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505Y1 - 자동납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납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505Y1
KR200369505Y1 KR20-2004-0024988U KR20040024988U KR200369505Y1 KR 200369505 Y1 KR200369505 Y1 KR 200369505Y1 KR 20040024988 U KR20040024988 U KR 20040024988U KR 200369505 Y1 KR200369505 Y1 KR 200369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main body
air passage
discharge port
automatic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철
Original Assignee
문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철 filed Critical 문현철
Priority to KR20-2004-0024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5Bits 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46Solder baths
    • B23K3/0653Solder baths with wave generating means, e.g. nozzles, jets, 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땜 작업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장치 본체에서 흡수하여 후방으로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배기라인을 끌어오거나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에 납배출구(10)가 구비된 본체(12)와, 상기 납배출구(10)에 근접되도록 본체(12)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인두팁(14)과, 상기 본체(12) 하부에 에어통로(16)가 형성되도록 본체(12) 내부를 상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구획판(18)과, 상기 구획판(18) 상부에 설치되며 납(20)이 권취되는 권취롤(22)과, 상기 권취롤(22)과 납배출구(10) 사이에 설치되며 모터(24)에 축결되어 회전되면서 납(20)을 상기 납배출구(10)측으로 전진시키는 납인출롤러(26)와, 상기 에어통로(16)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인두팁(14)에 의해 납(20)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에어통로(16)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28)과, 상기 에어통로(16) 후방에 구비되어 에어통로(16) 내부로 흡입된 유해가스를 본체(12)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납땜장치{Automatic soldering device}
본 고안은 자동납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납땜 작업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자동납땜장치에서 흡수하여 후방으로 배출함으로써 작업환경이 개선되며, 장치 전면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납땜장치는 모터에 의해 납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납땜을 실시하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납땜장치는 대개 사용자가 발로 풋스위치를 조작하여 납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양손으로 피접합물을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납땜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작업 편이성을 제공하며, 보다 신속한 납땜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납땜작업시 피접합물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여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플럭스가 사용된다. 종래 인두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납땜작업을 할 경우, 인두팁 끝에 플럭스를 묻혀 사용하기도 하나, 대개 상기와 같은 자동납땜장치를 이용할 경우, 내부에 플럭스가 함유된 납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럭스가 함유된 납을 사용할 때, 플럭스가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유해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유해가스는 작업자의 피부발진 또는 작업성 천식 등을 유발하게 되므로, 유해가스를 환기시키는 적절한 환기수단이 요구된다.
대부분 대규모 생산라인을 갖춘 공장에는 공장 내 별도의 배기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이 배기라인에서 납땜 작업자의 인근으로 주름관을 연결하여 납땜 작업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주름관을 통해 흡입하여 배기라인으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배기라인의 설치비 및 자동납땜장치가 배치된 개소마다 주름관을 연결하는 시설비 등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주름관으로 인해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배기라인을 갖추기 어려운 소규모 공장에서는 작업자에게 유해가스가 그대로 전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작업자가 선풍기 등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차단하고 있으나, 선풍기의 바람으로 인해 피접합물이 제 위치에 고정되지 않거나 작업자의 호흡장애 및 눈의 피로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자동납땜장치는 작업자가 본체 전방을 향하여 작업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납의 인출속도 및 인출시간 등을 조절하는 컨트롤패널이 본체 전방에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납땜작업시 플럭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컨트롤패널에 고착되어 컨트롤패널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수시로 컨트롤패널을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납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납땜장치 본체에서 납땜작업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후방으로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배기라인을 설치하거나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컨트롤패널이 본체 측방으로 절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시 컨트롤패널을 접어둠으로써, 컨트롤패널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납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납땜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환풍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납배출구 12. 본체
14. 인두팁 16. 에어통로
18. 구획판 20. 납
22. 권취롤 24. 모터
26. 납인출롤러 28. 흡입팬
30. 배출구 32. 배출팬
34. 연결관 36. 조절버튼
38. 컨트롤패널 40. 힌지수단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에 납배출구(10)가 구비된 본체(12)와, 상기 납배출구(10)에 근접되도록 본체(12)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인두팁(14)과, 상기 본체(12) 하부에 에어통로(16)가 형성되도록 본체(12) 내부를 상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구획판(18)과, 상기 구획판(18) 상부에 설치되며 납(20)이 권취되는 권취롤(22)과, 상기 권취롤(22)과 납배출구(10) 사이에 설치되며 모터(24)에 축결되어 회전되면서 납(20)을 상기 납배출구(10)측으로 전진시키는 납인출롤러(26)와, 상기 에어통로(16)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인두팁(14)에 의해 납(20)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에어통로(16)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28)과, 상기 에어통로(16) 후방에 구비되어 에어통로(16) 내부로 흡입된 유해가스를 본체(12)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30)에는 배출팬(32)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30)에는 건물 내 배기라인에서 연장되는 연결관(3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2) 측방에는 상기 모터(24)의 속도 및 구동시간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버튼(36)이 구비된 컨트롤패널(38)이 힌지수단(40)을 매개로 결합되어, 컨트롤패널(38)이 힌지수단(40)에 의해 본체(12) 측면으로 절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납땜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납땜장치는 대략 박스 형상의 본체(12) 전방에 납배출구(10)가 구비되며, 이 납배출구(10)에 근접되어 본체(12) 전방으로 인두팁(14)이 돌출 배치된다. 인두팁(14)은 별도의 인두장치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으며, 본체(12) 내부의 전원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인두팁(14)은 인두팁 거치대(42)에 고정 설치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두팁 거치대(74)에는 피접합물의 종류에 따라 인두팁(14) 단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조절노브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2) 내부에는 상하부 공간을 구획하여, 하부에 에어통로(16)를 형성하도록 구획판(18)이 설치된다. 이 구획판(18)의 상면에는 납(20)이 권취되는 권취롤(22)과, 이 권취롤(22)과 납배출구(10) 사이에서 납(20)을 가압하여 전진시키는 납인출롤러(26)가 설치된다. 납인출롤러(26)는 한 쌍의 롤러가 납(20)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에는 모터(24)가 축결된다. 이때,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터(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8)의 하부에 볼트 결합된다. 그리고, 모터(24)의 회전축이 구획판(18)을 관통하여 납인출롤러(26)와 축결합된다. 또한, 구획판(18)의 하부에는 모터(24)의 구동회로가 설계된 PCB(44)가 장착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환풍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체(12) 내부에서 구획판(18)에 의해 구획되는 하부 공간은, 다시 격벽(46)에 의해 모터(24) 및 PCB(44)가 장착되는 공간과 에어통로(16)로 구획된다. 이 에어통로(16)의 전방, 즉, 본체(12)의 전면 하부에는 납땜작업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에어통로(16)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28)이 설치된다. 그리고, 에어통로(16)의 후방에는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30)가 구비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46)이 본체(12)의 후방을 향해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에어통로(16)의 흡입구에 비해 배출구(30)가 협소해져, 유해가스의 배출을 보다 촉진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0)에는 배출팬(32)이 추가로 장착되어, 유해가스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0)에는 공장 내 배기라인에서 연장되는 연결관(34)이 결합되어, 유해가스가 건물내 배기라인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납(20)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작동은 통상의 자동납땜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12)에서 연장되는 풋스위치(48) 또는 본체(12) 일측에 구비되는 입력스위치를 입력하는 동안, PCB(44)에 설계된 구동회로가 모터(24)를 구동시켜 납(20)을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2)의 측방에는 상기 모터(24)의 속도 및 구동시간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버튼(36)이 구비된 컨트롤패널(38)이 힌지수단(40)을 매개로 결합된다. 이 컨트롤패널(38)은 힌지수단(40)에 의해 본체(12) 측면으로 절첩된다. 이러한 구조의 컨트롤패널(38)에 따르면, 작업초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8)을 본체(12)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절버튼(36)을 눌러 모터(24)의 속도 및 구동시간을 원하는 세팅값으로 조정하고, 납땜작업을 진행할 때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8)을 본체(12) 측면으로 접어둘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납땜작업시 플럭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컨트롤패널(38)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납(20)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작동은 통상의 자동납땜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12)에서 연장되는 풋스위치(48) 또는 본체(12) 일측에 구비되는 입력스위치를 입력하는 동안, PCB(44)에 설계된 구동회로가 모터(24)를 구동시켜 납(20)을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납땜장치는 본체(12) 하부에 구획판(18)에 의해 구획된 에어통로(16)를 구비하고, 이 에어통로(16) 전방에 흡입팬(28)을 설치하여, 납땜작업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본체(12) 내부의 에어통로(16)를 통해 후방의 배출구(30)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배기라인을 설치하거나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출구(30)에 배출팬(32)을 설치하여 유해가스의 배출을 촉진할 수도 있으며, 배출구(30)에 공장 내 배기라인에서 연장되는 연결관(34)을 연결하여 배기라인으로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38)이 본체(12) 측방으로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납땜작업 중 컨트롤패널(38)을 본체(12) 측면으로 접어둠으로써, 작업시 플럭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컨트롤패널(38)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에어통로를 형성하고 에어통로 전방에 납땜작업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에어통로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을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배기라인을 작업대 인근까지 끌어올필요가 없으며 작업공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자동납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이 본체 측방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중 컨트롤패널을 본체 측면으로 접어둠으로써, 납땜작업시 발생되는 이물질로부터 컨트롤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전방에 납배출구(10)가 구비된 본체(12)와, 상기 납배출구(10)에 근접되도록 본체(12)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인두팁(14)과, 상기 본체(12) 하부에 에어통로(16)가 형성되도록 본체(12) 내부를 상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구획판(18)과, 상기 구획판(18) 상부에 설치되며 납(20)이 권취되는 권취롤(22)과, 상기 권취롤(22)과 납배출구(10) 사이에 설치되며 모터(24)에 축결되어 회전되면서 납(20)을 상기 납배출구(10)측으로 전진시키는 납인출롤러(26)와, 상기 에어통로(16)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인두팁(14)에 의해 납(20)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에어통로(16)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28)과, 상기 에어통로(16) 후방에 구비되어 에어통로(16) 내부로 흡입된 유해가스를 본체(12)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0)에는 배출팬(32)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0)에는 건물 내 배기라인에서 연장되는 연결관(3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 측방에는 상기 모터(24)의 속도 및 구동시간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버튼(36)이 구비된 컨트롤패널(38)이 힌지수단(40)을 매개로 결합되어, 컨트롤패널(38)이 힌지수단(40)에 의해 본체(12) 측면으로 절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납땜장치.
KR20-2004-0024988U 2004-09-01 2004-09-01 자동납땜장치 KR200369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988U KR200369505Y1 (ko) 2004-09-01 2004-09-01 자동납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988U KR200369505Y1 (ko) 2004-09-01 2004-09-01 자동납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505Y1 true KR200369505Y1 (ko) 2004-12-04

Family

ID=4944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988U KR200369505Y1 (ko) 2004-09-01 2004-09-01 자동납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729B1 (ko) * 2011-12-29 2013-12-06 손만호 납땜용 박스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729B1 (ko) * 2011-12-29 2013-12-06 손만호 납땜용 박스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2791A1 (en) Auxiliary exhaust structure and method therfor
JP4240115B2 (ja) 空気調和機
MY150951A (en) Air conditioner
KR20060023457A (ko) 공기청정기
JP2006183996A (ja) 空気調和機
KR200369505Y1 (ko) 자동납땜장치
KR20080008652A (ko) 인쇄회로기판용 분진 제거 장치
JP2004504152A (ja) レーザマーキング機械において塵および煙霧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6183997A (ja) 空気調和機
WO2007107034A1 (fr) Structure d&#39;aspiration d&#39;appoint, et procédé correspondant
KR200395099Y1 (ko) 바이오 세이프티 배기형 크린벤치
JP4551984B2 (ja) 卓上型換気装置
CN217608217U (zh) 一种平面电机联动高速旋转电阻贴片机
JP3030631B1 (ja) 局所排気装置
KR200259803Y1 (ko) 납연 제연기
JP2003214675A (ja) 内部陰圧式清浄作業台
JPH08168623A (ja) 溶接ヒューム集塵装置
JP200122149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700799B2 (ja) ドラフトチャンバ
KR102499647B1 (ko) 후드캡 청소기능을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8652549U (zh) 一种环保安全型vhp空间灭菌设备
JPH11156133A (ja) 熱切断加工機の集塵装置
CN216937609U (zh) 高效手自一体精密涂覆加工设备
KR19980010748U (ko) 슬래그 및 분진제거장치
JP2552295Y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