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50Y1 -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 Google Patents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450Y1
KR200448450Y1 KR2020090012751U KR20090012751U KR200448450Y1 KR 200448450 Y1 KR200448450 Y1 KR 200448450Y1 KR 2020090012751 U KR2020090012751 U KR 2020090012751U KR 20090012751 U KR20090012751 U KR 20090012751U KR 200448450 Y1 KR200448450 Y1 KR 200448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stener
ceiling
cover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수 filed Critical 박철수
Priority to KR2020090012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46Frameless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등을 구성하는 본체와 커버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을 시킬 수 있고 해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천정매입등에 비해 콤팩트한 크기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명기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는 것으로 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제1톱니부와 민무늬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지나 상기 고정구와 체결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제2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가 고정구에 삽입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천정등, 조명등, 천정매입등, 원터치, 톱니, 분리, 해체, 콤팩트

Description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CEILING LIGHT}
본 고안은 천정면에 삽입 설치되는 천정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정등을 구성하는 본체와 커버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을 시킬 수 있고 해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천정매입등에 비해 콤팩트한 크기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천정면 설치에 있어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두께를 가진 천정면에서의 설치가 가능한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 형광등과 같이 실내를 밝혀주기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조명등이 설치되는데, 단순히 천정면에 부착되는 조명등이 있는가 한편, 천정면에 일정 부분이 삽입되어 천정에 부착되는 소위 천정매입등이 있다.
특히, 천정매입등의 경우 먼저 천정의 설치면상에 형성된 장착공에 조명등의 본체를 끼운 후 다수의 체결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조명등 본체 내로 인입된 전선과 연결된 소켓 등에 조명등을 접속시킨 후 본체 개구부에 조명등 커버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된다.
특히, 천정매입등의 경우 조명등 커버를 본체에 결합시킴에 있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종래에는 개시된 바가 없는데,
즉, 천정면에 단순히 부착되는 조명등의 경우 조명등 본체 측면에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장착될 수 있어 이로 인해 본체와 커버의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으나,
천정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천정매입등의 경우에는 본체가 천정속으로 매입되어야 함에 따라 본체 측면에 이러한 장착 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다는 점에서
통상적으로는 천정면에 삽입된 본체의 상면에 커버를 위치시키고 볼트 등을 수단을 통해 이들을 결합시키거나 본체 상면에 커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 등과 같은 구조를 마련하여 이들을 결합시키곤 한다.
그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는 본체와 커버 조립 자체가 복잡하거나 이후 유지·보수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삽입홈 등과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본체와 커버를 결합하게 되는 경우, 이 또한 조립이 어렵고, 수 회 결합과 분리를 반복함에 따라 삽입홈 등의 구조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등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800호(2008.12.03) 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37241호(2007.11.08)가 개시된 바 있으 나,
상기 기술들은 종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으며,
특히 본 고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간결하면서도 이후 분리작업 또한 용이하고 그리고 체결력이 우수한 조명등 구조는 아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천정에 삽입된 천정등 본체에 커버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반대로 해체에 있어서도 간편한 방식으로 가능한 천정등을 얻고자 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원터치의 간편한 방식을 채택하면서도 본체와 커버 사이의 체결력이 보장되는 천정등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와 함께 기존 천정매입등에 비하여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한 천정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천정면에 대한 설치에 있어서도 천정면의 두께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가능한 천정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은,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명기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는 것으로 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제1톱니부와 민무늬부가 교번하 여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지나 상기 고정구와 체결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제2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가 고정구에 삽입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고정구 민무늬부는 체결구의 용이한 삽입과 인출을 위해 개구된 구조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고정구에 대한 체결구의 원치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톱니부에서의 톱니날은 상기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돌출형성된 후 내주면으로 평평하게 연결 마감되고,
상기 제2톱니부에서의 톱니날은 상기 외주면에서 평평하게 돌출형성된 후 외주면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결마감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본체 측면에는 천정면에 대한 장착을 위한 장착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공과,
상기 로드공을 관통하면서 로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편과, 상기 천정면에 걸쳐지는 걸림편을 구비한 걸착부와, 그리고
상기 걸착부의 체결편이 결합지지되어 본체 측면에 걸착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천정등 조립 및 설치 작업에 있어 기존 천정매입등에 비해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에 커버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면서도 이들의 분리 또한 간단한 회전을 통해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성이 좋아졌으며,
콤팩트한 구조의 천정매입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천정등을 천정에 매입·설치함에 있어 다양한 천정면 두께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이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천정면에 대한 설치 작업성이 좋아졌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천정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커버(20)와, 상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0)과, 그리고 천정면으로의 장착을 위한 장착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조명기구(L)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형태이고, 도면에서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형상에 있어서는 최종 원하는 천정등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조명기구와 관련하여, 원 형태를 가진 조명기구 또는 일자 형태를 가진 조명기구 모두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일자 형태의 조명기구(L)는 이하 설명될 결합수단의 구조로 인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설치가 가능해졌기에, 그 만큼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기존 천정매입등에 비해 보다 콤팩트한 구조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본체 외곽으로는 확장턱(110)이 구비되어 천정면에 삽입·설치되는 경우, 천정면의 천공된 부분의 경계를 가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게 되는 것으로, 가운데 부분에 통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의 형성 위치는 가운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설명되는 장착수단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커버(20)는 본체 내부에 구비된 조명기구에서 발하는 빛을 실내 공간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게 되는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확장턱(110)까지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0)을 살펴본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수단은, 본체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구(310)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어 커버를 본체에 고정시키게 되는 체결구(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구(310)에 대한 체결구(320)의 삽입은,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210)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310)는 본체 저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기에 볼트를 통한 고정작업을 하기 위한 설치면(310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면 상부로 측면(310b)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310b)의 내주면에는 체결구와의 결합을 위한 제1톱니부(313)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톱니부가 상기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310b)의 내주면에는 제1톱니부(313)와 제1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민무늬부(315)가 교번하여 형성되게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민무늬부에 해당되는 측면은 면 자체가 없는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의 제1톱니부(313)와 맞물려 결합되게 되는 체결구(320)는 상기 제1톱니부와 맞물림이 가능한 형상으로,
제1톱니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톱니부(323)가 구비되어 있는 측 면(320b)과, 상기 측면의 상단과 연결형성되어 외측으로 확정된 면으로 상기 고정구의 측면 상단을 덮어주는 마감면(320a)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톱니부(313)와 제2톱니부(323)를 구성하는 톱니날(313a, 323a)과 관련하여, 삽입 체결된 고정구에 대한 체결구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톱니부에 구비된 톱니날(313a)은 고정구 측면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돌출형성된 후 고정구 측면으로 평평하게 연결마감되고,
제2톱니부에 구비된 톱니날(323a)은 체결구 측면 외주면에서 평평하게 돌출형성된 후 체결구 측면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결마감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톱니날이 형성되게 되면, 고정구(310)에 대한 체결구(320)의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일단 삽입된 후에는 체결구가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320)를 고정구(3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체결구에 형성된 제2톱니부(323)를 고정구의 민무늬부(315)로 이동시켜 톱니날끼리의 맞물림을 해지시킨 후 체결구(320)를 잡아당기면 고정구(310)로부터 체결구(320)가 분리되어 본체로부터 커버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구의 민무늬부(315)는 면이 없는 개구된 형태로 되어 있어, 체결구의 제2톱니부(323)가 민무늬부(315)의 위치로 회전되게 되면 제2톱니부는 전혀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어 이후의 고정구(310)에서 체결구(32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제1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민무늬부(315)의 개구 형태는,
앞서 설명되었던 일자형 조명 기구를 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줌과 동시에 체결구가 고정구의 제1톱니부에 간섭받지 않고 손쉽게 분리 이탈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전선 연결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 영역을 확보해주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제1톱니부가 형성된 고정구 측면(310b)의 지지력 보강을 위해
상기 측면 외주면에는 보강살(60)이 구비되어 이를 설치면(310a)까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310b)의 두께 또한 설치면(310a)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구(320)의 측면 내주면으로는 반사갓(5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조명기구로부터 발하는 빛을 반사시켜 실내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할로겐 램프 또는 수직방향으로 일자형 조명기구가 설치되는 경우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결합수단은 도면 등을 참고시 천정매입등에 한정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이러한 장착수단의 구성은 천정매입등에 한정될 필요가 없이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천정등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천정면에 상기 본체를 장착시킬 수 있는장착수단(40)을 살펴보면,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10)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공(410)과,
상기 로드공을 관통하면서 로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편(423)과, 상기 천정면에 걸쳐지는 걸림편(425)을 구비한 걸착부(420)와, 그리고
상기 걸착부의 체결편(423)이 결합지지되어 본체 측면에 걸착부(420)를 고정시키는 지지부(43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걸착부(420)를 살펴보면, 체결편(423)은 걸착부 일면을 따서 형성된 구조인 것으로 상기 로드공(410)을 통과하여 본체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본체 내측에서 상기 지지부(430)가 결합되어 걸착부(420)를 지지·고정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30)에는 상기 체결 편(423)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431)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공이 형성된 일단에는 "ㄱ"자로 굽어진 받침부(433)가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손잡이부(435)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는 한 손으로는 지지부의 손잡이부(435)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걸착부(42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걸착부의 체결편(423)을 로드공(410)과 지지부의 삽입공(431)으로 관통시키고, 이후 상기 로드공(410)을 따라 걸착부(420)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부(435)를 본체 내주면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되면 상기 받침부(433)가 본체 내주면과 접하게 되면서 걸착부(420)를 본체의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수단에 의하면 로드공을 따라 원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천정면의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천정매입등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걸착부의 걸림편(425)과 지지부(430)로 장착수단을 본체에 고정시킨 후, 상기 본체를 천공된 천정으로 힘을 주어 삽입시키게 되면,
본체 외주 측면에 구비되는 걸착부의 걸림편(425)이 천정을 관통하는 순간에는 일자로 접혀졌다가 이를 통과하게 되면 탄성에 의해 복구되면서 걸림편에 의해 천정면에 본체가 간단히 걸쳐지게 된다.
이후, 천정면에 장착된 본체(1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의 손잡이부(435)를 상기 회전시켰던 반대 방향 즉 본체 내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본체 측면에 걸착부를 고정·지지해주던 받침부(433)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천정면으로부터 본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 내지 구성을 갖는 천정등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아래 기재된 청구범위의 요지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고정구와 체결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c 및 2d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체결구가 고정구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장착수단에 의해 천정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0: 확장턱
20: 커버 210: 통공
30: 결합수단 310: 고정구 310a: 설치면 310b: 측면
313: 제1톱니부 315: 민무늬부
320: 체결구 320a: 마감면 320b: 측면
323: 제2톱니부
40: 장착수단 410: 로드공
420: 걸착부 423: 체결편 425: 걸림편
430: 지지부 431: 삽입공 433: 받침부 435: 손잡이부
50: 반사갓 60: 보강살

Claims (4)

  1.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명기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는 것으로 통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제1톱니부와 민무늬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통공을 지나 상기 고정구와 체결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제2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가 고정구에 삽입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의 민무늬부는 체결구의 용이한 삽입과 인출을 위해 개구된 구조이며,
    상기 본체 측면에는 천정면에 대한 장착을 위한 장착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공과,
    상기 로드공을 관통하면서 로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편과, 상기 천정면에 걸쳐지는 걸림편을 구비한 걸착부와, 그리고
    상기 걸착부의 체결편이 결합지지되어 본체 측면에 걸착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져, 다양한 두께를 가진 천정면에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부에서의 톱니날은 상기 내주면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돌출형 성된 후 내주면으로 평평하게 연결 마감되고,
    상기 제2톱니부에서의 톱니날은 상기 외주면에서 평평하게 돌출형성된 후 외주면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결마감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4. 삭제
KR2020090012751U 2009-09-29 2009-09-29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KR200448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51U KR200448450Y1 (ko) 2009-09-29 2009-09-29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51U KR200448450Y1 (ko) 2009-09-29 2009-09-29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450Y1 true KR200448450Y1 (ko) 2010-04-13

Family

ID=4422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751U KR200448450Y1 (ko) 2009-09-29 2009-09-29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082A1 (de) * 2011-10-27 2013-05-15 Wila Group Ltd Lampenhalter für eine einbauleuch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275Y1 (ko) 2005-04-19 2005-07-07 김창덕 센서등의 일체형 센서와 커버 고정장치
KR200437241Y1 (ko) 2006-11-20 2007-11-16 이효원 조명등 구조
KR20080005800U (ko) * 2007-05-28 2008-12-03 이효원 천정용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20090007024U (ko) * 2008-01-07 2009-07-13 태주공업 주식회사 할로겐 램프의 커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275Y1 (ko) 2005-04-19 2005-07-07 김창덕 센서등의 일체형 센서와 커버 고정장치
KR200437241Y1 (ko) 2006-11-20 2007-11-16 이효원 조명등 구조
KR20080005800U (ko) * 2007-05-28 2008-12-03 이효원 천정용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20090007024U (ko) * 2008-01-07 2009-07-13 태주공업 주식회사 할로겐 램프의 커버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082A1 (de) * 2011-10-27 2013-05-15 Wila Group Ltd Lampenhalter für eine einbauleuchte
AT512082B1 (de) * 2011-10-27 2013-07-15 Wila Group Ltd Lampenhalter für eine einbauleuch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2651B1 (en) Modular LED light Fixture
KR200413111Y1 (ko)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KR100719082B1 (ko)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200448450Y1 (ko)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등
KR100626978B1 (ko) 조명등용 체결구
KR200466702Y1 (ko) 천장 매입형 등기구
KR101709747B1 (ko) 마감패널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천장 및 벽면 마감장치
KR200430712Y1 (ko) 천장등
KR100766336B1 (ko) 할로겐램프 매입용 고정부재
KR200417464Y1 (ko) 조명기기의 결합구조
KR20170002927U (ko)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어셈블리
KR101221654B1 (ko) 걸이식 조명커버를 갖는 매달림 천장등
KR200404569Y1 (ko) 천장 매립등용 지지장치
KR200413096Y1 (ko) 전등커버의 용이한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400245Y1 (ko) 조명기구
KR200411955Y1 (ko) 천정등
KR102404221B1 (ko) 천장부착 조명등장치
KR200449561Y1 (ko) 천장조명등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080004082U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KR10085431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KR200417065Y1 (ko) 조명기구
KR20130107410A (ko) Led 다운라이트 장치
KR200305050Y1 (ko) 천정 조명기구용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