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788Y1 -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788Y1
KR200369788Y1 KR20-2004-0024533U KR20040024533U KR200369788Y1 KR 200369788 Y1 KR200369788 Y1 KR 200369788Y1 KR 20040024533 U KR20040024533 U KR 20040024533U KR 200369788 Y1 KR200369788 Y1 KR 200369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wheel frame
walk
cu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희
Original Assignee
조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희 filed Critical 조태희
Priority to KR20-2004-0024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1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 A63C17/0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with a pivotal frame or cradle around transversal axis for relative movements of the wheel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1)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와 결합하기 위한 부츠(3); 상기 부츠(3)의 바닥창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가로로 절개되어 절개된 상부는 힌지 결합(13)되고, 절개된 좌우측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개패장치(15)를 가지는 휠 프레임(10); 상기 휠 프레임(10)에 결합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행 시 인라인 스케이트의 뒷부분을 일반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과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안전하고 보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군다나, 휠 프레임 절개형에 안전한 이용을 위하여 절개부에 절개면 개패부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보행시 본 고안에 따라 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 도중에도 절개면이 너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절개면을 이어주는 안전연결부가 구비되어 인라인 스케이드의 이용에도 전혀 불편이 없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Wheel Frame Incision Style Inline Skate For Easy To Walk}
본 고안은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라인스케이트의 휠 프레임이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절개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행 시 인라인 스케이트의 뒷부분을 일반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과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안전하고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Extreme Sports의 대표적인 종목으로 현재 매년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동호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레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조 및 주목적은 바퀴의 회전에 의한 주행이지만,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한 장소까지 이동하기 전,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울퉁불퉁한 도로, 가파른 언덕길 등 주행이 어려운 장소에서 보행을 하거나, 인라인 스케이팅을 배우는 초보자의 입장이나 수련자라 할지라도 걷고 싶을 경우가 수시로 발생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의 경우 주행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므로, 보행시에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V 또는 A 형태로 휠의 사이드부분을 지면으로부터 각을 주어서 무리하게 보행하고, 사용자는 보행시 발바닥이 자연스럽게 구부려지지 않으므로 불편함을 고려하여 발목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헐렁하게 풀어놓은 채로 보행을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보행을 고려한 탈부착 또는 구조적인 장치를 결합한 인라인 스케이트가 고안되었으나, 모두 실사용이 번거롭거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율이 높고,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가격상승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프레임이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절개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행 시 인라인 스케이트의 뒷부분을 일반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과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안전하고 보행이 용이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의 절개된 휠 프레임과 휠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적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를 사용자가 착용 후 실제 보행하였을 때 절개된 휠 프레임 부분의 변화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인라인 스케이트 3 : 부츠(boots)
5 : 휠(wheel) 10 : 휠 프레임(wheel-frame)
11 : 절개부 13 : 힌지결합
15 : 절개부 개폐장치 17 : 안전연결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1)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와 결합하기 위한 부츠(3); 상기 부츠(3)의 바닥창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가로로 절개되어 절개된 상부는 힌지 결합(13)되고, 절개된 좌우측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개패장치(15)를 가지는 휠 프레임(10); 상기 휠 프레임(10)에 결합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5); 로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휠 프레임(10)은 상기 절개된 좌우측의 내부에 양 절개부(11)를 이어주는 탄성재질의 안전연결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 개패장치(15)는 원터치식 버클, 스냅식 단추,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도 2는 본 고안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의 절개된 휠 프레임과 휠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적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를 사용자가 착용 후 실제 보행하였을 때 절개된 휠 프레임 부분의 변화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1)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와 결합하기 위한 부츠(3), 상기 부츠(3)의 바닥창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가로로 절개되어 절개된 상부는 힌지 결합(13)되고, 절개된 좌우측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개패장치(15)를 가지는 휠 프레임(10), 상기 휠 프레임(10)에 결합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하체와 결합하기위한 부츠(3)의 구조는 어느 특정된 구조 및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츠에 해당한다.
상기 부츠(3)의 바닥창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가로로 절개되어 절개된 상부는 힌지 결합(13)되고, 절개된 좌우측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개패장치(15)를 가지는 휠 프레임(10),
상기 휠 프레임(10)은 부츠(3)의 바닥창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하는데, 본 고안의 핵심인 휠 프레임(10)의 절개는 휠 프레임(10)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였을 때 마치 일반 신발을 착용하여 걸을 때 지면을 기준으로 약 5~10°의 각으로 뒷꿈치를 들어올려 보행을 하는 것을 적용한 것이므로, 상기 휠 프레임(10)의 정 중앙 또는 휠이 홀수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일반 신발의 뒷부분이 들리는데 필요한 위치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일반적으로, 사람이 보행시에는 한쪽 다리와 발은 중심을 잡는 지지축을 이루고 나머지 다리와 발은 상기 지지축에 의지해 이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면, 보행시 한쪽 인라인 스케이트는 보행의 지지축으로 모든 휠이 지면에 닿아있는 상태이고, 나머지 한쪽 인라인 스케이트는 이동을 위한 목적으로 휠의 앞부분은 지면에 닿고 절개된 뒷부분은 지면과 약간의 각도를 두어 들렸다가 이동했던 다리가 지지축으로 전환이 되면서 절개된 휠의 뒷부분까지 모든 휠이 지면에 닿아 무게가 실려 지지축의 역할을 하고, 상기와 같이 반대쪽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의 앞부분은 지면에 닿고 절개된 뒷부분이 지면과의 각도를 두어 들리는 형태로 반복하여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고서도 보다 편안하고 용이하게 보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인라인 스케이트(1)의 사용자들은 보행시 발의 뒷부분이 전혀 자연스럽게 들리지 않으므로 인라인 스케이트(1)를 착용한 발 전체를 들어올려 조금씩 앞으로 전진하는 형태로 움직이므로 그 몸놀림이 무척 불편하고 보는사람도 둔탁해 보이는 느낌이었다. 이에 사용자들은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철저히 지켜야할 안전수칙인 부츠(3)의 발목을 딱 맞게 조여야 하는 부분을 보행시에는 좀 헐겁게 풀어 보행이 좀더 자유롭게 되도록 스스로 조절하지만, 이로 인한 안전사고는 수없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에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1)의 휠 프레임(10)과 휠의 상세한 적용 상태를 보면, 본 실시예는 휠이 4개가 도입된 경우인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가로로 절개되었고, 절개된 상부는 힌지 결합(13)되어 얼마든지 사용자가 착용한 후 그 하중에 의하여 절개된 좌우측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사용자가 보행지 자유롭게 인라인 스케이트(1)의 뒷부분을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일반 신발을 신고 보행을 하는 것과 같은 1차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절개부(11)가 주행시 벌어질 수도 있는 상황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절개된 좌우측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개패장치(15)를 두어 보다 안전하게 본 고안을 적용하였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라인 스케이트(1)를 착용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한 장소까지 이동하기 전,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울퉁불퉁한 도로, 가파른 언덕길 등 주행이 어려운 장소에서 보행을 하거나, 인라인스케이팅을 배우는 초보자의 입장이나 수련자라 할지라도 걷고 싶을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는 데,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면, 즉시 본 고안에 적용된 절개부 개패장치(15)를 열어 인라인 스케이트(1)로도 보다 편안한 주행을 하고, 주행이 가능한 장소가 되면 바로, 절개부 개패장치(15)를 닫아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1)와 아무런 차이 없이 즐겁게 인라인 스케이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휠 프레임(10)은 보행시 보다 안전한 보행을 위해서 상기 절개된좌우측의 내부에 양 절개부(11)를 이어주는 탄성재질의 안전연결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보행이 휠의 구름운동에 인해 너무 많이 벌어지거나 들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프레임이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절개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행 시 인라인 스케이트의 뒷부분을 일반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것과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안전하고 보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군다나, 휠 프레임 절개형에 안전한 이용을 위하여 절개부에 절개면 개패부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보행시 본 고안에 따라 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 도중에도 절개면이 너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절개면을 이어주는 안전연결부가 구비되어 인라인 스케이드의 이용에도 전혀 불편이 없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라인 스케이트(1)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체와 결합하기 위한 부츠(3);
    상기 부츠(3)의 바닥창과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어 가로로 절개되어 절개된 상부는 힌지 결합(13)되고, 절개된 좌우측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개패장치(15)를 가지는 휠 프레임(10);
    상기 휠 프레임(10)에 결합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레임(10)은
    상기 절개된 좌우측의 내부에 양 절개부(11)를 이어주는 탄성재질의 안전연결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 개패장치(15)는
    원터치식 버클, 스냅식 단추,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KR20-2004-0024533U 2004-08-27 2004-08-27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69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33U KR200369788Y1 (ko) 2004-08-27 2004-08-27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33U KR200369788Y1 (ko) 2004-08-27 2004-08-27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788Y1 true KR200369788Y1 (ko) 2004-12-16

Family

ID=4935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533U KR200369788Y1 (ko) 2004-08-27 2004-08-27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7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7472A (en) Shoe sole and outsole
CN100435893C (zh) 滑冰鞋
JP2013066709A (ja) ボウリングシューズ
US6517091B1 (en) Roller skate
ATE217498T1 (de) Rollschuh
KR200369788Y1 (ko) 보행이 용이한 휠 프레임 절개형 인라인 스케이트
US20080034617A1 (en) Shoe for Wearing on a Foot of Restricted Mobility During Physiotherapeutic Training
US6382640B1 (en) Latitudinal aligned mono-wheel skate device
KR200318073Y1 (ko) 롤러 스케이트
KR100991414B1 (ko) 앞저부가 높은 신발
KR200308217Y1 (ko) 인라인 스케이트
JP2562889Y2 (ja) ホッピングローラースケート
KR200148454Y1 (ko) 뒷굽의 구부림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20030821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2848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행용 보조구
KR200330270Y1 (ko) 브레이크장치 겸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37494Y1 (ko) 착탈식 롤러 보드
KR200200713Y1 (ko) 중앙바퀴 분리형 롤러브레이드, 롤러스케이트
US20240081479A1 (en) Anti-slip footwear with rotatable traction element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28491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회전바퀴 속도제어장치
KR10057282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2849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기구
KR101741064B1 (ko)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KR200299863Y1 (ko) 인라인스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