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722Y1 -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 Google Patents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722Y1
KR200369722Y1 KR20-2004-0027094U KR20040027094U KR200369722Y1 KR 200369722 Y1 KR200369722 Y1 KR 200369722Y1 KR 20040027094 U KR20040027094 U KR 20040027094U KR 200369722 Y1 KR200369722 Y1 KR 200369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frame
mold
cable
main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
이종승
Original Assignee
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 filed Critical 김성
Priority to KR20-2004-0027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에 관한 것으로, 제 1 교각과,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제 2 교각과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주형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주형부의 각기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취부된 거더 받침보와; 거더 받침보의 하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정착 프레임과;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정착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사장 케이블과;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정착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다양한 하중을 받거나 또는 하중 변화에 심한 가설 교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장지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Long-distance-pier temporary bridge using stayed cable}
본 고안은 가설 교량에 있어서 장지간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각의 상부에 주탑 프레임을 설치하고 주형보의 하부면에 정착 프레임을 취부하여 각기 대응된 주탑 프레임과 정착 프레임을 사장 케이블로 연결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가설 교량은 아이-빔(I-Beam)과 복공판을 사용하여 지간거리가 짧고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공사비의 과다 지출, 공사기간의 장기화는 물론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폭우로 인한 장마시 지간이 좁은 가설 교량에 부유 물질이 걸리어 강이 범람한 유려가 있으며 유속이 빠른 횡하중에 의하여 교량이 전도될 우려가 있으므로 지간이 넓은 가설 교량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경제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설 교량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며, 종래의 가설 교량 공법이 가지는 시공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 및 시공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 및 시공 방법은 주로 강봉이나 강선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 시공법으로 대략 30 내지 35미터 정도의 장지간 가설 교량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및 시공 방법은 하중의 변화가 없는 가설 교량에는 적합하지만 다양한 하중을 받거나 또는 하중 변화가 심한 가설 교량에는 부적합하며, 주형보(I-Beam)에 가해지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의 한계로 인하여 장대화할 수 있는 지간의 길이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방안으로 제안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8091호 (고안의 명칭: 사장 외부 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등록일자: 2002년 05월 30일)는 사장 외부 케이블을 활용하여 손상된 교량을 보수 보강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전술된 실용신안등록 제20-0278091호에 개시된 기술은 본 교량에서만 접목이 가능한 기술로서, 전술된 장지간 가설 교량에는 활용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다양한 하중을 받거나 또는 하중 변화에 심한 가설 교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장지간화할 수 있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상기 주형부의 각기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취부된 거더 받침보와; 상기 거더 받침보의 하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정착 프레임은 상기 주형보의 중심 하단부와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정착 프레임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사장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사장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상기 주형부의각기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취부된 복수 개의 거더 받침보와; 각기 대응된 상기 거더 받침보의 하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양측부에 각기 돌출되도록 취부된 거더 받침보와; 상기 거더 받침보의 상부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 및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단부 보다 하측에 위치된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정착 프레임은 상기 주형보의 중심부와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정착 프레임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사장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사장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양측부에 각기 돌출되도록 취부된 복수 개의 거더 받침보와; 상기 각각의 거더 받침보의 상부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 및 상기 제 2 주탑프레임의 상단부 보다 하측에 위치된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상기 주형부의 각기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취부된 거더 받침보와; 상기 거더 받침보의 상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제 1 정착 프레임과; 상기 거더 받침보의 하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제 2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정착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정착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사장 케이블과;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정착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3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제 1 사장 케이블이 상기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착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정착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정착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 : 제 1 교각
114 : 제 2 교각
120 : 주형보
130 : 복공판
142 : 제 1 연결 프레임
144 : 제 2 연결 프레임
152 : 제 1 주탑 프레임
154 : 제 2 주탑 프레임
160 : 거더 받침대
170 : 정착 프레임
182 : 제 1 사장 케이블
184 : 제 2 사장 케이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착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은 교각(112)(114)의 상부면에 주탑 프레임(152)(154)이 취부되어 있고, 주형보(120)의 하부면에 정착 프레임(170)을 설치하여 각기 대응된 주탑 프레임(152)(154)과 정착 프레임(170)을 사장 케이블(182)(184)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교각(112)(114)은 복수 개의 에이치-빔(H-Beam)이 설치된 강재로서, 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112)(114)의 상부면에 주형보(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형보(120)의 상부면에는 철재의 복공판(130)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152)(154)을 각기 대응된제 1 및 제 2 교각(112)(114)에 취부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142)(144)이 제공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142)(144)은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112)(114)의 상부면과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152)(15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142)(144)은 주형보(120)의 폭보다 더 넓게 돌출되도록 취부되어 있으며, 각기 돌출된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142)(144)의 양단 상부면에 전술된 바와 같이,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152)(154)의 하부면이 취부되어 있다.
거더 받침대(160)은 주형보(120)의 중심 하부면에 취부된 강재로서, 그의 하부면에 정착 프레임(170)이 취부되어 있다.
제 1 사장 케이블(182)은 제 1 주탑 프레임(152)의 일단부와 정착 프레임(17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사장 케이블(184)은 제 2 주탑 프레임(154)의 일단부와 정착 프레임(17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사장 케이블(182)(184)은 정착 프레임(170)을 기준으로 대칭적 구조를 갖기 때문에 케이블에 프리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솟아오르는 모멘트를 유발시켜 주형보(120)의 응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탑 프레임(152)(154)의 상단부는 전술된 주형보(120)의 상부면 보다는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탑 프레임(152)(154)에 각기 대응되어 연결된 제 1 및 제 2 사장 케이블(182)(184)의 연결 지점은 주형보(120)의 상부면 보다는 더 높게 위치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정착 프레임(170)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사장 케이블(182)(184)이 제 3 사장 케이블(186)에 의해 연결된 구조 이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 부호에 대해서는 새로이 번호매김을 하지 않았다.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182)(186)(184)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장 케이블(182)(186)(184)은 제 1 주탑 프레임(15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정착 프레임(170)을 관통하여 제 2 주탑 프레임(15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주형보(120)의 하부면에 각기 이격된 복수 개 예컨대 2개의 연결 프레임(162)(164)이 취부되어 있으며, 이 연결 프레임(162)(164)의 하부면에 각기 대응된 정착 프레임(172)(174)이 취부된 것 이외에는 전술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 부호에 대해서는 새로이 번호매김을 하지 않았다.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182a)(186a)(184a)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장 케이블(182a)(186a)(184a)은 제 1 주탑 프레임(15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정착 프레임(172)(17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 2주탑 프레임(15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이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162)(164)과 이에 대응된 정착 프레임(172)(174)은 각기 2개 씩 취부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프레임(162)(164)과 이에 대응된 정착 프레임(172)(174)의 취부 위치는 교각(112)(114) 사이에 위치하는 주형보(120)의 1/3 및 2/3 길이에 해당되는 하부면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착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은 교각(212)(214)의 상부면에 주탑 프레임(252)(254)이 취부되어 있고, 주형보(220)의 측면에 정착 프레임(270)을 설치하여 각기 대응된 주탑 프레임(252)(254)과 정착 프레임(270)을 사장 케이블(282)(284)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교각(212)(214)은 복수 개의 에이치-빔(H-Beam)이 설치된 강재로서, 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212)(214)의 상부면에 주형보(2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형보(220)의 상부면에는 철재의 복공판(230)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252)(254)을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212)(214)에 취부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242)(244)이 제공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242)(244)은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212)(214)의 상부면과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252)(25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242)(244)은 주형보(220)의 폭보다 더 넓게 돌출되도록 취부되어 있으며, 각기 돌출된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242)(244)의 양단 상부면에 전술된 바와 같이,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252)(254)의 하부면이 취부되어 있다.
거더 받침대(260)은 주형보(220)의 중심 측면에 취부된 강재로서, 그의 상부면에 정착 프레임(270)이 취부되어 있다.
제 1 사장 케이블(282)은 제 1 주탑 프레임(252)의 일단부와 정착 프레임(27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사장 케이블(284)은 제 2 주탑 프레임(254)의 일단부와 정착 프레임(27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사장 케이블(282)(284)은 정착 프레임(270)을 기준으로 대칭적 구조를 갖기 때문에 케이블에 프리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주형보(220)의 응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탑 프레임(252)(254)의 상단부는 전술된 주형보(220)의 상부면 보다는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탑 프레임(252)(254)에 각기 대응되어 연결된 제 1 및 제 2 사장 케이블(282)(284)의 연결 지점은 주형보(220)의 상부면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위치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정착 프레임(270)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사장 케이블(282)(284)이 제 3 사장 케이블(286)에 의해 연결된 구조 이외에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 부호에 대해서는 새로이 번호매김을 하지 않았다.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282)(286)(284)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장 케이블(282)(286)(284)은 제 1 주탑 프레임(25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정착 프레임(270)을 관통하여 제 2 주탑 프레임(25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주형보(220)의 측면에 각기 이격된 복수 개 예컨대 2개의 연결 프레임(262)(264)이 취부되어 있으며, 이 연결 프레임(262)(264)의 상부면에 각기 대응된 정착 프레임(272)(274)이 취부된 것 이외에는 전술된 제 5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 부호에 대해서는 새로이 번호매김을 하지 않았다.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282a)(286a)(284a)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장 케이블(282a)(286a)(284a)은 제 1 주탑 프레임(25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정착 프레임(272)(27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 2 주탑 프레임(254)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조이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262)(264)과 이에 대응된 정착 프레임(272)(274)은 각기 2개 씩 취부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프레임(262)(264)과 이에 대응된 정착 프레임(272)(274)의 취부 위치는 교각(212)(214) 사이에 위치하는 주형보(220)의 1/3 및 2/3 길이에 해당되는 하부면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착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은 교각(312)(314)의 상부면에 주탑 프레임(352)(354)이 취부되어 있고, 주형보(320)에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370)(374)을 설치하여 각기 대응된 주탑 프레임(352)(354)과 정착 프레임(372)(374)을 사장 케이블(382a)(386a)(384a)(382b) (384b)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교각(312)(314)은 복수 개의 에이치-빔(H-Beam)이 설치된 강재로서, 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312)(314)의 상부면에 주형보(3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형보(320)의 상부면에는 철재의 복공판(330)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352)(354)을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312)(314)에 취부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342)(344)이 제공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342)(344)은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교각(312)(314)의 상부면과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352)(35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342)(344)은 주형보(320)의 폭보다 더 넓게 돌출되도록 취부되어 있으며, 각기 돌출된 제 1 및 제 2 연결 프레임(342)(344)의 양단 상부면에 전술된 바와 같이, 각기 대응된 제 1 및 제 2 주탑 프레임(352)(354)의 하부면이 취부되어 있다.
거더 받침대(360)은 주형보(320)의 중심 하부면에 취부된 강재로서, 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기 정착 프레임(372)(374)이 취부되어 있다.
제 1 사장 케이블(382a)(386a)(384a)은 제 1 주탑 프레임(352)의 일단부와 제 1 정착 프레임(372)를 관통하여 제 2 주탑 프레임(35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사장 케이블(382b)은 제 1 주탑 프레임(352)의 일단부와 제 2 정착 프레임(37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3 사장 케이블(384b)은 제 2 주탑 프레임(354)의 일단부와 제 2 정착 프레임(37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382a)(386a)(384a)(382b)(384b)은 각기 대응된 정착 프레임(372)(374)를 기준으로 대칭적 구조를 갖기 때문에 케이블에 프리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주형보(320)의 응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사장 케이블(382a)(386a) (384a)은 각기 대응된 주탑 프레임(352)(354)에 연결됨에 있어서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382b)(384b)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주탑 프레임(352)(354)의 상단부는 전술된 주형보(320)의 상부면 보다는 더 높게 위치되어야 하며, 주탑 프레임(352)(354)에 각기 대응되어 연결된 제 1,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의 연결 지점(382a)(386a) (384a)(382b)(384b)은 주형보(320)의 상부면 보다는 더 높게 위치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실시예들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다양한 하중을 받거나 또는 하중 변화에 심한 가설 교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장지간화할 수 있는 이점(利點)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은 가설 교량의 시공 및 해체에 있어서 주탑 프레임, 정착 프레임, 거더 받침대, 사장 케이블과 같은 자재를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시공 단가의 절감 및 시공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상기 주형부의 각기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취부된 거더 받침보와;
    상기 거더 받침보의 하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프레임은 상기 주형보의 중심 하단부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프레임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사장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사장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4.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상기 주형부의 각기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취부된 복수 개의 거더 받침보와;
    각기 대응된 상기 거더 받침보의 하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5.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양측부에 각기 돌출되도록 취부된 거더 받침보와;
    상기 거더 받침보의 상부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 및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단부 보다 하측에 위치된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정착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프레임은 상기 주형보의 중심부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프레임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사장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제 3 사장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8.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양측부에 각기 돌출되도록 취부된 복수 개의 거더 받침보와;
    상기 각각의 거더 받침보의 상부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 및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단부 보다 하측에 위치된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정착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9. 제 1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과 이격된 제 2 교각과, 상기 제 1 교각 및 제 2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형보와,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복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설 교량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1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 2 교각과 상기 주형보 사이에 개재에 있으며, 상기 제 2 교각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돌출된 제 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1 주탑 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주형보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주탑 프레임과;
    상기 주형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상기 주형부의 각기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취부된 거더 받침보와;
    상기 거더 받침보의 상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제 1 정착 프레임과;
    상기 거더 받침보의 하측 양단부에 각기 대응되어 취부된 제 2 정착 프레임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정착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1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1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정착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사장 케이블과;
    상기 제 2 주탑 프레임의 상측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정착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3 사장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장 케이블이 상기 제 2 및 제 3 사장 케이블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KR20-2004-0027094U 2004-09-21 2004-09-21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KR200369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094U KR200369722Y1 (ko) 2004-09-21 2004-09-21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094U KR200369722Y1 (ko) 2004-09-21 2004-09-21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515A Division KR100660104B1 (ko) 2004-09-21 2004-09-21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722Y1 true KR200369722Y1 (ko) 2004-12-08

Family

ID=4944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094U KR200369722Y1 (ko) 2004-09-21 2004-09-21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7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83B1 (ko) * 2019-04-12 2019-11-04 박경룡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083B1 (ko) * 2019-04-12 2019-11-04 박경룡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8546B (zh) 简支变连续施工方法
CN209307840U (zh) 一种桥墩
CN109505222A (zh) 一种装配式网状吊杆系杆拱桥
CN105133484B (zh) 一种部分地锚高低塔斜拉桥结构
KR20050055171A (ko)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라멘 교량의 슬래브의 중앙부에설치하고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하여 설치된합성형 라멘 교량 및 이의시공방법
US4866803A (en) Bridge structure with inclined towers
KR100883809B1 (ko) 강-콘크리트 인티그럴 복합라멘교의 전단연결재 설치구조
KR1007856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KR100842062B1 (ko) 프리플랙션 스틸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660104B1 (ko)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KR200369722Y1 (ko) 사장 케이블을 이용한 장지간 가설 교량
KR200384998Y1 (ko) 매입형 합성 에이치 형강 거더교
KR100512663B1 (ko) 사장교 타입 장지간 가설 교량
KR100572860B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US4319374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stayed girder bridge
KR200381696Y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CN205893903U (zh) 一种仿生桥墩
CN109930474A (zh) 一种用于桩基式栈桥与桶式基础的衔接结构
CN111455807B (zh) 一种梁端预应力结构及其施工方法
CN212803275U (zh) 一种分段式预拼主拱架对拉提升装置
CN212742151U (zh) 一种梁端预应力钢束结构
KR102471342B1 (ko)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KR102546655B1 (ko) 프리캐스트 타입 모듈러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