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45Y1 -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 Google Patents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45Y1
KR200369645Y1 KR20-2004-0025218U KR20040025218U KR200369645Y1 KR 200369645 Y1 KR200369645 Y1 KR 200369645Y1 KR 20040025218 U KR20040025218 U KR 20040025218U KR 200369645 Y1 KR200369645 Y1 KR 200369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light fixture
ceiling
side plat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식
Original Assignee
장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식 filed Critical 장용식
Priority to KR20-2004-0025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등기구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면서 사방면으로 체결홈을 가지는 하나의 패턴된 체결구를 사용하여 천정등기구의 관련부품들을 손쉽고도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판체형 몸체(20)의 상면에는 프레임(10)이 하면에는 측면판(30) 및 커버(40)가 다수 개의 체결구 및 보울트 등에 의해 조립되는 사각형의 천정등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천정등기구(100)를 조립하는 체결구(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면서 사방면에는 측면판(30)이 체결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끝단에는 단턱(23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보울트(50)가 관통되게 체결되는 보울트공(220)가 형성되며, 상기 보울트공(220)의 끝단에는 별도의 육각너트가 삽입되는 너트홈(240)을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등기구의 체결구{Coupling unit of ceiling lamp device}
본 고안은 천정등기구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면서 사방면으로 체결홈을 가지는 하나의 패턴된 체결구를 사용하여 천정등기구의 관련부품들을 손쉽고도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에 부착되는 천정등기구는 그 구조나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천정등 중에서도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조립식의 천정등기구도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천정등기구의 대체적인 구조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의 상면에는 형광등 및 안정기 등이 설치되는 프레임(2)이 설치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형광등의 불빛이 투과되는 커버(3)와 측면판(4)이 각 모서리 및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체결구(5)(5a)들에 의해 보울트로서 고정설치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모서리에 설치되는 체결구(5)는 직각 방향으로 체결홈(6)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중심부에는 보울트가 관통되는 보울트공(7)이 형성되는데 반하여, 측면에 설치되는 체결구(5a)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의 양측으로 체결홈(6)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이들을 통하여 측면판(4) 및 커버(3)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체결구(5a)는 형광등기구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또는 직사각형으로 하는 경우에 측면판의 길이를 지나치게 길게 형성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정등기구에 사용되는 체결구(5)(5a)는 대부분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임으로써 중량이 무겁고 투박하여 제품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체결구(5)(5a)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과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갖추고 있음으로써 부품수가 중복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호환성도 갖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형광등기구의 크기나 형태 등에 관계없이 동일한 형태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모서리는 물론 측면 등에도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광등기구의 체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형광등기구의 체결구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양산이 가능하면서도 사방면으로 측면판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중심부에는 보울트공과 함께 너트홈을 갖추어 구성함으로써 형광등기구가 작은 경우에는 사방향의 모서리부에 설치하여 형광등기구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형광등기구가 큰 경우나 또는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측면의 중심부에 체결구를 추가하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천정등기구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1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천정등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도3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도3으 일부 정단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도3의 일부 평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관한 체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도7의 저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천정등기구 10:프레임
11:형광등 12:안정기
20:몸체 30:측면판
40:커버 50:보울트
51:육각너트 60:장식너트
200:체결구 210:체결홈
220:보울트공 230:단턱
240:너트공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3 및 도4에서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천정등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기구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고, 부호 200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구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천정등기구(100)는 천정면에 고정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판체형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다수 개의 체결구(200) 및 보울트(50), 너트 등으로서 체결고정되는 측면판(30) 및 커버(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몸체(2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도 그 내부에는 형광등(11) 및 안정기(12) 등의 관련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몸체(20)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판체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형광등(11)의 불빛이 조사되는 중공부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하부면에는 사방향의 모서리부분에 체결구(200)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사방에는 측면판(30)이 각각 체결되고, 또 상기 체결구(200)에는 판체형으로 형성되면서도 유리, 아크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형광등의 불빛이 투과되는 커버(40)가 보울트(50)를 포함하는 육각너트(51) 및 장식너트(60) 등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 체결구(200)는 첨부된 도면의 도7 및 도8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에 측면판(30) 및 커버(40)를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이는 사방향으로 측면판(30)이 체결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중심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보울트공(220)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단에는 측면판(30)이 체결홈(210)에 체결시 스톱퍼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턱(230)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보울트공(220)의 끝단에는 별도의 육각너트(51)가 삽입체결되는 너트홈(2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200)는 일정한 높이, 예컨데 측면판(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고, 또 대략 사각체의 양사방에 체결홈(210)이 각각 갖추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구(200)의 외형은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각체 뿐만 아니라 원통형이나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을 것이고, 또한, 이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칼라로 형성하여 천정등기구의 전체적인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고안의 천정등기구(100)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임에 따라 별도의 특별한 공구없이도 첨부된 도면의 도4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구나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천정등기구(100)를 조립시에는 몸체(20)의 양사방에 체결구(2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200)의 체결홈(210)에 측면판(30)을 삽입한 후, 너트홈(240)내에 육각너트(51)를 삽입하여 보울트(50)로 조여줌으로써 1차 측면판(30)들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커버(40)를 각 체결구(200)상에 접면시킨 후, 커버(40)측으로 노출되는 보울트(50)에 별도의 장식너트(60)를 조여줌으로써 조립을 모두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식너트(60)는 조립이 완료되었을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것임에 따라 원형, 사각 등을 비롯한 다각형이나 또는 별, 꽃 등의 여러 가지 형상 및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보울트(50)에 육각너트(51) 및 장식너트(60)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조여주는 것은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사용시, 예컨데 형광등(11)을 교체하는 등의 경우에 장식너트(60)를 이용하여 커버(40)만을 해제토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천정등기구(100a)가 첨부된 도면의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일 경우에나 또는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그 크기가 큰 정사각형 등일 경우에는 고정력 및 균형을 감안하여 측면의 중심부에 체결구(200)를 하나 더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별도의 체결구가 필요치 않고 본 고안의 체결구(200)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즉, 상기 체결구(200)의 해당되는 측면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홈(210)을 이용하여 측면판(30)을 손쉽게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천정등기구를 조립함에 있어서, 양사방향으로 체결홈을 가지는 체결구를 사용함으로써 천정등기구를 손쉽고도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체결구만을 이용하여 천정등기구의 각 모서리부분이나 또는 측면부분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는 등의 호환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부품수가 줄어들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판체형 몸체(20)의 상면에는 프레임(10)이 하면에는 측면판(30) 및 커버(40)가 다수 개의 체결구 및 보울트 등에 의해 조립되는 사각형의 천정등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천정등기구(100)를 조립하는 체결구(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면서 사방면에는 측면판(30)이 체결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끝단에는 단턱(23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보울트(50)가 관통되게 체결되는 보울트공(220)가 형성되며, 상기 보울트공(220)의 끝단에는 별도의 육각너트가 삽입되는 너트홈(240)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KR20-2004-0025218U 2004-09-02 2004-09-02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KR200369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218U KR200369645Y1 (ko) 2004-09-02 2004-09-02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218U KR200369645Y1 (ko) 2004-09-02 2004-09-02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45Y1 true KR200369645Y1 (ko) 2004-12-09

Family

ID=4935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218U KR200369645Y1 (ko) 2004-09-02 2004-09-02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547B1 (ko) 2010-10-28 2012-06-01 김병조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547B1 (ko) 2010-10-28 2012-06-01 김병조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402B1 (ko) 천정매입형 등기구 프레임
KR200369645Y1 (ko)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KR200285845Y1 (ko) 천장등의 조립구조
KR200422873Y1 (ko) 천장등 커버 결합장치
KR200413096Y1 (ko) 전등커버의 용이한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90071776A (ko) 커버판고정구를 가진 천장직착등
KR100561966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101848148B1 (ko) 레이스웨이 엘보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구조체
KR100763609B1 (ko) 연등
KR20000016739U (ko) 탈착이 자유로운 전등갓
KR20090012880U (ko) 천장등용 장식프레임.
KR20090001677U (ko) 천장용 조명기구
KR200419107Y1 (ko) 천정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KR20110000321U (ko) 조명등 고정볼트
KR200389248Y1 (ko) 조립식형광등커버
KR200260005Y1 (ko) 천정면 및 벽면 매립형 조명등기구
KR200364498Y1 (ko) 조명등 테두리 장착구조
KR200191424Y1 (ko) 벽부착등
KR200335768Y1 (ko) 매입등 커버
KR200421532Y1 (ko) 조명기구의 케이스
KR200367560Y1 (ko) 조명기구용 전등갓 고정구조
KR200417065Y1 (ko) 조명기구
KR200181138Y1 (ko) 천장용 조명기구
KR200354625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0353080Y1 (ko) 등기구 본체 장착용 장식구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