339856B1 (ko) |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 |
KR101949228B1 (ko) | 덕트용 보온 단열재 | |
US8986815B2 (en) | Flame retardant polymer jacket | |
KR101901566B1 (ko) | 건축용 단열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단열필름 | |
CN110884233B (zh) | 管路包覆防火材 | |
JP5243521B2 (ja) | パイル織物を用いたエアダクト | |
JP2003320635A (ja) | 積層体の製造方法 | |
KR200322920Y1 (ko) | 난연 알루미늄 원단 | |
JP2001208289A (ja) | 配管用断熱材 | |
JPH10252171A (ja) | 無機質繊維天井板 | |
KR101096921B1 (ko) | 인테리어용 단열 필름의 제조방법 | |
JPS637154B2 (ko) | ||
CN205688756U (zh) | 一种排烟风管防腐防火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06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