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692B1 -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 Google Patents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692B1
KR101670692B1 KR1020150185042A KR20150185042A KR101670692B1 KR 101670692 B1 KR101670692 B1 KR 101670692B1 KR 1020150185042 A KR1020150185042 A KR 1020150185042A KR 20150185042 A KR20150185042 A KR 20150185042A KR 101670692 B1 KR101670692 B1 KR 101670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olumn
wood
korean
sp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원조경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15018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애 관한 것으로,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에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정자용 기둥의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수 설치된 주춧돌 각각에 설치되는 정자용 기둥, 정자용 기둥의 상부를 연결하는 도리, 정자용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 및 정자용 기둥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마루를 포함하는 정자에 있어서, 정자용 기둥은 상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기둥 포스트; 기둥 포스트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인너 포스트; 인너 포스트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기둥 포스트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 성형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 보강살; 기둥 포스트의 외주면에 상호 대향 절곡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어 양측 각각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되 대향단 사이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가이드편; 및 가이드편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가이드홈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목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Korean pavilion pillar reinforced for rigidity}
본 발명은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와 압축목의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함은 물론, 기둥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은 궁궐, 사찰, 사당, 민가 및 초가 등의 기능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건축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유의 한옥에 대한 가치와 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한옥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개인이 거주할 한옥을 직접 건축하는 추세이다.
한 때, 한옥은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되어 대부분 양옥으로 대체되었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 한옥의 개성과 자연친화적 기능에 힘입어 재조명되고 있다. 게다가, 아토피나 천식 등의 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극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옥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 세트장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어 한옥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한옥은 다양한 목조로 기둥을 세우고 기둥들 사이에 흙 또는 황토로 벽체를 형성시킨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친환경적인 소재로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단열효과가 높아 친환경적인 건축물에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각종 건축물이나 공동주택 단지 내 공원 및 휴양지 등에는 조경을 목적으로 각종 조경 시설물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조경 시설물로는 한식 정자나 파고라 등이 있으며, 한식 정자는 주춧돌을 매개로 하여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과 기둥에 의해 지지지는 지붕 및 지붕 아래에 설치되는 마루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한식 정자의 구성에서 주춧돌을 매개로 하여 세워지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둥은 대체적으로 목재를 이용한 것으로, 이러한 목재는 자연적 분위기를 연출할 수는 있지만 강도가 약하고 일부분의 손상시 간단한 보수가 어려운 경우 기둥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식 정자용 기둥을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외부에 목판을 결합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 나무의 느낌을 주면서 강도를 보강하는 기둥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의 둘레면에 목판이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목판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둥의 한식 정자용 기둥은 프레임과 목판 사이의 열팽창률 차이에 의해 목판이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거나 목판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여 목판이 갈라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한식 정자용 기둥으로 철재 기둥을 사용하는 경우 철재 기둥은 강도에 있어서는 큰 장점은 있지만 친자연적 분위기를 해치는 단점이 있으며, H빔과 목판 복합형 기둥은 기성품의 H빔만을 사용하므로 설계 변경이 어렵고 H빔이 외부로 노출되어 친자연적 분위기를 해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6994호(2013.090.09.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2007호(2011.10.10.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5374호(2006.01.10.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5041호(2006.01.10.자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에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정자용 기둥의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에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에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은 다수 설치된 주춧돌 각각에 설치되는 정자용 기둥, 정자용 기둥의 상부를 연결하는 도리, 정자용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 및 정자용 기둥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마루를 포함하는 정자에 있어서, 정자용 기둥은 상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기둥 포스트; 기둥 포스트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인너 포스트; 인너 포스트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기둥 포스트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 성형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 보강살; 기둥 포스트의 외주면에 상호 대향 절곡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어 양측 각각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되 대향단 사이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가이드편; 및 가이드편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가이드홈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목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기둥 포스트와 인너 포스트의 횡단면 형태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기둥 포스트, 인너 포스트, 변형방지 보강살 및 가이드편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일체로 성형됨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목판은 탄화목이나 압축탄화목의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 압축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목판은 대향 형성되는 가이드편 사이의 가이드홈 너비에 비해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목판의 양단과 가이드홈 끝단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지되 온도 변화에 따른 목판의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인너 포스트의 중공에 탄화목이나 압축탄화목의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 압축목의 중심목이 더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에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정자용 기둥의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에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한식 정자용 기둥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 포스트에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정자용 기둥의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이 적용된 한식 정자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를 보인 횡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한식 정자용 기둥를 보인 횡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이 적용된 한식 정자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를 보인 횡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한식 정자용 기둥를 보인 횡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100)이 적용되는 한식 정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수 설치된 주춧돌(A) 각각에 설치되는 정자용 기둥(100), 정자용 기둥(100)의 상부를 연결하는 도리(B), 정자용 기둥(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C) 및 정자용 기둥(10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마루(D)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한식 정자의 구성에서 한식 정자용 기둥(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기둥 포스트(110), 기둥 포스트(110)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인너 포스트(120), 인너 포스트(12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기둥 포스트(110)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 성형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 보강살(130), 기둥 포스트(110)의 외주면에 상호 대향 절곡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양측 각각에 가이드홈(142)을 형성하되 대향단 사이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가이드편(140) 및 가이드편(140)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가이드홈(142)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목판(1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정자용 기둥(100)을 구성하는 기둥 포스트(110), 인너 포스트(120), 보강살(130) 및 가이드편(140)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을 압출 성형한 것으로, 이러한 한식 정자용 기둥(100)을 구성하는 기둥 포스트(110), 인너 포스트(120), 보강살(130) 및 가이드편(140)은 일체로 성형되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기둥 포스트(110), 인너 포스트(120), 보강살(130) 및 가이드편(140)을 일체로 압출 성형한 다음에는 기둥 포스트(110)의 외주면 상에 대향 형성되는 가이드편(14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42) 상에 목판(150)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한식 정자용 기둥(100)을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한식 정자용 기둥(100)의 구성에서 목판(150)은 탄화목이나 압축탄화목으로 이루어진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를 압축하여 제조한 대나무 압축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온전한 목재가 아닌 폐기 처분 대상인 목재를 탄화시켜 강화목으로 제조하거나 대나무를 압축시켜 대나무 압축목으로 제조한 것을 목판(150)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친환경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정자용 기둥(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둥 포스트(110)는 정자용 기둥(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둥 포스트(11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둥 포스트(11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형태가 사각형의 형태나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기둥 포스트(110)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너 포스트(120)는 변형방지 보강살(130)과 함께 기둥 포스트(110)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인너 포스트(12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포스트(110)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인너 포스트(110)는 기둥 포스트(110)와 같은 형태로 기둥 포스트(110)의 중공 중심에 일체로 성형된다. 물론,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인너 포스트(120)는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기둥 포스트(110)와 같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각 형태의 기둥 포스트(110) 중공 중심에 원형 형태의 인너 포스트(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변형방지 보강살(130)은 인너 포스트(120)와 함께 기둥 포스트(110)를 보강하여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변형방지 보강살(13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포스트(12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기둥 포스트(110)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 성형되어 기둥 포스트(11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변형방지 보강살(130)은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인서 포스트(120)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기둥 포스트(110) 각각의 모서리로 연결된다. 이처럼 기둥 포스트(110)와 인너 포스트(120)는 변형방지 보강살(130)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기둥 포스트(110)는 인너 포스트(120)와 변형방지 보강살(130)에 의해 보강되어 변형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한편, 기둥 포스트(110)와 인너 포스트(120)의 형태가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변형방지 보강살(130)은 인너 포스트(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기둥 포스트(110)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 성형된다. 즉, 기둥 포스트(110)와 인너 포스트(120)는 그 형태가 사각형이냐 원형이냐는 차이만 있을 뿐 변형방지 보강살(130)의 구성을 동일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이드편(140)은 후술하는 목판(150)을 삽입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홈(142)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편(14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포스트(110)의 외주면에 상호 대향 절곡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어 양측 각각에 가이드홈(142)을 형성하되 대향단 사이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편(14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구조가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기둥 포스트(110)의 4개 측면 각각에 가이드편(140)이 상호 대향 절곡되어 기둥 포스트(110)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가이드편(14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포스트(110)의 측면 각각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 포스트(110)의 측면 각각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편(140)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이드편(140)의 절곡된 부분에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된다. 이때, 대향 구성되는 가이드편(140)의 대향단 사이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 포스트(110), 인너 포스트(120), 변형방지 보강살(130) 및 가이드편(140)은 일체로 압출 성형된다. 이때, 기둥 포스트(110), 인너 포스트(120), 변형방지 보강살(130) 및 가이드편(140)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목판(150)은 가이드편(14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42) 상에 삽입 결합되어 목재의 질감이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판(150)은 가이드편(140)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가이드홈(142)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목판(150)은 탄화목이나 압축탄화목으로 이루어진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를 압축하여 제조한 대나무 압축목을 사용하였다. 이때, 강화목재나 대나무 압축목은 폐목재나 폐대나무를 재활용하여 강화목이나 압축목으로 제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정자용 기둥(100)은 친환경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목판(150)은 대향 형성되는 가이드편(140) 사이의 가이드홈(142) 너비에 비해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목판(150)의 양단과 가이드홈(142) 끝단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온도 변화에 따라 목판(150)이 팽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한식 정자용 기둥(100)을 구성하는 목판(150)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목판(150)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가이드편(140) 사이의 가이드홈(142) 너비에 비해 작은 너비로 목판(150)을 제조하여 목판(150)의 양단과 가이드홈(142) 끝단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정자용 기둥(100)의 인너 포스트(120) 중공에 탄화목이나 압축탄화목으로 이루어진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 압축목으로 이루어진 중심목(160)이 더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목(160) 역시 열팽창을 고려하여 인너 포스트(120)와 너비와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한식 정자용 기둥(100)을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을 압출 성형하여 압축목 또는 강화목을 결합 설치한 조합으로 제조함으로써 정자용 기둥(100)의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한식 정자의 설계에 따라 정자용 기둥(100)을 다양하게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정자용 기둥
110. 기둥 포스트
120. 인너 포스트
130. 변형방지 보강살
140. 가이드편
142. 가이드홈
150. 목판
160. 중심목

Claims (6)

  1. 다수 설치된 주춧돌 각각에 설치되는 정자용 기둥, 상기 정자용 기둥의 상부를 연결하는 도리, 상기 정자용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 및 상기 정자용 기둥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마루를 포함하는 정자에 있어서,
    상기 정자용 기둥은 상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기둥 포스트;
    상기 기둥 포스트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성형되어지되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 인너 포스트;
    상기 인너 포스트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기둥 포스트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 성형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 보강살;
    상기 기둥 포스트의 외주면에 상호 대향 절곡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어 양측 각각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되 대향단 사이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가이드편; 및
    상기 가이드편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가이드홈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목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너 포스트의 중공에 탄화목이나 압축탄화목의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 압축목의 중심목이 더 삽입 설치되고,
    상기 목판은 탄화목이나 압축탄화목의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 압축목으로 이루어지고, 대향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편 사이의 가이드홈 너비에 비해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목판의 양단과 가이드홈 끝단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지되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목판의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강화목재 또는 대나무 압축목은 폐목재나 폐대나무를 재활용하여 강화목이나 압축목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포스트와 인너 포스트의 횡단면 형태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일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포스트, 인너 포스트, 변형방지 보강살 및 가이드편은 알루미늄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85042A 2015-12-23 2015-12-23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KR101670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42A KR101670692B1 (ko) 2015-12-23 2015-12-23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42A KR101670692B1 (ko) 2015-12-23 2015-12-23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692B1 true KR101670692B1 (ko) 2016-11-01

Family

ID=5748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042A KR101670692B1 (ko) 2015-12-23 2015-12-23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603A (zh) * 2017-06-01 2017-12-15 浙江德润市政园林有限公司 一种园林凉亭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74Y1 (ko) 2005-10-07 2006-01-10 이경군 정자 기둥
KR200405041Y1 (ko) 2005-10-13 2006-01-10 이경군 조립식 다각 정자 기둥
KR101072007B1 (ko) 2011-04-12 2011-10-10 조주영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KR20130098785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미로 기둥구조체
KR101306994B1 (ko) 2013-03-08 2013-09-09 백광운 정자 기둥
KR200469368Y1 (ko) * 2012-05-21 2013-10-10 신정선 인조목피가 접합된 파이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74Y1 (ko) 2005-10-07 2006-01-10 이경군 정자 기둥
KR200405041Y1 (ko) 2005-10-13 2006-01-10 이경군 조립식 다각 정자 기둥
KR101072007B1 (ko) 2011-04-12 2011-10-10 조주영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KR20130098785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미로 기둥구조체
KR200469368Y1 (ko) * 2012-05-21 2013-10-10 신정선 인조목피가 접합된 파이프
KR101306994B1 (ko) 2013-03-08 2013-09-09 백광운 정자 기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603A (zh) * 2017-06-01 2017-12-15 浙江德润市政园林有限公司 一种园林凉亭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83523B2 (en) Prefabricated formwork for constructing concrete paved roads
BR0012399A (pt)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a construção de lajes lisas de concreto reforçadas tradicionais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KR20160041897A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JP6835842B2 (ja) バー部材
US10829934B2 (en) Structural element
JP5575561B2 (ja) 建物の耐震構造
KR101670692B1 (ko) 강성이 보강된 한식 정자용 기둥
KR20200120005A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100979765B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합성목재의 가공방법
KR10150662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0674565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KR101072007B1 (ko)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KR20200134511A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20090124644A (ko) 조립식 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JP3211449U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結合体
KR101670694B1 (ko) 친환경 한식 정자
CN202759870U (zh) 一种塑木复合材料花箱
KR102227404B1 (ko) 건물 장식 벽체와 이러한 장식 벽체의 제조방법
JP2551786Y2 (ja) 柱、梁の永久型枠構造
KR100639158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CN113846777A (zh) 一种带装饰板的绿色节能集成模块
KR200367682Y1 (ko) 다기능 기둥
US20130295324A1 (en) Modular panel for transpiring, variable-geometry formwork
CN204645249U (zh) 居住建筑结构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