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552Y1 - 아기 포대기 - Google Patents

아기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552Y1
KR200370552Y1 KR20-2004-0027349U KR20040027349U KR200370552Y1 KR 200370552 Y1 KR200370552 Y1 KR 200370552Y1 KR 20040027349 U KR20040027349 U KR 20040027349U KR 200370552 Y1 KR200370552 Y1 KR 200370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storage bag
bag
backrest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식
Original Assignee
안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식 filed Critical 안정식
Priority to KR20-2004-0027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기능을 갖는 아기 포대기에 구성되어 유아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아기 포대기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주머니만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양측으로 어깨멜빵용 밴드(1)(1a)가 연결된 등받침용 배면커버(2)와,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와 전방 하측으로 연결되고 아기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부(3)와, 상기 엉덩이 받침부(3)의 전방부에 연결 구성되는 시트면(4)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에 구성되는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11)와, 상기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11)의 배면 외측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아기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12)와, 상기 수납주머니(12)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암, 수 홀더(13) (13a)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부에 구성한 배낭형의 수납주머니(11)외에 별도의 수납주머니(12)를 암, 수 홀더(13)(13a)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아기 포대기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주머니(12)만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분리하여 휴대,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필요에 따라 수납주머니(12)를 분리해낸 상태에서 아기 포대기를 착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아기 포대기가 간편해 질 수 있다.
셋째, 수납주머니(12)의 메인 주머니(14)안에는 젖병꽂이(16)가 구성되어 있어 아기의 젖병을 꽂아 보관하게 되면 유동됨이 없이 휴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메인 주머니(14)의 양측부나 전면부 또는 배면부 등에 다수의 소품주머니(15) (15a)(15b)를 구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필요한 소품 등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각각 수납할 수 있다.
넷째,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상측부에 머리받침부(9)를 암, 수 스냅단추 (10)(10a)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머리받침부(9)를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기 포대기{Baby Carrier}
본 고안은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낭기능을 갖는 아기 포대기에 구성되어 유아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아기 포대기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주머니만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보호자가 아기를 업거나 안고서 활동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아기를 편안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아기 포대기가 안출된 바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아기 포대기 중 아기 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배낭 기능을 갖는 아기 포대기에 수납주머니가 구성되어 있으나, 기존의 수납 주머니는 아기 포대기 본체에 일체로 결합 구성되어 있어 착탈이 불가능하여 항시 수납주머니는 아기 포대기 본체와 함께 휴대해야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기 포대기는 각종 유아용품 등을 수납한 수납주머니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기 포대기와 함께 해야 함으로 사용상 불편한 것이었다.
즉, 예컨대 야외로 외출하여 야유회 등을 가거나 실내에서 착용하였던 아기 포대기를 아기와 함께 풀어 놓고 각종 유아용품 등이 수납된 수납주머니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 아기 포대기 본체와 함께 휴대해야 함으로 휴대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낭기능을 갖는 아기 포대기에 구성되어 아기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아기 포대기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주머니만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아기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측으로 어깨멜빵용 밴드가 연결된 등받침용 배면커버와,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와 전방하측으로 연결되고 아기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부와, 상기 엉덩이 받침부의 양측으로 구성되는 시트면과, 상기 시트면의 하측부에 구성되고 착용시 아기 엉덩이의 처짐을 받쳐주는 받침밴드와,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의 배면에 구성되는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와, 상기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의 배면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아기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와, 상기 수납주머니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암수 홀더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에서 본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a: 어깨멜빵용 밴드 2: 등받침용 배면커버
3: 엉덩이 받침부 4: 시트면
5: 받침밴드 7,7a: 연결밴드
8,8a: 체결밴드 9: 머리받침부
10,10a: 암,수 스냅단추 11: 배낭형의 수납주머니
12: 수납 주머니 13,13a: 암,수 홀더
14: 메인 주머니 15,15a,15b: 소품주머니
16: 젖병꽂이 17: 손잡이
18: 지퍼 19: 뚜껑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어깨멜빵용 밴드(1)(1a)가 연결된 등받침용 배면커버(2)를 구성한다.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와 전방 하측으로 연결되고 아기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부(3)를 구성한다.
상기 엉덩이 받침부(3)의 전방부에 시트면(4)을 연결 구성하고 상기 시트면(4)의 하측부에 구성되고 착용시 아기 엉덩이의 처짐을 받쳐주는 받침밴드 (5)를 구성한다.
상기 시트면(4)은 양측부에서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와 어깨멜빵용 밴드(1)(1a) 간에 연결밴드(7)(7a)와 체결밴드(8)(8a)로 연결한다.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상측부에는 아기의 머리를 받쳐주어 목을 보호해주는 머리받침부(9)를 암, 수 스냅단추(10)(10a)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에 구성되어 아기용품 등의 소품을 수납하는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11)를 구성하고, 상기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11)의 배면외측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아기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12)를 구성한다.
상기 수납주머니(12)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암, 수 홀더(13) (13a)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암, 수 홀더(13)(13a)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냅단추나 암, 수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이 상기 수납 주머니(12)가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에 분리,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포함된다.
상기 수납주머니(12)는 메인 주머니(14)가 구성되고 이의 양측부나 전면부 또는 배면부 등에 소품 등을 분리하여 각각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소품주머니(15) (15a)(15b)를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수납주머니(12)의 메인 주머니(14)에는 젖병을 수납하는 젖병꽂이(16)를 구성하고, 상측부에는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7)를 구성하며, 지퍼(18)에 의해 개폐하는 뚜껑(19)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3에서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3)에 아기를 안혀 어깨멜빵용 밴드(1)(1a)를 통해 업거나 안을 수 있고 받침밴드(5)에 의해 아기 엉덩이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야외로 외출하여 야유회 등을 가거나 실내에서 착용하였던 아기 포대기를 아기와 함께 풀어 놓고 각종 유아용품 등의 내용물이 수납된 수납주머니(12)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1에서와 같이 암, 수 홀더(13) (13a)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기 수납주머니(12)만을 분리하여 낸다.
상기 분리된 각종 유아용품 등의 내용물이 수납된 수납주머니(12)는 손잡이(17)를 통해 간편하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필요한 내용물을 수납 또는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휴대나 사용 시 아기 포대기 본체가 같이 수반됨이 없이 수납주머니(12)만으로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납주머니(12)의 메인 주머니(14)안에는 젖병꽂이(16)가 구성되어 있어 아기의 젖병을 꽂아 보관하게 되면 유동됨이 없이 휴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메인 주머니(14)의 양측부나 전면부 또는 배면부 등에 다수의 소품주머니 (15)(15a)(15b)를 구성함으로써 필요한 소품 등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부에 구성한 배낭형의 수납주머니(12)는 상기 수납주머니(12)를 분리하면 각종 필요한 아기 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부에 구성한 배낭형의 수납주머니 (11)외에 별도의 수납주머니(12)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아기 포대기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주머니(12)만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휴대,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필요에 따라 수납주머니(12)를 분리해낸 상태에서 아기 포대기를 착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아기 포대기가 간편해 질 수 있다.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상측부에는 머리받침부(9)를 암, 수 스냅단추 (10)(10a)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머리받침부(9)를 펼쳤을 경우에는 아기의 머리를 받쳐주어 목을 보호해주는 것이고, 목을 가눌수 있는 아기일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머리받침부(9)를 접어 아기의 머리에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게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부에 구성한 배낭형의 수납주머니(11)외에 별도의 수납주머니(12)를 암, 수 홀더(13)(13a)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아기 포대기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주머니(12)만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분리하여 휴대,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필요에 따라 수납주머니(12)를 분리해낸 상태에서 아기 포대기를 착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아기 포대기가 간편해 질 수 있다.
셋째, 수납주머니(12)의 메인 주머니(14)안에는 젖병꽂이(16)가 구성되어 있어 아기의 젖병을 꽂아 보관하게 되면 유동됨이 없이 휴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메인 주머니(14)의 양측부나 전면부 또는 배면부 등에 다수의 소품주머니(15) (15a)(15b)를 구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필요한 소품 등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각각 수납할 수 있다.
넷째,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상측부에 머리받침부(9)를 암, 수 스냅단추 (10)(10a)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머리받침부(9)를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측으로 어깨멜빵용 밴드(1)(1a)가 연결된 등받침용 배면커버(2)와,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와 전방 하측으로 연결되고 아기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부(3)와,
    상기 엉덩이 받침부(3)의 전방부에 연결 구성되는 시트면(4)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에 구성되는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11)와, 상기 배낭형의 수납 주머니(11)의 배면 외측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아기용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주머니(12)와, 상기 수납주머니(12)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암, 수 홀더(13)(13a)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2. 제1항에 있어서, 등받침용 배면커버(2)의 배면에 수납주머니(12)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스냅단추 또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3. 제1항에 있어서, 수납주머니(12)는 메인 주머니(14)가 구성되고 이의 외측으로 소품 등을 분리하여 각각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소품주머니(15)(15a)(15b)를 구성하며, 상기 수납주머니(12)의 메인 주머니(14)에는 젖병을 수납하는 젖병꽂이(16)를 구성하고, 상측부에는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7)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KR20-2004-0027349U 2004-09-23 2004-09-23 아기 포대기 KR200370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49U KR200370552Y1 (ko) 2004-09-23 2004-09-23 아기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49U KR200370552Y1 (ko) 2004-09-23 2004-09-23 아기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552Y1 true KR200370552Y1 (ko) 2004-12-14

Family

ID=4944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349U KR200370552Y1 (ko) 2004-09-23 2004-09-23 아기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94Y1 (ko) 2008-10-30 2011-01-25 오유정 아기띠 겸용 배낭
KR101612024B1 (ko) * 2015-01-30 2016-04-14 이서현 어린이 배낭용 미아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94Y1 (ko) 2008-10-30 2011-01-25 오유정 아기띠 겸용 배낭
KR101612024B1 (ko) * 2015-01-30 2016-04-14 이서현 어린이 배낭용 미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5666A (en) Waist bag
US7886368B2 (en) Garment backpack
US20110010818A1 (en) Garment backpack
US20150351571A1 (en) Portable container holder
US20060157525A1 (en) Bandolier-type pack
US20020139820A1 (en) Backpack luggage with dual access entry
JP2008114063A (ja) バックパック
US11278105B2 (en) Combination backpack and baby carrier
KR101558055B1 (ko) 아기 침대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가방
US20200121062A1 (en) Configurable bag having faceplates
KR200370552Y1 (ko) 아기 포대기
JP2001078857A (ja) ベビーホルダー
JP2004154468A (ja) ベビーホルダー
US20110215126A1 (en) Convertible adjustable strap and harness system
US20220175119A1 (en) Organized Backpack
US20020148872A1 (en) Urban utility belt
US20210274919A1 (en) Portable, interchangeable and multipurpose backpack providing enhanced storage and a carrier for holding a child
JP2018175384A (ja) バッグ
US20090205758A1 (en) Carrying bag
JP2015150292A (ja) マルチウェイバッグ
JP4530816B2 (ja) 背負い式かばん
KR101486809B1 (ko) 아기 보호대가 구비된 가방
JP2539090Y2 (ja) 乳幼児支持機能付き背負い袋
JP2002262969A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KR200378574Y1 (ko) 아기 포대기 겸용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