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966B1 -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966B1
KR100561966B1 KR1020040024797A KR20040024797A KR100561966B1 KR 100561966 B1 KR100561966 B1 KR 100561966B1 KR 1020040024797 A KR1020040024797 A KR 1020040024797A KR 20040024797 A KR20040024797 A KR 20040024797A KR 100561966 B1 KR100561966 B1 KR 100561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levator
bolt
nu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652A (ko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04002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9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78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using ind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모든 조립작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사전에 부착된 다수의 외부너트(33); 상기 관통공(3)을 통해 외부너트(33)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고, 조립상태에서 본체는 상기 브라켓(20)을 관통하며, 타단부가 브라켓을 관통해 돌출하는 볼트(42); 상기 볼트(42)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내부너트(32); 상기 볼트(42)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공간부에 길이를 따라 여러곳에 하나씩 설치되는 다수의 내부덮개(52); 및 상기 다수의 내부덮개(52)에 체결되어 볼트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공간부 전체를 가리는 기다란 하나의 외부덮개(54);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상기 볼트 타단부에 고정된 내부너트를 회전시키면 내부너트와 일체로 볼트(42)가 회전하여 외부너트(33)에 대해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도 1은 핸들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례의 핸들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분해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조립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또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자의 종래의 발명의 핸들조립체의 조립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9a, 9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너트를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 외측에 부착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10a,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와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조립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덮개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와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모든 조립작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승객용 손잡이를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식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단면도로서, 승객과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벽면에는 원통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10)이 승객이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위치로 가로로 길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핸들(10)은 그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브라켓(20)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지지되고, 이들 브라켓에 연결된 볼트 등의 체결구(30)에 의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는 종래의 핸들 조립체의 일례가 확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일단부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30)가 달려있고, 이 체결구는 엘리베이터 벽면(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며, 엘리베이터 외부에서 와셔, 너트 등으로 체결구(30)를 단단히 조여 핸들(1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핸들은 그 조립작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장식을 완료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승강통로에 설치한 다음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 다. 그러나, 이런 작업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설치작업에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인 인테리어 설치업자가 엘리베이터 외부로 나가 작업해야 하므로, 공중에 높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다.
도 3, 4는 종래의 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브라켓(20)을 감싸는 ㄷ자 모양의 캡(25)이 있다. 이 캡(25)은 브라켓(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소정 공간(27)이 형성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먼저 캡(25)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결합한 다음, 핸들 브라켓(20)을 캡(25)에 삽입하고, 브라켓이 삽입된 상태로 캡(25)에 브라켓을 작은나사 등으로 조여서 결합하면, 핸들조립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핸들조립체는 작은나사를 이용해 브라켓과 캡을 결합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캡과 브라켓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져서 핸들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또, 보통 핸들 브라켓은 여러개(보통 3-4개)이므로, 엘리베이터 벽면에 사전 형성된 체결구용 구멍과 캡을 정렬시키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도 5, 6은 종래의 또다른 예의 핸들조립체 분해상태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브라켓(20) 일단부에 체결판(50)을 용접 등으로 결합하고, 이 체결판(50)을 체결구(30)로 엘리베이터 벽면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핸들 조립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체결판(50) 자체가 브라켓(30)의 양쪽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게 되고, 특히 체결구(30)가 승객 등의 시야에 노출되게 된다. 내 부 장식을 중요시하는 엘리베이터에는 이와 같이 체결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므로, 내장을 중요시하는 엘리베이터에는 이와 같은 핸들조립체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엘리베이터 손잡이를 2002년 12월 23일 실용신안으로 출원한 바 있다.
도 7은 본 출원인의 이런 종래의 고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고안은, 승강기 외부에 볼트(30)를 고정시켜 놓고 승강기 내부에서, 핸들 내부의 너트를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고안은 승강기 출하공장에서 승강기 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 출하해야만 하므로, 벽판재끼리 쌓아노을 때 돌출한 볼트로 인해 겹쳐 쌓아놓은 다른 벽판재에 흠집을 발생시키며, 벽판재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기도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현장에서 핸들 내부를 통해 볼트에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생산공장에서 엘리베이터 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장식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결합상태가 단단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핸들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핸들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 및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지지하기 위해 핸들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브라켓(2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을 통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핸들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사전에 부착된 다수의 외부너트(33);
상기 관통공(3)을 통해 외부너트(33)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고, 조립상태에서 본체는 상기 브라켓(20)을 관통하며, 타단부가 브라켓을 관통해 돌출하는 볼트(42);
상기 볼트(42)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내부너트(32);
상기 볼트(42)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공간부에 길이를 따라 여러곳에 하나씩 설치되는 다수의 내부덮개(52); 및
상기 다수의 내부덮개(52)에 체결되어 볼트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공간부 전체를 가리는 기다란 하나의 외부덮개(54);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상기 볼트 타단부에 고정된 내부너트를 회전시키면 내부너트와 일체로 볼트(42)가 회전하여 외부너트(33)에 대해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내부너트(32)는 볼트(42)의 타단부에 용접, 핀, 접착제 등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볼트(42)의 타단부는 핸들의 내부공간으로 돌출하고, 다수의 내부덮개(52)는 상기 핸들의 개방부에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핸들(10)의 하단에 하부가 개방된 단면 역 U형의 볼트지지구(60)가 핸들(10)의 전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볼트지지구(60)의 공간(62)으로 볼트(42)의 타단부가 돌출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내부덮개(52)가 상기 핸들의 개방부에 스냅식으로 결합되고, 이들 내부덮개(52)에 상기 외부덮개(54)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덮개(54) 밑에 형광등이나 꼬마전구 등의 조명기(70)가 장착되고, 조명기(70)를 투광식 조명등 덮개(80)로 가리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분해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다수의 외부너트(33)가 관통공마다 하나씩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볼트(42)는 바람직하게 스터드볼트로서, 브라켓(20)을 통해 관통공(3)으로 일단부가 돌출하면서 외부너트(33)에 나사결합되는데, 외부너트(33)가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볼트(42)를 돌려 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42)를 핸들(10)의 개방부로 집어넣고 핸들 내부공간에서 브라켓과 함께 외부너트(33)에 대해 체결한다.
이를 위해, 핸들 내부공간으로 돌출하는 볼트(42)의 타단부에는 내부너트(32)를 고정한다. 내부너트(32)를 고정하는 방식은 핀으로 볼트에 체결하거나, 볼트 몸체에 내부너트를 용접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는 외부너트(33)를 벽면 외부에 고정하는 방식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판재를 조립하기 전에 외부너트(33)를 미리 벽면의 관통공(3) 외측면에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을 기다란 장공 형태로 형성하고, 기다란 형태의 외부너트(33) 한쪽면에 미리 접착제를 바른 뒤, 중앙에 실이나 철사로 묶어 장공(3)을 통해 너트(33)를 외부로 내보낸 뒤, 끈을 당기면 도 9B와 같이 관통공(3) 외측면에 외부너트(33)가 접착된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외부너트(33) 설치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측면에서나 안정성 측면에서 아주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핸들(10)에 다수개의 볼트를 모두 결합하여 핸들을 완전히 고정시킨 뒤에는 볼트체결을 위해 형성된 핸들(10)의 개방부를 닫아야 한다. 먼저, 핸들(10)의 개방부의 여러곳에 다수의 내부덮개(52)를 결합한다. 내부덮개(52)는 핸들(10)의 외형과 일치되는 아치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8에는 이런 내부덮개(52)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핸들(10)의 개구부 양쪽에는 돌기(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덮개의 양측에는 돌기(12)가 결합되는 홈(5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덮개(52)는 핸들의 개구부에 스냅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도 8에는 외부덮개(54)가 도시되어 있는데, 외부덮개(54)는 기다란 하나의 조각으로서, 아치 형이고, 결합상태에서는 핸들(10)과 함께 매끈한 원통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 외부덮개(54)는 미리 결합된 다수의 내부덮개(52)에 볼트나 나사 등으로 체결되게 된다.
도 10은 내외부 덮개(52,54)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와 저면도를 보여준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덮개(54)는 내부덮개에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핸들(10)을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의 개방부 여러곳에 스냅결합된 내부덮개(5)의 외측면에 기다란 일체형의 아치형 외부덮개(54)가 볼트나 나사 등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외부덮개(54)를 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립체가 완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핸들(10)의 하단에 하부가 개방된 단면이 역 U형인 볼트지지구(60)가 핸들(10)의 전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첫번째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볼트(42)의 타단부가 상기 볼트지지구(60)의 내부공간(62)으로 돌출하는 점만 제외하고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거의 비슷하다.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42)는 외부너트(33)에 브래킷(20)을 통해 연결되고, 볼트의 타단부에 내부너트(32)가 용접등으로 고착되므로, 내부너트(32)를 돌리면 볼트(42)가 외부너트(33)에 대해 회전하면서 핸들조립체 전체가 고정되게 된다.
도 12에는 이렇게 조립된 볼트지지구(60)의 개방부에 덮개를 장착한 상태가 측면도와 저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볼트지지구(60)에도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내부덮개(52)가 스냅결합되고, 이들 내부덮개(52)의 외측면에 직사각형 평판 형태의 기다란 하나의 외부덮개(54)가 볼트나 나사등으로 체결되어, 볼트지지구(60)의 개방부 전체를 가린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덮개(52)는 볼트지지구(60)의 내부공간(62) 천정에 형성된 암레일부에 내부덮개의 상단에 형성된 숫레일부가 서로 결합하는 방식이 가장 설치가 편리한 바람직한 방식이지만, 이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런 내부덮개(52)는 가능한 볼트(42)의 사이사이 배치되는 것이 좋다. 도 12B에 이 상태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두번째 실시예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핸들 조립체는 엘리베이터에 타는 승객이 손에 쥐기 편한 높이에 부착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의 천정의 조명을 약하게 하고, 하부만, 즉 승객의 하체 부분에 별도의 조명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대비하여, 본 발명자는 엘리베이터 손잡이에 별도의 조명장치를 장착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즉, 두번째 실시예로서 완성된 승객용 손잡이의 외부덮개(54) 밑에 형광등이나 꼬마전구 등의 조명기(70)를 설치하고, 내부공간과 브래킷을 통해 전원에 조명기를 연결하게 되면, 엘리베이터에 타는 승객의 얼굴쪽의 조명은 약하게 해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명기를 보호하기 위해, 조명기 둘레에는 빛이 투과되는 투광식 조명등 덮개(80)를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생산공장에서 엘리베이터 외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엘리베이터 손잡이를 결합하는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장식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결합상태가 단단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핸들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핸들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하부만 별도의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손잡이를 이용해 조명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엘리베이터의 손잡이에는 외측면에 장식필름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람의 손길이 빈번히 접촉되는 이런 장식필름은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접착면이 벗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개구부 안쪽으로 장식필름의 일단을 집어넣고 외부덮개에도 별도로 장식필름을 부착하고 필름의 양단을 덮개 안쪽으로 연장한 상태로 덮개를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접착필름의 접착이 시작되거나 끝나는 부분이 완전히 핸들 안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사람의 손길이 빈번히 닿아도 결코 접착필름이 벗겨지는 경우가 없게 되는 부수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 및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지지하기 위해 핸들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브라켓(2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을 통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핸들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사전에 부착된 다수의 외부너트(33);
    상기 관통공(3)을 통해 외부너트(33)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고, 조립상태에서 본체는 상기 브라켓(20)을 관통하며, 타단부가 브라켓을 관통해 돌출하는 볼트(42);
    상기 볼트(42)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내부너트(32);
    상기 볼트(42)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공간부에 길이를 따라 여러곳에 하나씩 설치되는 다수의 내부덮개(52); 및
    상기 다수의 내부덮개(52)에 체결되어 볼트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공간부 전체를 가리는 기다란 하나의 외부덮개(54);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상기 볼트 타단부에 고정된 내부너트를 회전시키면 내부너트와 일체로 볼트(42)가 회전하여 외부너트(33)에 대해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너트(32)가 볼트(42)의 타단부에 용접, 핀, 접착제 등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42)의 타단부가 상기 핸들의 내부공간으로 돌출하고, 상기 다수의 내부덮개(52)는 상기 핸들의 개방부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의 하단에 하부가 개방된 단면 역 U형의 볼트지지구(60)가 핸들(10)의 전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지지구(60)의 공간(62)으로 볼트(42)의 타단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부덮개(52)가 상기 핸들의 개방부에 스냅식으로 결합되고, 이들 내부덮개(52)에 상기 외부덮개(54)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덮개(54) 밑에 형광등이나 꼬마전구 등의 조명기(7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70)를 가리는 투광식 조명등 덮개(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1020040024797A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100561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797A KR100561966B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797A KR100561966B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995U Division KR200354625Y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652A KR20050099652A (ko) 2005-10-17
KR100561966B1 true KR100561966B1 (ko) 2006-03-22

Family

ID=3727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797A KR100561966B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92Y1 (ko) 2010-11-29 2012-06-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일체형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수평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2836A (ja) * 2011-05-06 2012-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かご手摺装置
KR101639165B1 (ko) * 2015-08-27 2016-07-12 윤일식 엘리베이터 핸드레일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92Y1 (ko) 2010-11-29 2012-06-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일체형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수평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652A (ko)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676B2 (en) Lighting fixture end cap
US20090002978A1 (en) Linear lighting system having a spinal structure and an optical system separately installable thereon
US10890316B2 (en) Lighting fixture with high structural integrity
KR101031790B1 (ko) 천장 매립형 led램프 체결구조
KR100561966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US6623138B1 (en) Ceiling fixture
KR200354625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US6669159B1 (en) Ceiling fixture
KR200422873Y1 (ko) 천장등 커버 결합장치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KR100567669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0308271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100568878B1 (ko) 장식장용 지지대와 그 조립방법
CA2518365A1 (en) Sign-type lighting fixture assembly
JP5700636B2 (ja) 照明ユニット
KR102160873B1 (ko) 다양한 구조물 형성이 가능한 조명등프레임용 접속 체결구
KR200308647Y1 (ko) 조명등 커버의 구조
KR200448450Y1 (ko)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KR102404221B1 (ko) 천장부착 조명등장치
KR200369645Y1 (ko) 천정등기구의 체결구
KR100676490B1 (ko) 천장 마감패널 설치용 너트홀더 및 체결너트
KR19990010808U (ko) U챤넬 앵커
JP3120508U (ja) 照明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326815Y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명등 커버
KR20080003423U (ko) 천장등 커버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