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213B1 -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213B1
KR100604213B1 KR1020040088910A KR20040088910A KR100604213B1 KR 100604213 B1 KR100604213 B1 KR 100604213B1 KR 1020040088910 A KR1020040088910 A KR 1020040088910A KR 20040088910 A KR20040088910 A KR 20040088910A KR 100604213 B1 KR100604213 B1 KR 10060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sliding cover
drive motor
door lock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712A (ko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4008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2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차단위치로 하강한 슬라이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내측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경보해주는 경보수단과; 슬라이딩 커버가 차단위치로 하강시, 구동모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강제잠금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 커버를 무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가 로터리노브 또는 푸시노브를 강제로 조작하여 도어를 무단으로 해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부의 무단 침입자가 슬라이딩 커버를 파손하였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침입자가 침투하려는 것을 사전에 경고해준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어록 전체를 작동 정지시킴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 도어록을 강제 조작하려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Description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SLIDING COVER FOR INNER BODY IN A DOOR LOCK}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일부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를 구성하는 록킹수단을 나타내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및 그 작동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를 구성하는 경보수단을 나타내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 및 그 작동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를 구성하는 강제잠금수단을 나타내는 도 3의 Ⅵ-Ⅵ선 단면도 및 그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측본체 20: 내측본체
22: 가이드 홈 30: 데드볼트
40: 구동모터 44: 콘트롤러
52: 종동베벨기어 60: 수동 조작 장치
62: 로터리노브 64: 푸시노브
70: 슬라이딩 커버 72: 돌출부
80: 록킹수단 82: 록킹홈
84: 록커 84a: 록킹돌기
84b: 푸시버튼 86: 스프링
90: 경보수단 92: 감지수단
93: 탄성운동편 94: 온, 오프 스위치
94a: 고정단자 94b: 가동단자
95: 경보부저 100: 강제잠금수단
110: 감지수단 112: 눌림편
114: 온, 오프 스위치 114a: 고정단자
114b: 가동단자
본 발명은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본체를 따라 상, 하 슬라이딩하면서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선택적으로 은폐하거나 노출시키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식 도어록은, 도어의 외부에 마련된 키입력버튼을 눌러서 조작하거나 또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여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지털식 도어록은 열쇠를 끼워 맞춰 조작하는 수동식 도어록 보다 조작하기 간편하고 해정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최근 들어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디지털식 도어록(이하, "도어록"이라 약칭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어록은 도어(D)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10)와,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20)를 구비한다.
외측본체(10)는 다수의 버튼(12)과, 안전키(도시하지 않음)를 접촉시킬 수 있는 접촉부(1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내측본체(20)는 데드볼트(30)와, 데드볼트(3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0)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모터(40)와 데드볼트(30)는 레버장치(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레버장치(50)는 구동모터(40)의 구동베벨기어(42)와 치합되는 종동베벨기어(52)와, 종동베벨기어(52)에 일체로 형성되며, 종동베벨기어(52)가 회전됨에 따라 데드볼트(30)를 밀어주는 작동레버(54)로 구성된다. 한편, 구동모터(40)는 콘트롤러(44)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D)의 외측에서 버튼(12)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44)에 의해 제어되면서 작동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록에 의하면, 도어(D)의 외부에서 외측본체(10)의 버튼(12) 또는 안전키 등을 이용하여 내측본체(20)의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은 구동베벨기어(42)를 통해 종동베벨기어(52)로 전달되고, 종동베벨기어(52)로 전달된 회전력은 이에 고정된 작동레버(54)를 왕복회동운동시키며, 왕복회동운동되는 작동레버(54)는 데드볼트(30)를 내측본체(20)로부터 출몰시키면서 도어(D)를 자동으로 록킹시키거나 해정시킨다.
한편, 도어록은 도어(D)의 내측에서 수동으로 데드볼트(30)를 조작할 수 있는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60)를 더 구비한다. 수동 조작 장치(60)는 종동베벨기어(52)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종동베벨기어(52)로부터 뻗어서 내측본체(2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로터리노브(62)와, 구동모터(40)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본체(20)에 설치되는 푸시노브(64)로 구성된다. 여기서, 푸시노브(64)는 콘트롤러(44)와 연결되어 콘트롤러(44)로 하여금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키게 한다.
또한, 도어록은 내측본체(20)의 외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커버(66)를 더 구비한다. 슬라이딩 커버(66)는 내측본체(20)를 따라 상, 하 슬라이딩 가능한 것으로,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은폐하거나 노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외부의 침입자가 도어(D)의 외측에서 도어(D)에 형성된 우유 투입구 또는 도어(D)와 도어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사이로 공구를 투입한 다음, 투입된 공구로 슬라이딩 커버(66)를 파손시키거나 또는 상부로 올려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노출시키고, 노출된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강제적으로 조작하여 도어(D)를 해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라이딩 커버를 무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가 로터리노브 또는 푸시노브를 강제로 조작하여 도어를 무단으로 해정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차단위치로 하강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내측본체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경보해주는 경보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차단위치로 하강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강제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는, 슬라이딩 커버(70)를 갖는다. 슬라이딩 커버(70)는 내측본체(20)의 외면 양쪽에 형성된 가이드 홈(22)을 따라 하부의 "차단위치"(A)와, 상부의 "노출위치"(B) 사이에서 왕복운 동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커버(70)의 양측 단부에는 가이드 홈(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출부(72)가 상, 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슬라이딩 커버(70)는 가이드 홈(22)을 따라 "차단위치"(A)와 "노출위치"(B)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면서 내측본체(20)의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은폐하거나 노출시킨다. 특히, "차단위치"(A)로 하강한 상태에서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차단하며, "노출위치"(B)로 상승한 상태에서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노출시킨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는, "차단위치"(A)로 하강한 슬라이딩 커버(70)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80)을 구비한다.
록킹수단(80)은, 슬라이딩 커버(70)에 형성된 록킹홈(82)과, 록킹홈(82)과 록킹될 수 있도록 내측본체(20)에 설치되는 록커(84)와, 록커(84)를 록킹홈(82)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86)으로 구성된다.
록킹홈(82)은 슬라이딩 커버(70)의 돌출부(72)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본체(20)로부터 돌출되는 록커(84)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커버(70)의 상승을 제한한다.
록커(84)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본체(20)의 내측을 향하는 "해제위치"(C)와, 내측본체(20)의 외측을 향하는 "록킹위치"(D)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록커(84)는 록킹돌기(84a)와 푸시버튼(84b)을 구비한다. 록킹돌기(84a)는 내측본체(20)에 형성된 출몰구멍(24)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록커(84)가 "록킹위치"(D)와 "해제위치"(C) 사이에서 왕복운동함에 따라 가이드 홈(22)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가이드 홈(2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록커(84)가 "해제위치"(C)에서 "록킹위치"(D)로 운동함에 따라 가이드 홈(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슬라이딩 커버(70)의 록킹홈(82)에 결합되고, 상기 록커(84)가 "록킹위치"(D)에서 "해제위치"(C)로 운동함에 따라 가이드 홈(2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커버(70)의 록킹홈(82)으로부터 이탈된다.
푸시버튼(84b)은 내측본체(20)에 형성된 관통구멍(26)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록커(84)를 "록킹위치"(D)에서 "해제위치"(C)로 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록커(84)를 "록킹위치"(D)에서 "해제위치"(C)로 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슬라이딩 커버(70)의 록킹홈(82)으로부터 록커(84)의 록킹돌기(84a)를 이탈시킬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차단위치"(A)에서 록킹된 슬라이딩 커버(70)를 해방시킬 수 있게 한다.
스프링(86)은 일단이 록커(84)에 지지되고, 타단이 내측본체(20)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록커(84)를 "록킹위치"(D)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특히, "록킹위치"(D) 방향으로 탄성가압합으로써, 록커(84)의 록킹돌기(84a)가 슬라이딩 커버(70)의 록킹홈(82)에 항상 결합되는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록킹수단(80)에 의하면, 록커(84) 및 이에 록킹되는 슬라이딩 커버(70)의 록킹홈(82)을 통해, 슬라이딩 커버(70)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커버(70)가 "차단위치"(A)에서 록킹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외부의 무단 침입자가 슬라이딩 커버(70)를 강제적으로 상승시켜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 (64)를 무단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는, 외부의 무단 침입자가 슬라이딩 커버(70)를 강제적으로 파손하는 것을 경보해주는 경보수단(90)을 구비한다.
경보수단(90)은, 슬라이딩 커버(70)가 파손되어 내측본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92)과, 감지수단(92)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44)와, 콘트롤러(44)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저(95)로 구성된다.
감지수단(92)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70)의 돌출부(72)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70)가 내측본체(20)로부터 분리되면, "눌림위치"(Q)에서 "작동위치"(R)로 탄성 운동하도록 내측본체(20)에 설치되는 탄성운동편(93)과, "눌림위치"(Q)에서 "작동위치"(R)로 운동하는 탄성운동편(93)에 의해 눌려져 온(on)되는 온, 오프 스위치(94)로 구성된다. 특히, 온, 오프 스위치(94)는 고정단자(94a)와 가동단자(94b)를 갖는 것으로, "작동위치"(R)로 운동하는 탄성운동편(93)에 의해 가동단자(94b)가 눌려지면서 온(on)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운동편(93)은 스프링(93a)에 의해 "작동위치"(R) 방향으로 탄성지지됨은 물론이다.
콘트롤러(44)는 온, 오프 스위치(94)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내측본체(20)로부터 슬라이딩 커버(70)가 분리되었음을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경고부저(95)는 콘트롤러(4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되면서 경보음을 출력하며, 따라서 외부의 무단 침입자에 의해 슬라이딩 커버(70)를 강제로 파손되는 것을 알려준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장치는, 슬라이딩 커버(70)를 "노출위치"(B)에서 "차단위치"(A)로 하강시키면, 구동모터(40: 도 1 참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강제잠금수단(100)을 더 구비한다.
강제잠금수단(100)은, 슬라이딩 커버(70)가 "노출위치"(B)에서 "차단위치"(A)로 하강하는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10)과, 감지수단(11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제한하는 상기 콘트롤러(44)로 구성된다.
감지수단(110)은,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70)가 "노출위치"(B)에서 "차단위치"(A)로 하강함에 따라 "해방위치"(X)에서 "눌림위치"(Y)로 눌려지도록 내측본체(20)에 설치되는 눌림편(112)과, "해방위치"(X)에서 "눌림위치"(Y)로 운동하는 눌림편(112)에 의해 눌려져 온(on)되는 온, 오프 스위치(114)로 구성된다. 특히, 온, 오프 스위치(114)는 고정단자(114a)와 가동단자(114b)를 갖는 것으로, "눌림위치"(Y)로 운동하는 눌림편(112)에 의해 가동단자(114b)가 눌려지면서 온(on)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눌림편(112)은 스프링(112a)에 의해 "해방위치"(X) 방향으로 탄성지지됨은 물론이다.
콘트롤러(44)는 온, 오프 스위치(114)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커버(70)가 "차단위치"(A)로 하강되었음을 판단하고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제한한다. 특히,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D)의 외측에서 외측본체(10)의 버튼(12)과 안전키를 사용하여 도어록을 작동시키려고 해도 도어록 자체를 작동 시킬 수 없게 한다.
이러한 강제잠금수단(100)에 의하면, 슬라이딩 커버(70)가 "차단위치"(A)에 배치되었을 경우는, 도어록 자체를 작동시키지 못하게 함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 외측본체(10)의 버튼(12)을 조작하거나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데드볼트(30)를 강제로 조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도어록의 강제적인 해정을 사전에 차단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3과 도 4a 내지 6b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70)가 "차단위치"(A)에 배치된 상태에서, 내측본체(20)의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84)의 푸시버튼(84b)을 누른다. 그러면, 록커(84)는 "록킹위치"(D)에서 "해제위치"(C)로 운동한다. 그리고 록커(84)가 "록킹위치"(D)에서 "해제위치"(C)로 운동함에 따라 이에 형성된 록킹돌기(84a)도 내측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커버(70)의 록킹홈(8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70)는 해방되며,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70)는 "차단위치"(A)에서 "노출위치"(B)로 상승 가능한 상태가 되어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로터리노브(62)와 푸시노브(64)의 사용을 완료한 후, 슬라이딩 커버(70)를 "노출위치"(B)에서 "차단위치"(A)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스프링(86)에 의해 탄성지지된 록커(84)는, "록킹위치"(D)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커버(70) 의 록킹홈(82)에 삽입된다. 결국, 록커(84)의 록킹돌기(84a)가 록킹홈(8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커버(70)는 "차단위치"(A)에서 록킹되며, 따라서 외부의 무단 침입자가 강제로 슬라이딩 커버(70)를 상승시키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70)가 "노출위치"(B)에서 "차단위치"(A)로 하강하면, 강제잠금수단(100)의 눌림편(112)이 슬라이딩 커버(70)에 의해 눌려지면서 "해방위치"(X)에서 "눌림위치"(Y)로 이동한다. 그리고 "눌림위치"(Y)로 이동하는 눌림편(112)은 곧바로 온, 오프 스위치(114)의 가동단자(114b)를 가압하면서 온(on)시키며, 오프 스위치(114)가 "온"됨에 따라 콘트롤러(44)는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제한한다. 결국, 구동모터(40)의 작동이 제한됨으로써, 도어록은 작동 정지되며, 따라서 외부의 침입자가 외측본체(10)의 버튼(12) 및 인증되지 않은 안전키를 사용하여 도어록을 해정시키려해도 도어록은 작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5a와 도 5b에서와 같이 외부의 무단 침입자가 강제로 슬라이딩 커버(70)를 파손시켜 상기 슬라이딩 커버(70)를 내측본체(20)로부터 분리시킨다면, 슬라이딩 커버(70)에 의해 눌려져 있던 탄성운동편(93)은 "눌림위치"(Q)에서 "작동위치"(R)로 탄성 운동하고, "작동위치"(R)로 탄성 운동하는 탄성운동편(93)은 온, 오프 스위치(94)의 가동단자(94b)를 가압하면서 온(on)시키며, 오프 스위치(94)가 "온"됨에 따라 콘트롤러(44)는 슬라이딩 커버(70)가 내측본체(2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판단하고 경고부저(95)를 작동시킨다. 결국, 경고부저(95)는 경고음을 출력하면서 무단 침입자가 침입하려는 것을 내부인에게 경고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커버를 무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가 로터리노브 또는 푸시노브를 강제로 조작하여 도어를 무단으로 해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무단 침입자가 슬라이딩 커버를 파손하였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침입자가 침투하려는 것을 사전에 경고해준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어록 전체를 작동 정지시킴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 도어록을 강제 조작하려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Claims (12)

  1.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차단위치로 하강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내측본체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경보해주는 경보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차단위치로 하강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강제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2.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차단위치로 하강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3.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내측본체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경보해주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4.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차단위치로 하강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강제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5.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차단위치로 하강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내측본체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경보해주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6.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 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내측본체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경보해주는 경보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차단위치로 하강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강제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7.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베벨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노브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푸시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하부의 차단위치와, 상부의 노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차단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차단하고, 노출위치에서 상기 로터리노브와 푸시노브를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차단위치로 하강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차단위치로 하강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강제적으 로 제한하는 강제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8. 제 1항, 제 2항, 제 5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형성된 록킹홈과, 상기 록킹홈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본체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상기 록킹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록커에는, 상기 록커를 상기 록킹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눌러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본체의 외측으로 뻗어 있는 푸시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9. 제 1항, 제 3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내측본체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내측본체로부터 분리되면, 눌림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탄성 운동하도록 상기 내측본체에 설치되는 탄성운동편과, 눌림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운동하는 상기 탄성운동편에 의해 눌려져 온되는 온, 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11. 제 1항, 제 4항, 제 6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노출위치에서 차단위치로 하강하는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노출위치에서 차단위치로 하강함에 따라 해방위치에서 눌림위치로 눌려지도록 상기 내측본체에 설치되는 눌림편과, 해방위치에서 눌림위치로 운동하는 상기 눌림편에 의해 눌려져 온되는 온, 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KR1020040088910A 2004-11-03 2004-11-03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KR10060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10A KR100604213B1 (ko) 2004-11-03 2004-11-03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10A KR100604213B1 (ko) 2004-11-03 2004-11-03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12A KR20060039712A (ko) 2006-05-09
KR100604213B1 true KR100604213B1 (ko) 2006-07-24

Family

ID=3714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910A KR100604213B1 (ko) 2004-11-03 2004-11-03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69B1 (ko) 2009-09-08 2015-12-11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자식 문 잠금장치의 열림/잠금 버튼 강제조작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18B1 (ko) * 2007-08-23 2007-10-26 (주)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외벽에 설치되는 경보음발생 방범커버
KR200484625Y1 (ko) * 2016-11-16 2017-10-11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케이스 구조체
KR101974013B1 (ko) * 2018-08-14 2019-08-23 주식회사 트리톤넷 비상문 개방 경보 장치
US11933092B2 (en) 2019-08-13 2024-03-19 SimpliSafe, Inc. Mounting assembly for door 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69B1 (ko) 2009-09-08 2015-12-11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자식 문 잠금장치의 열림/잠금 버튼 강제조작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12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5679A1 (en) Electronic chip functioned lock
KR100604213B1 (ko) 도어록의 내측본체 슬라이딩 커버장치
US6584817B1 (en) Electronic anti-theft lock
KR200438623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JP3821427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KR200438979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100568176B1 (ko) 휴대용 컴퓨터
EP1984591B1 (en) Pushbutton combination lock
KR100630945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장치 및 도어 시스템
JP5974845B2 (ja) キースイッチ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JP2007066681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ロック構造
KR200289539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200418866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제어장치
JPH09120750A (ja) トリガースイッチ
KR101139494B1 (ko) 세이프티 패닉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0444840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2431109B1 (ko) 안전 방범·방충창용 잠금장치
KR102485189B1 (ko) 도어락 장치
KR200444841Y1 (ko) 디지털 도어록
CN219262011U (zh) 按键密码锁的防技术开启结构
KR100751952B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조작장치
ATE307703T1 (de) Allesschneider mit sicherheitsscha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