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715Y1 -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715Y1
KR200369715Y1 KR20-2004-0026879U KR20040026879U KR200369715Y1 KR 200369715 Y1 KR200369715 Y1 KR 200369715Y1 KR 20040026879 U KR20040026879 U KR 20040026879U KR 200369715 Y1 KR200369715 Y1 KR 200369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knob
control board
dead bolt
housing
detachab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4-0026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는, 내측본체와, 데드볼트를 구비하며, 내측본체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어보드와, 제어보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샤프트장치로 구성되며, 제어보드는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샤프트장치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장치의 선단에 고정되는 로터리노브와; 로터리노브를 덮어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캡과; 착탈캡에 누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준비위치로부터 눌림위치로 운동하는 푸시버튼과; 푸시버튼이 준비위치로부터 눌림위치로 운동함에 따라 제어보드의 텍트 스위치를 눌러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 중에,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하기 간편하게 한다. 또한,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를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MANUAL CONTROLLER FOR DEAD BOLT IN A 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측에서 도어록의 데드볼트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식 도어록은, 도어의 외부에 마련된 키입력버튼을 눌러서 조작하거나 또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여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지털식 도어록은 조작하기 간편하고 해정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최근 들어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디지털식 도어록(이하, “도어록”이라 약칭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어록은 도어(D)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10)와,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20), 그리고 도어(D)에 내장되며,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갖는 모티스(30)를 구비한다.
외측본체(10)는 다수의 버튼(12)과, 안전키(도시하지 않음)를 접촉시킬 수 있는 접촉부(1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내측본체(20)는 제어보드(22)와, 제어보드(2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4)와, 구동모터(24)의 동력을 전달받아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를 구동시키는 샤프트장치(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샤프트장치(26)는 한 쌍의 베벨기어(28a, 28b)에 의해 구동모터(24)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록에 의하면, 먼저, 도어(D)의 외측에서 버튼(12)을 조작하거나 또는 안전키를 외측본체(10)의 접촉부(14)에 접촉시켜 신호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내측본체(20)의 제어보드(22)는 입력된 신호가 인증된 신호인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인증된 신호이면, 제어보드(22)는 구동모터(24)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구동모터(24)가 작동됨에 따라 구동모터(24)의 구동력은 한 쌍의 베벨기어(28a, 28b)를 거쳐 샤프트장치(26)에 전달되고, 동력이 전달된 샤프트장치(26)는 회전운동하면서 데드볼트(32)를 도어(D)의 내측으로 운동시킨다. 결국, 록킹된 도어(D)를 해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어록은, 도어(D)의 내측에서 수동으로 데드볼트(32)를 조작할 수 있는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40)를 구비한다.
수동 조작 장치(40)는 샤프트장치(26)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42)와, 구동모터(24)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본체(20)에 설치되는 푸시버튼(44)으로 구성된다. 특히, 푸시버튼(44)은 제어보드(22)에 설치된 텍트 스위치(tact switch; 22a)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제어보드(22)로 하여금 구동모터(24)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보드(22)는 텍트 스위치(22a)가 눌려짐에 따라 구동모터(24)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수동 조작 장치(40)에 의하면, 도어(D)의 내측에서 로터리노브(42)를 수동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샤프트장치(26)가 회전운동하면서 데드볼트(32)를 작동시키며, 데드볼트(32)가 작동됨에 따라 도어(D)를 수동으로 록킹시키거나 해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내측몸체(20)의 푸시버튼(44)을 누른다. 그러면, 푸시버튼(44)은 제어보드(22)의 텍트 스위치(22a)를 누르게 되고, 텍트 스위치(22a)가 눌려짐에 따라 제어보드(22)는 구동모터(24)를 작동시키며, 구동모터(24)가 작동됨에 따라 샤프트장치(26)가 회전운동하면서 데드볼트(32)를 작동시킨다. 결국, 데드볼트(32)가 작동됨에 따라 도어(D)가 수동으로 록킹되거나 해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도어(D)를 수동으로 록킹시키거나 해정시키기 위한 수동 조작 장치(40)의 로터리노브(42)와 푸시버튼(44)이 각각 별도로 구성되는 바, 이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혼동의 우려가 있다. 특히, 도어록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 사용자의 경우에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로터리노브(42)와 푸시버튼(44)을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이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이에 따라 도어록을 오조작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로터리노브와 푸시버튼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착탈캡을 도어록으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착탈캡을 도어록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측본체 20: 내측본체
22: 제어보드 22a: 텍트 스위치
24: 구동모터 26: 샤프트장치
30: 모티스 32: 데드볼트
100: 로터리노브 110: 착탈캡
112: 결합편 114: 설치홈
116: 스프링 120: 푸시버튼
122: 결합후크 124: 푸시아암
126: 눌림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는, 내측본체와, 데드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본체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샤프트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장치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장치의 선단에 고정되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로터리노브를 덮어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캡과; 상기 착탈캡에 누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준비위치로부터 눌림위치로 운동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이 준비위치로부터 눌림위치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어보드의 텍트 스위치를 눌러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착탈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착탈캡과 상기 로터리노브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리노브의 내측으로 뻗어있는 푸시아암과; 상기 푸시아암에 눌려지도록 상기 로터리노브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푸시아암에 눌려짐에 따라 상기 텍트 스위치를 눌러서 가압하는 눌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수동 조작 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D)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10)와,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20), 그리고 도어(D)에 내장되며,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갖는 모티스(30)를 구비한다.
특히, 내측본체(20)는 하우징(20a)과, 하우징(20a)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보드(22)와, 제어보드(2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4)와, 구동모터(24)의 동력을 전달받아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를 구동시키는 샤프트장치(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보드(22)에는 구동모터(24)를 작동시키기 위한 텍트 스위치(22a)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데드볼트(32)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동 조작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수동 조작 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장치(26)의 선단에 고정되는 로터리노브(100)를 구비한다.
로터리노브(100)는 내측본체(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샤프트장치(26)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샤프트장치(26)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샤프트장치(26)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수동 조작 장치는, 로터리노브(100)를 덮을 수 있도록 내측본체(20)의 하우징(2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캡(110)을 구비한다.
착탈캡(110)은 복수의 결합편(112)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편(112)이 하우징(20a)의 결합구멍(20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20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결합편(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으로 절곡되게형성되는 것으로, 원주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단부(112a)를 갖는다. 연장단부(112a)는 하우징(20a)의 결합구멍(20b)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착탈캡(110)을 일측으로 비틀어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구멍(20b)의 내벽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착탈캡(110)을 하우징(20a)에 결합시킨다. 한편, 착탈캡(110)을 반대방향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면, 연장단부(112a)는 결합구멍(20b)의 내벽으로부터 해제되어 착탈캡(110)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착탈캡(110)에 의하면, 내측본체(20)의 하우징(20a)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로터리노브(100)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필요에 따라 로터리노브(100)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로터리노브(100)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로터리노브(1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착탈캡(110)의 외면에는 설치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홈(114)에는 푸시버튼(120)이 설치된다. 푸시버튼(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눌러 가압함에 따라 외측의 준비위치("A")로부터 내측의 눌림위치("B")로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푸시버튼(120)은 설치홈(114)에 설치되는 스프링(116)에 의해 항상 준비위치("A")를 향해 탄성 가압된다. 그리고 푸시버튼(120)의 둘레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후크(122)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결합후크(122)는 설치홈(114)에 형성된 결합구멍(114a)에 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그 단부에는 후크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122a)는 결합구멍(114a)의 내벽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푸시버튼(120)이 착탈캡(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푸시버튼(120)은 착탈캡(110)과 로터리노브(100)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리노브(100)의 내측으로 뻗어 있는 푸시아암(124)을 갖추고 있으며, 로터리노브(100)의 내측에는 푸시아암(124)에 눌려지는 눌림부재(126)가 설치된다.
푸시아암(124)은, 착탈캡(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8) 및 로터리노브(100)에 형성된 관통구멍(102)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푸시버튼(120)이 준비위치("A")로부터 눌림위치("B")로 운동함에 따라 동시에 운동하면서 일측의 눌림부재(126)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눌림부재(126)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환형의 합성수지 판체로서, 하우징(20a)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뻗어 있는 작동아암(126a)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눌림부재(126)는 푸시아암(124)에 눌려짐에 따라 하우징(20a)의 내측으로 운동하면서 제어보드(22)의 텍트 스위치(22a)를 눌러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텍트 스위치(22a)가 눌러져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제어보드(22)는 구동모터(24)를 정,역방향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구동모터(24)가 정,역방향으로 작동됨에 따라 샤프트장치(26)가 작동되고, 따라서 샤프트장치(26)와 연결된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를 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푸시버튼(120)에 따르면, 착탈캡(110)에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보드(22)의 텍트 스위치(22a)를 누를 수 있게구성됨으로써, 착탈캡(110)이 로터리노브(100)를 덮은 상태에서도 데드볼트(32)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착탈캡(110)이 로터리노브(100)를 덮은 상태에서도 데드볼트(32)를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제한된 로터리노브(100)를 대신하여 데드볼트(32)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푸시버튼(120)은 착탈캡(1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바, 착탈캡(110)을 하우징(20a)으로부터 분리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캡(110)과 함께 하우징(20a)으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로터리노브(100)의 사용을 허용한다.
한편, 본 고안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푸시버튼(120)의 가압력이 눌림부재(126)를 통해 텍트 스위치(22a)로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푸시버튼(120)의 가압력이 텍트 스위치(22a)에 직접 전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푸시버튼(120)의 가압력이 텍트 스위치(22a)로 직접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푸시버튼(120)의 푸시아암(124)이 하우징(20a)을 관통하여 텍트 스위치(22a)를 직접 가압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할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푸시버튼(120)을 이용하여 데드볼트(32)를 수동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캡(110)을 하우징(20a)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착탈캡(110)에 설치된 푸시버튼(120)을 누른다. 그러면, 푸시버튼(120)이 준비위치("A")로부터 눌림위치("B")로 운동하고, 푸시버튼(120)이 준비위치("A")로부터눌림위치("B")로 운동함에 따라 이에 형성된 푸시아암(124)도 준비위치("A")로부터 누름위치("B")로 운동하면서 내측의 눌림부재(126)를 가압한다.
한편, 눌림부재(126)가 눌러짐에 따라 눌림부재(126)에 형성된 푸시아암(124)도 하우징(20a)의 내측으로 운동하면서 제어보드(22)의 텍트 스위치(22a)를 누르게 되며, 텍트 스위치(22a)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제어보드(22)는 구동모터(24)를 정,역방향으로 제어한다. 결국, 구동모터(24)가 정,역방향으로 작동됨에 따라 샤프트장치(26)가 작동되고, 샤프트장치(26)가 작동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가 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로터리노브(100)를 이용하여 데드볼트(32)를 수동 조작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캡(110)을 하우징(20a)으로부터 탈거하여 로터리노브(100)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로터리노브(100)의 완료되면, 노출된 로터리노브(100)를 손으로써 정,역회전시킨다. 그러면, 이에 연결된 샤프트장치(26)도 정,역회전하게 된다. 결국, 샤프트장치(26)가 정,역 회전운동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도 운동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동 조작 장치에 의하면,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 중에,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하기 간편하게 한다. 또한, 푸시버튼과 로터리노브를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내측본체와, 데드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본체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샤프트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텍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장치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장치의 선단에 고정되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로터리노브를 덮어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캡과;
    상기 착탈캡에 누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준비위치로부터 눌림위치로 운동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이 준비위치로부터 눌림위치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어보드의 텍트 스위치를 눌러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착탈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착탈캡과 상기 로터리노브를 관통하여상기 로터리노브의 내측으로 뻗어있는 푸시아암과;
    상기 푸시아암에 눌려지도록 상기 로터리노브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푸시아암에 눌려짐에 따라 상기 텍트 스위치를 눌러서 가압하는 눌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환형의 합성수지 판체이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텍트 스위치를 향해 뻗어 있는 작동아암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착탈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착탈캡과 상기 로터리노브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텍트 스위치를 향해 뻗어 있는 푸시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KR20-2004-0026879U 2004-09-18 2004-09-18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KR200369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879U KR200369715Y1 (ko) 2004-09-18 2004-09-18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879U KR200369715Y1 (ko) 2004-09-18 2004-09-18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715Y1 true KR200369715Y1 (ko) 2004-12-13

Family

ID=4935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879U KR200369715Y1 (ko) 2004-09-18 2004-09-18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7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98B1 (ko) 2007-02-15 2008-08-26 (주)대양디앤티 도어락 장치
KR20150114671A (ko) * 2014-04-02 2015-10-13 주식회사 공진 전동 및 수동 겸용 모티스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98B1 (ko) 2007-02-15 2008-08-26 (주)대양디앤티 도어락 장치
KR20150114671A (ko) * 2014-04-02 2015-10-13 주식회사 공진 전동 및 수동 겸용 모티스락
KR101584971B1 (ko) 2014-04-02 2016-01-22 주식회사 공진 전동 및 수동 겸용 모티스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002B1 (ko)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US6807834B2 (en) Electric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elective engagement between a deadbolt operating spindle and a door handle
CA2888694A1 (en) Method for correctly mounting an electronic door lock on a left-handed or right-handed door
KR200369715Y1 (ko)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KR200438623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TWM599237U (zh) 防誤觸動之電動工具扳機開關裝置
CN212669231U (zh) 一种净水机
CN107918440B (zh) 结合有锁定构件的操纵装置
CN112177437B (zh) 旋转式锁具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1243364B1 (ko)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KR200438979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200370945Y1 (ko) 도어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
CN107869276B (zh) 一种防猫眼开锁的可换向执手
TWI626360B (zh) Electronic lock clutch mechanism
CN110578426B (zh) 安全门锁
CN210976907U (zh) 门锁
KR100604213B1 (ko)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KR200376168Y1 (ko)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용 레버장치
CN210289410U (zh) 一种把手式指纹智能锁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20036971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분리식 제어모듈 장치
CN109083521B (zh) 车辆用锁具
CN212947623U (zh) 一种具有防异常启动功能的电动工具
JP3124236U (ja) 電動ドライバー本体にネジ自動補給機構を高速取り付けおよび取り外し可能に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