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547B1 -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 Google Patents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547B1
KR101152547B1 KR1020100106083A KR20100106083A KR101152547B1 KR 101152547 B1 KR101152547 B1 KR 101152547B1 KR 1020100106083 A KR1020100106083 A KR 1020100106083A KR 20100106083 A KR20100106083 A KR 20100106083A KR 101152547 B1 KR101152547 B1 KR 10115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eiling
support member
ceiling lamp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661A (ko
Inventor
김병조
Original Assignee
김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조 filed Critical 김병조
Priority to KR102010010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5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resilient rings acting substantially isotropically, e.g. split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조명등이 상부에 매달린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는, 상기 각 조명등을 지지하는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빛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조명등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된 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갓부재는 상기 조명등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별도의 공구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Ceiling Lumination Light Connection Device and Ceiling Lumination Ligh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조명등을 교체하는 구조를 개선한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천정 조명등은 각종 건물의 천정에 부착되어 조명과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미감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천정 조명등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여기서는 다수의 조명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다수의 조명등과 장식구가 함께 사용되고, 조명등이 투명 내지 반투명의 유리 등으로 둘러싸여 있는 천정 조명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조명등을 최초로 취부하거나 사용 중 교체를 하고자 하는 경우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별도의 공구없이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천정 조명등은 높은 위치에 부착되어 작업이 불편하면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다.
그리고, 다수의 조명등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을 잘 할 수 있으며, 조명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별도의 공구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을 둘러싸고 있는 갓부재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안정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조명등이 상부에 매달린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명등을 지지하는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빛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조명등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된 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갓부재는 상기 조명등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갓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갓부재의 결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갓부재를 탄성 가압함과 동시에 결합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갓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지지되어 상기 조명등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조명등의 빛을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부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갓부재 걸림부의 외측과 상기 반사부 내측 사이에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반사부의 상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상부에 개방된 영역이 커지는 확산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나사 결합되는 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을 교체하는 경우 상기 반사부를 회전 운동시키면 상기 물림부에 대하여 상기 걸림부가 착탈되는 것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조명등이 매달린 천정 조명등 본체와; 상기 조명등을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별도의 공구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을 둘러싸고 있는 갓부재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안정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갓부재의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갓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천정 조명등(10)은,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조명등(50)을 지지하는 본체(20)와, 본체(20)에 결합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를 포함한다.
천정 조명등(10)은 통상 집, 식당, 연회장, 회의실 등의 실내에 조명과 더불어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천정 조명등(10)은 일실시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도 1과 같은 형상을 일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천정 조명등(10)은 강철 재질을 포함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고리(30) 등에 의해 천정에 지지되는 본체(20)와, 본체(20)에 지지되는 다수의 조명등(50)과, 조명등(50)을 지지하고 조명등(50)에서 나오는 빛을 분산, 반사시킬 수 있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를 포함한다. 천정 조명등(10)은 본체(20)의 타측에 미관과 조명등(50)에서 발산되는 빛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 배치된 장식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정 조명등(10)에는 조명등(5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23)과,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가 결합되는 다수의 관통홀(21)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와 갓부재(130)를 갖는다.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는 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관통홀(21)을 통해 본체(20))에 지지된다. 지지부재(110)는 또한 조명등(50)을 결합하여 지지한다. 즉,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에서 갓부재(130)를 분리하면 지지부재(110)에 조명등(50)이 결합된 도 4b와 같은 상태이다.
지지부재(110)는 고정부재(113)와 물림부(115)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0)는 본체(20)의 상부에 지지되는 고정부재(113)와 본체(20)의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부재(113)와 결합되는 물림부(115)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13)와 물림부(115)는 일실시예로 나사로 결합되어 있으나 클립 등의 공지의 결합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물림부(115)는 일예로 외측에 걸림나사(131a)가 형성되어 물림부(115)의 물림나사(115a)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림부(115)의 내측 내지 걸림부(131)의 내측인 지지부재(110)의 내측에는 전선(23)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다.
갓부재(130)는 본체(20)의 하측에 위치하여 지지부재(110)와 결합되고 조명등(50)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다. 갓부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31), 반사부(133), 방열부(135)를 포함한다. 갓부재(130)는 확산영역(137), 체결부재(13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131)의 일측은 지지부재(110)와 결합되고 타측은 반사부(133)를 지지한다. 걸림부(131)의 외측은 반사부(133)의 내측과 간격을 둘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사부(133)의 내경이 원형이면, 가능하면 걸림부(131)의 외측은 팔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마련되어 반사부(133)의 내경과 이격되는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조명등(50)의 열을 방출하는데 유리하다. 걸림부(131)의 길이는 물림부(115)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마련되어 조명등(50)의 결합 부분 등이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부(131)의 내측에선 물림부(115)의 물림나사(115a)와 결합되는 걸림나사(1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131)는 방열부(135)의 존재로 인해 반사부(133)에 얹혀 질 수 있도록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턱(131b)이 형성되어 있다.이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걸림부(131)는 반사부(133)에 지지되어 체결부재(139)에 의해 반사부(133)는 걸림부(13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31)에는 체결부재(139)가 결합되는 체결나사부(139b)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133)는 걸림부(131)의 외측에 배치되어 걸림부(131)와 체결부재(139)에 의해 결함되고 조명등(50)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다. 반사부(133)는 내부에 수용된 조명등(50)에서 발산되는 광의 미감을 분산, 반사시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크리스탈, 유리 등의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133)에는 체결부재(139)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139a)이 구비되어 있다.
방열부(135)는 조명등(5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킨다. 방열부(135)는 걸림부(131)의 외측과 반사부(133)의 내측 사이에 형성된 틈새 내지 간격으로 이루어진 영역이다. 이에, 조명등(50)에서 발생하는 열은 반사부(133)의 하측의 개방구(미도시)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방열부(135)를 통해 방열부(135)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상측으로 배출된 열은 본체(20)와 반사부(13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천정 조명등(10)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방열부(135)의 상측에는 반사부(133)의 내측 상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중앙 영역을 외측을 확장시킨 확산영역(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조명등(50)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영역(137)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139)는 반사부(133)와 걸림부(131)를 상호 결합하며, 복수로 마련되어 있고, 걸림부(131)의 체결나사부(139b)와 결합되는 나사와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33)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반사부(133)는 중앙이 비어 있는 사각형 단면, 원통 단면, 다각형 단면을 갖는 다소 길이를 갖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하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사부(133)의 중앙 영역은 걸림부(131)가 결합되고 조명등(5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있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탄성부재(150)는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갓부재(130)를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150)는 지지부재(110)와 갓부재(13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50)는 일예로 “O”형상의 단면을 갖는 링이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110)에 갓부재(13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50)의 신축성에 의해 반사부(133)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0)의 탄성 가압력은 지지부재(110)에 대해 갓부재(130)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갓부재(130)의 방향이 변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탄성부재(150)는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갓부재(130)를 결합 내지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지지부재(110)와 갓부재(130)를 구분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도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2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10)는 관통홀(21)을 통해 고정부재(113)와 물림부(115)가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20)에 지지된다. 물림부(115)에는 조명등(50)이 부착되고 고정부재(113)의 상단으로 전선(23)이 노출된다. 그리고, 물림부(115)의 외측 상단 모서리부에 탄성부재(150)가 결합된다.
그리고, 하측에서 지지부재(110)와 착탈 가능한 갓부재(130)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미리 결합되어 있다. 반사부(133) 내부로 걸림부(131)를 삽입하여 걸림턱(131b)이 반사부(133)의 상부에 걸리도록 하고, 체결부재(139)는 외측에서 반사부(133)의 체결홀(139a)을 관통하여 걸림부(131)의 체결나사부(139b)와 결합시킨다. 이에, 반사부(133)가 걸림부(131)에 체결부재(139)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갓부재(130)가 완성된다.
다음, 사용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갓부재(130)의 중앙으로 물림부(115)와 조명등(50)이 수용되도록 하부에서 상측으로 밀어 올려 물림부(115)의 물림나사(115a)와 걸림부(131)의 걸림나사(131a)를 체결하여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갓부재(130)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갓부재(130)의 반사부(133)의 형상이 사각형, 팔각형 등으로 된 경우 외적 미감을 위해 방향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반사부(133)를 잡고 가압하면, 탄성부재(150)의 탄성에 의해 갓부재(130)의 회전 운동이 탄성부재(150)에서 직선 방향 이동으로 탄성부재(150)의 탄성에 의해 변경되기 때문에 반사부(133)를 원하는 방향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는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외부의 힘(바람, 사람이 접촉하는 경우 등)에 의해서도 쉽게 위치 변경이 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서의 조명등 교체하는 과정을 비교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서는 조명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물림부(115)와 걸림부(131)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복수의 체결부재(139)를 분해하여, 조명등(50)을 교체한 후 복수의 체결부재(139)를 체결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체결부재(139)를 분해 및 결합해야 하므로 양 손을 사용하여야 하고 필요에 따라 체결 내지 분리하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도 복수의 체결부재(139)를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통상 천정 조명등은 상당한 높이에 위치하여 조명등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면 작업자는 전도 등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100)의 최외측에 존재하고 조명등(50)을 둘러싸는 비교적 크기가 큰 갓부재(130)를 잡고 회전 운동만 하면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훨씬 안전하고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명등(50) 착탈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 등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의 교체 내지 분해를 별도의 공구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으며,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을 둘러싸고 있는 갓부재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천정 조명등에서 조명등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안정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110 : 지지장치
113 : 고정부재 115 : 갓부재 물림부
130 : 갓부재 131 : 갓부재 걸림부
133 : 반사부 135 : 방열부
137 : 확산영역 139 : 체결부재
150 : 탄성부재

Claims (7)

  1. 다수의 조명등이 상부에 매달린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각 조명등을 지지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빛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조명등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된 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갓부재는 상기 조명등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갓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갓부재의 결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갓부재를 탄성 가압함과 동시에 결합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갓부재는
    상기 걸림부에 지지되어 상기 조명등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조명등의 빛을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갓부재 걸림부의 외측과 상기 반사부 내측 사이에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반사부의 상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부에 개방된 영역이 커지는 확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나사 결합되는 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을 교체하는 경우 상기 반사부를 회전 운동시키면 상기 물림부에 대하여 상기 걸림부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7. 다수의 조명등이 매달린 천정 조명등 본체와;
    상기 조명등을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조명등.
KR1020100106083A 2010-10-28 2010-10-28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KR10115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83A KR101152547B1 (ko) 2010-10-28 2010-10-28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83A KR101152547B1 (ko) 2010-10-28 2010-10-28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61A KR20120044661A (ko) 2012-05-08
KR101152547B1 true KR101152547B1 (ko) 2012-06-01

Family

ID=4626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083A KR101152547B1 (ko) 2010-10-28 2010-10-28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4918B (zh) * 2017-10-20 2024-03-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升降式舞台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45Y1 (ko) 2004-09-02 2004-12-09 장용식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KR200404099Y1 (ko) 2005-09-29 2005-12-19 박홍근 세라믹재 평판을 이용한 그림 액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45Y1 (ko) 2004-09-02 2004-12-09 장용식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KR200404099Y1 (ko) 2005-09-29 2005-12-19 박홍근 세라믹재 평판을 이용한 그림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61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902B1 (en) Light fixture with a shade and a light source assembly
US9429286B2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amp
US9016909B2 (en) Crystal mounting frame and light assembly
KR20080098762A (ko) 엘이디 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089270B1 (ko) 조립형 조명기구
KR101152547B1 (ko) 천정 조명등 체결장치 및 이를 갖는 천정 조명등
KR101413601B1 (ko) 램프 고정 조립체
KR101059417B1 (ko) 엘이디 조명등 고정장치
US10845035B1 (en) Detachably assembled and independently used LED mother-son lamp
KR20170074515A (ko) 반사갓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KR20200092514A (ko) 펜던트형 조명등
JP4830926B2 (ja) 埋込型照明器具
JP5294412B2 (ja) 照明器具
JP3204152U (ja) 照明機構及び同機構を用いたスカート状シェードを持つペンダント灯
KR101505401B1 (ko) 엘이디 천정등
US20020176256A1 (en) Lighting fixture
TWM446864U (zh) 發光二極體吊燈
KR101590379B1 (ko) 링형 조명장식체를 구비한 천정매다는등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080004082U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KR102622808B1 (ko) 등기구 마운팅 구조
CN210462761U (zh) 一种装饰用吊灯
KR200467651Y1 (ko) 조명기구의 엘이디 고정홀더
JP2005142058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