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708Y1 -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708Y1
KR200370708Y1 KR20-2004-0028055U KR20040028055U KR200370708Y1 KR 200370708 Y1 KR200370708 Y1 KR 200370708Y1 KR 20040028055 U KR20040028055 U KR 20040028055U KR 200370708 Y1 KR200370708 Y1 KR 200370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owing
disposed
traile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만
Original Assignee
아이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씨피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Abstract

본 고안은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2단식 적재함에 의해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나아가 극대화된 적재량에 의해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는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자중에 비해 적재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화물을 최대한 많이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절감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
본 고안은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견인부와 주행부 사이에 2단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 하부 적재함과, 승강장치에 의해 상부적재함의 높이를 상, 하로 가변시키므로서, 적재량을 극대화한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2004년 08월 09일자로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0062397호에 대한 국내우선권주장출원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의 적재함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판 트레일러(FT)가 그 대표적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로서, 평판 트레일러(FT)는 견인부(PA)와 주행부(DA)가 마련된 메인프레임(MF)으로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MF)은 길이방향 중앙 부위에 소정간격 떨어져 메인 비임(MB)이 배치되고, 이 메인 비임(MB)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가로부재(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가로부재와 메인 비임(MB)의 전, 후 양단에 사이드 프레임(SF)이 배치되어 하나의 조합된 프레임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메인 프레임(MF)의 전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견인차의 커플러(Coupler)와 결합될 수 있도록 킹 핀(KP)이 하측으로 돌출된 견인부(PA)가 마련되고, 후방에는 상기한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WE)가 구비된 주행부(DA)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메인 프레임(MF)의 상부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바닥판(미도시)이배치되어, 이 바닥판의 상부에 지게차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사이드 프레임(SF)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걸림부재(LM)가 마련되어 화물을 지지하는 로우프(미도시)의 결속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레일러는 최대적재량(통상 26,000Kg)에 비해 자중이 가벼운 화물의 경우 적재량의 한계가 있어 물류비용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등록번호 제 0273150호로 "가변식 적재함을 구비한 윙 바디 트레일러"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 가변식 적재함을 구비한 윙 바디 트레일러(WT)는 견인부(PA)와 주행부 사이의 하측에 하부적재함(LB)이 마련된 메인 프레임(MF)이 배치되고, 이 메인 프레임(MF)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윙 바디 트레일러(WT)의 좌, 우측을 구획함과 동시에 적재화물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월 프레임(WF)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월 프레임(WF)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한 하부 적재함(LB)의 양측 상부에 리프트장치(LE)가 배치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리프트장치(LE)는 제 1, 2, 3포스트(P1)(P2)(P3)가 안테나 식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제 1포스트(P1)가 하부 적재함(LB)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이 제 1포스트(P1)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제 2, 3포스트(P2)(P3)가삽입되어 있다.
제 3포스트(P3)의 각 상단에는 2단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적재함(UB)의 네 모서리가 지지되며, 제 2포스트(P2)의 상단에는 지지프레임(SF)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지지 프레임(CF)의 하측에 리프트 실린더(LC)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제 3포스트(P3)의 하단에는 일단이 제 1포스트(P1) 하단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WR)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리프트 실린더(LC)의 작동에 의해 제 2포스트(P2)가 상승함과 동시에 와이어 로프(WR)에 의해 연결된 제 3포스트(P3)가 상승하며, 상부적재함(UB)의 하부, 다시 말해서, 하부적재함(LB)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상부적재함(UB)의 양측에는 화물 경사장치(TE)가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화물 경사장치(TE)는 실린더(CD)와, 제 1, 2연결링크(L1)(L2)와 경사부재(TM)로 이루어진다.
실린더(CD)는 상부적재함(UB)의 중간부분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이 실린더(CD) 단부의 로드(RD)에는 제 1연결링크(L1)의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 제 1연결링크(L1)의 타단은 후술하는 경사부재(TE)와 일체로 결합된 제 2연결링크(L2)와 힌지결합되어 있다.
경사부재(TM)는 상부적재함(UB)의 양외측 길이방향에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상기한 실린더(CD)의 전진동작에 의해 제 1연결링크(L1)도 전진하며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2연결링크(L2)를 연동시킴에 따라, 이 제 2연결링크(L2)와 일체로 장착된 경사부재(TE)가 회동하며 상기한 상부적재함(UB)의 상부로 돌출되므로서, 상부적재함(UB) 상부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한 월 프레임(WF)쪽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급커브길 주행중 적재된 화물이 외측으로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윙 바디 트레일러는 리프트장치와 화물 경사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그 제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리프트장치와 화물 경사장치에 의해 공차(空車)의 중량이 무겁게 형성되므로서, 상, 하부 적재함에 화물을 나누어 적재할 수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화물 적재량의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한 리프트장치와 화물 경사장치의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서, 콘트롤러의 조작이 복잡하여 주 사용자인 운전자들의 번거로움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부적재함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각 포스트마다 일일이 고정핀을 삽입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번거로워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중에 비하여 적재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화물의 적재량을 극대화하여 물류비용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물의 적재량은 극대화하되,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류비용을 절감므로서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경사장치를 갖추지 않고도 상부적재함에 의해 화물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주 사용자인 운전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상부적재함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물운송용 평판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a는 종래의 화물운송용 2단식 적재함을 갖춘 윙 바디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b "B"선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화물 경사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 "C"방향에서 바라본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D"-"D"선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승강장치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 "F"-"F"선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 작용을 보인 도 7 "G"-"G"선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10a는 도 9 "H"-"H"선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 "I"선을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일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트레일러 10;메인프레임
11;견인부 13;주행부
100;하부 적재함 110;측벽
200;승강장치 210,220;제 1포스트
250,260;제 2포스트 211,251;제 1, 2힌지브라켓
270;지지프레임 280;에어 백
300;상부 적재함 400;경사장치
500;높이조절장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단에 견인차량과 결합되어 피견인 되도록 킹핀이 구비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가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을 포함한다.
또한, 승강장치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주행부 상측에 하단이 장착된 제 1포스트와;
상기 제 1포스트 내측에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각 상단에 제 1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제 2포스트와;
상기 제 1힌지 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의 각 전, 후 양단 하측에 장착된 제 2힌지 브라켓과;
상기 상부 적재함 양단하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제 1포스트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중간부분에 하측이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지지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2포스트는 상기 상부적재함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길이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된 제 1, 2포스트가 내측으로 배치된 제 1, 2포스트보다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내측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화물 경사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화물 경사장치는 하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 외곽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각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 홈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다수 배치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정점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원호형 요홈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일측에 상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경사부재와;
상기 경사 부재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브라켓 하측에 배치된 작동장치와;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그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상기 경사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승강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장치는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장착된 래크 기어와, 상기 래크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하면에 장착된 기어 브라켓에 축결합된 피니언 기어와, 일단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브라켓을 관통,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선단에 견인차량과 결합되어 피견인 되도록 킹핀이 구비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가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과;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상부적재함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부적재함의 전, 후 양측과 좌, 우 양측 바닥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적재함을 일측에서 바라볼 때, 수직방향 각 외측이 상기 측벽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단은 상기 하부적재함에 장착된 제 1포스트와;
상기 제 1포스트 내측에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각 상단에 제 1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제 2포스트와;
상기 제 1힌지 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 전, 후 양단 하측에 장착된 제 2힌지 브라켓과;
상기 상부적재함의 의 전, 후 양단 하측에 상단이 장착되고, 하단은 상기 견인부와 상기 주행부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포스트는 상기 제 1포스트의 내측에서 상, 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4면에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제 1지지판과, 상기 제 1지지판의 양측에 대칭형으로 장착된 제 2, 3지지판과, 상기 제 1, 2, 3지지판의 상하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마구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 1지지판의 일측에 실린더 헤드가 힌지결합되며, 전, 후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에 장착된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 "C"방향에서 바라본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D"-"D"선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승강장치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 "F"-"F"선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 작용을 보인 도 7 "G"-"G"선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10a는 도 9 "H"-"H"선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 "I"선을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일측단면도이다. (이하, 설명 편의상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고,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반용 트레일러(1)(이하, "트레일러"라 칭한다.)는 하부적재함(100)과 승강장치(200)와, 상부적재함(300)으로 대별된다.(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기술적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하부적재함(100)은 전방의 견인부(11)와 후방에 마련된 주행부(13)의 단부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측벽(110)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다.
이 하부적재함(100)에도 다수의 가로부재(101)가 배치되며, 이 가로부재(101)의 상부에 목재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바닥판(102)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부적재함(100)의 하단면("h"표시부위)은 도로교통법상에서 허용하는 최저지상고(250mm)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로주행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이 하부적재함(100)의 상측에는 상부적재함(300)이 배치되는데, 이 상부적재함(300)은 후술하는 승강장치(200)를 매개로 하여 상기한 하부적재함(100)의 상측에 평면상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상, 하부 적재함(100)(300) 사이에 승강장치(200)가 배치된다.
승강장치(200)는 상기한 견인부(11)의 후방과 주행부(13)의 전방 폭방향에 수직으로 각 2개씩 대칭형으로 배치되는데, 이 승강장치(200)는 제 1포스트(210)(220)와 제 2포스트(250)(260)와, 제 1, 2힌지브라켓(211)(251)과, 지지프레임(270), 에어 백(280)으로 이루어진다.
제 1포스트(210)(220)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의 관(管)으로서, 견인부(11)의후방과 주행부(13)의 전방 폭방향에, 도시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중심선(CL) 일측, 다시 말해서, 내측에 배치된 제 1포스트(210)는 짧고, 외측에 배치된 제 1포스트(220)는 길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경사장치가 필요없이 상부적재함(300) 상부에 적재되는 화물의 외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포스트(210)(220) 내측에 제 2포스트(250)(260)가 삽입, 배치되는데, 이 제 2포스트(250)(260) 역시 사각형상의 관으로서,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 하 슬라이딩이 용이하다.
이 제 2포스트(250)(260)도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와 마찬가지로, 수직상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된 제 2포스트(250)가 짧고, 외측에 배치된 제 2포스트(260)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포스트(250)(260)의 각 상단에는 제 1힌지브라켓(251)이 설치되는데, 이 제 1힌지브라켓(251) 상측에 형성된 힌지 홀(미도시)에 후술하는 상부적재함(300)의 하측에 배치된 제 2힌지브라켓(253)의 힌지 홀(미도시)과 힌지 핀(251a)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의 높이방향 각 중간부분에 지지프레임(270)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이 지지프레임(270)의 상부중간부분에 에어 백(280)의 하측이 설치되는데, 이 에어 백(280)의 상측은 후술하는 상부적재함(300)의 하측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승강장치(200) 상측에 상부적재함(300)이 설치된다.
상부적재함(300)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으로 조합된 프레임형태로서, 상술한 하부적재함(100)과 마찬가지로 가로부재(미도시)와 이 가로부재의 상측에 목재 바닥판(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부적재함(300)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한 견인부(11)와 주행부(13)에 1차적으로 화물을 적재한 다음, 상기한 하부적재함(100)에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승강장치(200)의 에어 백(280)에 에어를 공급하면, 이 에어 백(280)은 상측으로 작동하며 상부적재함(300) 전체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럼으로서, 적재 높이("H"표시 부위)가 확보되면, 하부적재함(100)의 상부에 파레트(미도시)화된 화물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적재함(100)에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부적재함(300)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하부적재함(100)에 적재된 화물의 바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 상부 적재함(300)의 상부에도 화물을 적재하면 된다.
이 때, 상부적재함(300)은 제 1포스트(210)(220)와 제 2포스트(250)(260)의 수직선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경사("θ")가 형성되며, 이 제 1포스트(210)(220) 내부에서 에어 백(280)에 의해 상, 하 슬라이딩하는 제 2포스트(250)(260)에 의해 상기한 상부적재함(300)의 원활한 상, 하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적재함(300) 상부에 적재되는 화물은 각 내측으로 기울기("θ")가 형성된 상태가 되므로, 급커브길 주행중 적재된 화물이 외측으로 전도되는 전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1) 중간부분에 2단으로 형성된 상, 하부 적재함(100)(300)에 화물을 2단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량을 극대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1)는 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된 화물 경사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경사장치(400)는 가이드 브라켓(410)과, 바닥판(420)과, 경사 부재(430)와, 작동장치(450) 그리고, 승강 브라켓(470)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브라켓(410)은 상술한 견인부(11)와 주행부(13) 외곽에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10a) 각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다.
가이드 브라켓(410)은 단면에서 바라볼 때, 하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411)이 길게 형성되어, 이 가이드 홈(411)의 저면에 후술하는 작동장치(450)의 래크기어(451)가 관통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장공(4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411)의 바닥면에는 바닥판(420)이 배치된다.
바닥판(420)은 통상의 평철(Flat Bar) 형태로 상기한 가이드 브라켓(410)의 가이드 홈(411)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바닥판(420)의 상측에 소정거리 등간격으로 다수의 경사부재(430)가 배치되어 있다.
경사부재(430)는 두꺼운 금속판을 모형절단한 것으로서, 경사부(431)와 수평부(433), 걸림턱(4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43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각도로 형성되며, 이 경사부(431)의 정점(頂點)에 수평부(433)의 일단이 연결된다.
수평부(433)의 중간부분에는 원호(圓弧)형 요홈(432)이 형성되는데, 이 수평부(433)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닥판(420)과 경사부재(430)는 일체로 장착되어 후술하는 작동장치(450)의 작동동작에 의해 전,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 브라켓(410)의 하측에 작동장치(450)가 마련되는데, 작동장치(450)는 래크 기어(451)와 기어 브라켓(452), 피니언 기어(453), 작동축(455)으로 이루어진다.
래크 기어(451)는 상기한 가이드 홈(411)에 형성된 장공(413)을 관통하여 바닥판(420)의 저면에 장착되는데, 이 래크 기어(451)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453)는 상기 가이드 홈(411)의 하면에 장착된 기어 브라켓(452)에 축결합되어 있다.
한편, 작동축(455)은 일단이 상기한 피니언 기어(453)와 기어 브라켓(452)을 관통,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0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작동축(455)의 타단에는 통상의 키이(Key)또는 스플라인(Spline)을 형성하여 핸들(HD)을 이용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 브라켓(410)의 가이드 홈(411)에는 승강 브라켓(470)이배치되어 있다.
승강브라켓(470)은 그 단면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 하단에 다수의 가이드 롤러(471)가 소정거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471)의 설치위치는 상기한 경사부재(430)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경사장치(4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핸들(H)을 작동축(455)의 타단에 연결한 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이 작동축(455)과 축결합된 피니언 기어(453)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가이드 브라켓(410)의 가이드 홈(411) 저면에 형성된 장공(413)을 관통한 래크 기어(451)는 일측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 래크 기어(451)와 장착된 바닥판(420)이 연동하며, 이 바닥판(420)과 장착된 경사부재(430)도 일측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사부재(430)의 일측 이동에 따라, 이 경사부재(430) 일측, 다시 말해서, 바닥판(420)의 상부에 놓여 있던, 가이드 롤러(471)는 상기한 경사부재(430)의 경사부(431)를 따라 서서히 상측으로 이동하고, 경사부(431)의 정점에 연결된 수평부(433) 중간부분에 형성된 요홈(432)에 안착된다.
이때, 요홈(432)에 안착된 가이드 롤러(471)는 수평부(433)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35)에 걸리며 더 이상 이동이 불가능해지므로서 화물 경사장치(40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수의 가이드 롤러(471)와 힌지결합된 승강 브라켓(470)은 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적재면 보다 돌출되게 되고, 그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면, 이 화물은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모아지는 경사가 형성된다.
또한, 목적지에서 화물의 하역이 완료되면, 상기한 동작의 반대방향으로 핸들(H)을 회전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경사장치(400)의 승강브라켓(470)은 원상태로 가이드 홈(411) 저면에 삽입되면서 적재함 바닥과 평면을 이룬다.
이상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단 적재함을 갖춘 트레일러(1)는 윙 바디 트레일러뿐 아니라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평판 트레일러 또는 로우베드 트레일러를 구조변경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부적재함(100)과 승강장치(200)와 상부적재함(300)등을 추가, 적용하여도 본 고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로서, 제 1포스트(210)(220) 및 제 2포스트(250)(260)의 길이를 길게하여 하부적재함(100)의 측벽(110)에 밀착시키고,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의 하측에 높이조절장치(500)를 설치한 이외에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제 1포스트(210)(220)는 사각형 관(管)으로서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하부적재함(100)의 전, 후 양측과 좌, 우 양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전, 후 양측면은 하부적재함(100)의 측벽(110)과 면접 장착되고, 하단은 하부적재함(100) 상부에 장착된다.
이 제 1포스트(210)(220)의 하단 일측면에 개구부(213)가 대칭형으로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213)는 후술하는 높이조절장치(500)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제 1포스트(210)(220)의 내측으로 제 2포스트(250)(260)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제 2포스트(250)(260) 상단에 각각 배치된 제 1, 2힌지브라켓(251)(253)의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포스트(250)(260)의 4면에는 수직상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25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부재(255)는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의 내면과 접촉하며 상기한 제 2포스트(250)(260)의 상, 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재질 자체의 윤활성을 갖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또는 엠씨 나일론(MC Nyl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포스트(210)(22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장치(500)가 배치되어 있다.
높이조절장치(500)는 본체(510)와 실린더(53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510)는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공지의 "H" 비임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제 1지지판(511)의 양측으로 제 2, 3지지판(512)(513)이 평면에서바라볼 때, 직각하는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이 제 1, 2, 3지지판(511)(512)(513)의 각 상, 하단에는 마구리판(515)이 장착되어 있다.
제 1지지판(511)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실린더(530)의 실린더 헤드(531)와 힌지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힌지홀(미도시)이 형성된 방향에 배치된 제 3지지판(513)에는 상기한 실린더 헤드(531)가 지날 수 있도록 장공(51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체(510)의 일측, 즉, 측벽(110)에는 실린더(530)가 수평방향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계속 해서,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1a에 도시한 상태는 하부적재함(100) 상부에 높이가 높게 형성된 화물(M)즉, 높이가 높은 파렛트(Pallet)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때에는 높이조절장치(500)가 제 2포스트(250)(260)의 각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제 1포스트(210)(220)의 개구부(213)로 삽입, 배치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적재함(100)에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상부적재함(300)의 높이를 낮추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우선, 상부적재함(300)의 전, 후 양단에 배치된 에어 백(280)을 작동하여 상부적재함(3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부적재함(300)의 각 모서리에 제 1, 2힌지브라켓(251)(253)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 2포스트(250)(260)도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하부적재함(100) 상부에 파렛트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 화물(M)을 적재함과 동시에 제 1포스트(210)(220)의 개구부(213)를 통해 제 2포스트(250)(260)의 각 하단에 배치되어 있던, 높이조절장치(500)의 본체(510)는 일측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530)의 후진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한 개구부(213)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그런 다음, 상부적재함(3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하였던, 에어 백(280) 내부에 주입된 에어를 서서히 빼게 되면, 상부적재함(300)도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높이 조절장치(500)의 본체(510)가 빠져 나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 2포스트(250)(260)의 하단은 하부적재함(100) 상부까지 내려오게 되며 높이가 낮은 화물(M)의 바로 상부에 근접하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높이가 높게 형성된 화물(M)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적재함(300)을 최대한 상부로 이동시킨 뒤, 하부적재함(100)에 높이가 높은 화물(M)을 적재함과 동시에 높이조절장치(500)의 본체(510)를 측벽(110)에 수평으로 배치된 실린더(530)에 의해 제 1포스트(210)(220)의 개구부(213)에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에어 백(280)에 주입되었던, 에어를 서서히 빼주면 상부적재함(300)의 이동에 따라, 각 제 2포스트(250)(260)도 하강하게 되며, 이미, 제 1포스트(210)(220)의 개구부(213)를 통해 삽입된 높이조절장치(500)의 본체(510)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적재함(300)도 높이가 높게 형성된 화물(M)의 상면에 근접한 상태로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적재함(100)의 중심측에 배치된 제 1, 2포스트(210)(250)는 낮게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제 1, 2포스트(220)(260)의 높이가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에어 백(280)에 주입되었던 에어를 빼내어 상부적재함(300)이 소망하는 높이에 배치되면 자연스럽게 경사("θ"표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500)에 의해 화물의 높이에 관계없이 하부적재함(100)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실린더(530)는 헤드측과 로드측 양측의 푸트(Foot)형(型)을 적용한 것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그 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트러니언형(Trunion Type) 또는 클레비스형(Clevis Type)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중에 비하여 적재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화물의 적재량을 극대화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류비용 절감효과까지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적재함 한번의 상, 하 동작에 의해 화물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주 사용자인 운전자들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사용자들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선단에 견인차량과 결합되어 피견인 되도록 킹핀이 구비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가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주행부 상측에 하단이 장착된 제 1포스트와;
    상기 제 1포스트 내측에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각 상단에 제 1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제 2포스트와;
    상기 제 1힌지 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의 각 전, 후 양단 하측에 장착된 제 2힌지 브라켓과;
    상기 상부 적재함 양단하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제 1포스트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중간부분에 하측이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지지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포스트는 상기 상부적재함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길이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된 제 1, 2포스트가 내측으로 배치된 제 1, 2포스트보다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내측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화물 경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경사장치는 하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 외곽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각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 홈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다수 배치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정점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원호형 요홈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일측에 상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경사부재와;
    상기 경사 부재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브라켓 하측에 배치된 작동장치와;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그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상기 경사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승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장착된 래크 기어와, 상기 래크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하면에 장착된 기어 브라켓에 축결합된 피니언 기어와, 일단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브라켓을 관통,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7. 선단에 견인차량과 결합되어 피견인되도록 킹핀이 구비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가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과;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상부적재함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부적재함의 전, 후 양측과 좌, 우 양측 바닥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적재함을 일측에서 바라볼 때, 수직방향 각 외측이 상기 측벽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단은 상기 하부적재함에 장착된 제 1포스트와;
    상기 제 1포스트 내측에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각 상단에 제 1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제 2포스트와;
    상기 제 1힌지 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 전, 후 양단 하측에 장착된 제 2힌지 브라켓과;
    상기 상부적재함의 의 전, 후 양단 하측에 상단이 장착되고, 하단은 상기 견인부와 상기 주행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포스트는 상기 제 1포스트의 내측에서 상, 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4면에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본체(510)는 수직을 배치된 제 1지지판과, 상기 제 1지지판의 양측에 대칭형으로 장착된 제 2, 3지지판과, 상기 제 1, 2, 3지지판의 상하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마구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 1지지판의 일측에 실린더 헤드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적재함의 전, 후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에 장착된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KR20-2004-0028055U 2004-08-09 2004-10-04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KR2003707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97 2004-08-09
KR1020040062397 2004-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708Y1 true KR200370708Y1 (ko) 2004-12-16

Family

ID=373061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731A KR100530012B1 (ko) 2004-08-09 2004-10-04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KR20-2004-0028055U KR200370708Y1 (ko) 2004-08-09 2004-10-04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731A KR100530012B1 (ko) 2004-08-09 2004-10-04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30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84B1 (ko) 2008-11-07 2009-07-02 (주) 대덕에이치에이엠 화물차용 적재함
KR101292299B1 (ko) * 2010-04-21 2013-08-01 이장수 이동 판매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012B1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3285C (en) Transportation container
US4971506A (en) Vehicle parking system
EP1592579B1 (en) Vehicles and traillers incorporating moveable load carrying platforms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JP3212978B2 (ja) 搬送車両
US5051046A (en) Semi trailer convertible for hauling automobiles
US6152511A (en) Convertible trailer system
EP3476652B1 (en) Transport platform
JP2013529156A (ja) コンバーティブルトレーラ
JP7449524B2 (ja) 取り外し可能な機能モジュールを備えた無人車両
US20150232134A1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KR200370708Y1 (ko)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US5067869A (en) Automobile transportation apparatus
KR200443831Y1 (ko)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KR200388309Y1 (ko)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EP0906241B1 (en) A straddle carrier
CN111391875B (zh) 一种汽车-集装箱两用凹底运输车用端部底架升降装置
US20220250529A1 (en) Multi-vehicle transport trailer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KR200273150Y1 (ko) 가변식 적재함을 구비한 윙바디 트레일러
KR0139700Y1 (ko)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102409363B1 (ko) 특장차의 화물 상하차용 리프트 게이트
KR102186484B1 (ko) 화물차량용 이단 적재함
CN111452811B (zh) 一种汽车-集装箱两用凹底运输车
JP4353777B2 (ja) 海上コンテナ輸送用シャシートレーラ吊上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