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16Y1 - 복합소재 건축재 - Google Patents

복합소재 건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16Y1
KR200370316Y1 KR20-2004-0027802U KR20040027802U KR200370316Y1 KR 200370316 Y1 KR200370316 Y1 KR 200370316Y1 KR 20040027802 U KR20040027802 U KR 20040027802U KR 200370316 Y1 KR200370316 Y1 KR 200370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resent
length
building materia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이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구 filed Critical 이은구
Priority to KR20-2004-0027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wood an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득이 용이한 목재를 활용하여 소요 길이 만큼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소재 건축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기둥이나 보로 활용하기 위한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짧게 하고, 복수개의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체결하여 원하는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볼트 및 너트가 목재로된 외장재와, 금속재로 된 심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되, 그 일측으로는 관통공을 갖는 심재가 노출되고, 타측으로는 다른 건축재의 심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외장체가 돌출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준비하여 원하는 길이의 기둥이나 보를 제작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길이나 두꼐가 단소한 저가의 목재를 활용하여 소요 길이의 기둥이나 보들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며, 운반이나 보관이 편리하게 되고, 여러 사양의 현장에서 고루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소재 건축재{Composition Element Construction Material}
본 고안은 복합소재 건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구득이 용이한 목재를 활용하여 소요 길이 만큼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소재 건축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목재는 그 길이와 굵기가 단소한 것은 구득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나 장대한 것일수록 가격이 높으며, 구득이 어렵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각종 구조물의 기둥이나 보로 사용하기 위한 복합 소재 건축재가 제안된 바 있으며,그 예를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323902호(고안의 명칭: 복합소재 건축재)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심체(102)와 외장재(101)로 구성되어 구조물의 기둥이나 보등을 이루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심체(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편(103)과, 외장재(101)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103)의 단부와 동일한 형태로 되는 요홈(104)으로 구성된 복합 소재 건축재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는 심체(102)인 금속재의 둘레를 외장재(101)가 감싸고있고, 외장재(101)의 요홈(104)은 체결편(103)의 단부와 동일한 형태로 된 것이어서, 금속재인 체결편(103)이 외부로 노출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천연 목재로 된 질감의 나무 기둥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경우에도 그 폭은 좁지만 그 길이는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긴 것이어야 하므로, 목재 구득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것이며, 아울러,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심체와 외장재는 운반하기 어렵고 시공에도 불편하며, 현장마다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심체와 외장재는 다른 규격의 것을 요구하는 현장에는 전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기둥이나 보로 활용하기 위한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짧게 하고, 복수개의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체결하여 원하는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복합소재 건축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복합소재 건축재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의 조립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4 a), b)는 각각 다른 위치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를 보인 조립상태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하여 조립되는 복합소재 건축재의 조립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6는 본 고안에 의하여 조립된 복합소재 건축재의 완성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공
2: 익편
3: 심재
3a: 심재연장부
4: 외장체
4a: 외장체연장부
5: 요홈부
6: 체결공
7: 볼트
8: 너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볼트 및 너트가 목재로된 외장재와, 금속재로 된 심체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되, 그 일측으로는 관통공을 갖는 심체가 노출되고, 타측으로는 다른 건축재의 심체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외장체가 돌출되도록 하여서 된 복합소재 건축재를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준비하여 원하는 길이의 기둥이나 보를 제작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길이나 두께가 단소한 저가의 목재를 활용하여 소요 길이의 기둥이나 보들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며,운반이나 보관이 편리하게 되고, 여러 사양의 현장에서 고루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3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되고,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통공(1)과 익편(2)을 구비한 심재(3)와, 익편(2)으로 분할된 공간에 배치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심재(3)와 체결하도록 한 외장체(4)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특히 일측에는 심재(3)의 일부를 연장하여 심재연장부(3a)가 소정 길이 이상 노출되도록 하며, 타측에는 다른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의 심재(3)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외장체연장부(4a) 및 그 내측의 요홈부(5)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기 심재연장부(3a) 및 외장체연장부(4a)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6)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의 길이가 짧으므로, 보관이나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 및 시공과정에서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시공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조립하여 기둥이나 보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도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시공 현장의 요구 규격에 따라 적정 개수의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준비하고, 이들의 심재연장부가(3a) 다른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의 요홈부(5)에 결합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요구 길이 상태로 한 후 볼트(7), 너트(8) 등의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여 줌으로써 요구 길이 상태의 기둥이나 보가 조립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노출된 심재연장부(3a)와 외장체연장부(4a)에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1)을 통하여 체결수단인 볼트(7), 너트(8)가 체결되므로,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는 휨응력을 받는 경우 및 수직으로의 압축응력을 받는 경우에도 변형됨을 방지하는 견고한 상태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 수단에 의한 체결 상태를 도4 a) 및 도4 b)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장체(4)와 심재(3)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볼트(7)와 너트(8)로 된 체결수단이 각도를 달리하여 체결되어 있으므로, 양방향에 대하여 견고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체결수단인 볼트(7)와 너트(8)의 사용 개수를 시공 현장의 조건에 부합하도록 증감하여야 하며, 편의상 도면에는 "+"단면으로된 심재(3)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익편(2)이 3개인"Y"단면으로 된 심재(3)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익편(2)이 5개인 단면으로 된 심재(3)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체결 수단의 볼트(7)의 두부를 육각형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요홈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수도 있고, 오각형 이나 육각형 요홈등 각종 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복합소재 건축재는 기둥으로 사용되는 경우 심재연장부(3a)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기초시설물을 사용하여, 그 위에 복합소재 건축재의 요홈부(5)를 끼워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여 주면, 견고하게 기둥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5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5로 보인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작한 기둥을 도6으로 도시하였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외장체(4)의 단면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사각 단면으로 된 기둥을 제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각종 건축물의 기둥이나 보를 시공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를 준비하고, 현장에서 이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주면 시공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에 부합되는 규격의 기둥이나 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복합소재 건축재의 길이가 짧아 보관이 용이한 것이며, 길이가 짧아 운반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고, 취급이 간편하여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외장체인 목재의 길이가 짧고 폭이 좁은 것을 외장체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쉽게 구득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기둥이나 보의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금속으로 되고,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통공(1)과 익편(2)을 구비한 심재(3)와, 익편(2)으로 분할된 공간에 배치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심재(3)와 체결하도록 한 외장체(4)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일측에는 심재(3)의 일부를 연장하여 심재연장부(3a)가 소정 길이 이상 노출되도록 하며, 타측에는 다른 단위 복합소재 건축재의 심재(3)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외장체연장부(4a) 및 그 내측의 요홈부(5)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기 심재연장부(3a) 및 외장체연장부(4a)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6)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건축재.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심재연장부(3a) 및 외장체연장부(4a)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6)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건축재.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체결수단은 볼트(7)와 너트(8)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건축재.
KR20-2004-0027802U 2004-09-30 2004-09-30 복합소재 건축재 KR200370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802U KR200370316Y1 (ko) 2004-09-30 2004-09-30 복합소재 건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802U KR200370316Y1 (ko) 2004-09-30 2004-09-30 복합소재 건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16Y1 true KR200370316Y1 (ko) 2004-12-10

Family

ID=4935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802U KR200370316Y1 (ko) 2004-09-30 2004-09-30 복합소재 건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3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48B1 (ko) 2008-08-12 2009-10-23 (주)이.피.엘 기둥 조립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48B1 (ko) 2008-08-12 2009-10-23 (주)이.피.엘 기둥 조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2331A (en) Method for build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4213126B2 (ja) 建造物の支柱構造
KR200370316Y1 (ko) 복합소재 건축재
FI127039B (fi) Järjestely suoran ympyrälieriön kaariosan muodostamiseksi
JP2012012881A (ja) 建物の耐震構造
KR100674565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KR20160140120A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0438242Y1 (ko) 건축용 복합부재
KR101670692B1 (ko)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JP2006289900A (ja) 圧縮木材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9733B2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200426059Y1 (ko) 건설용 구조재
JP7002439B2 (ja) 芯材挿通式木質構造体の製造方法
KR200417909Y1 (ko) 복합소재 건축재의 외장재 연장 시공 구조
KR101207272B1 (ko) 조립식 기둥
WO2005019559A2 (en) Double walled structural reinforcement
JPH0238990Y2 (ko)
WO2024058086A1 (ja) 鉄骨柱及びそれを用いた木材とのハイブリッド柱材
JPH0351473Y2 (ko)
CA1218242A (en) Ballastable concrete base for an offshore platform
JP6522055B2 (ja) 木軸材構成の耐力面材及びこれを用いた木造軸組構法の耐力面構造
JP3635528B2 (ja) 木造トラス用構造部材
WO2008143454A2 (en) Curvilinear assembly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KR0172640B1 (ko) 조립식 통나무 주택
FI104845B (fi) Pylväs tai hir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