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218Y1 -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Google Patents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9218Y1 KR200369218Y1 KR20-2004-0025778U KR20040025778U KR200369218Y1 KR 200369218 Y1 KR200369218 Y1 KR 200369218Y1 KR 20040025778 U KR20040025778 U KR 20040025778U KR 200369218 Y1 KR200369218 Y1 KR 20036921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flange
- pipe
- mounting member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수관과 양변기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그 양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바닥에 평행하게 시공하여 종래에 화장실 바닥을 수직으로 구멍을 관통하여 배관할 때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는, 안내관 일단부에 형성된 마운팅부재가 양변기의 배출구에 체결고정되고 안내관의 타단부는 정화조의 집수관과 파이프로 연결되어 양변기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안내하는 양변기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을 절곡된 곡관형태로 구성하여, 그 타단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양변기가 설치되는 바닥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이 다가구가 생활하는 대형 건물의 화장실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집수관에 각 층 화장실의 양변기를 연결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운팅부재와 인접되게 안내관을 절곡하여 이 안내관과 정화조의 집수관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그 양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바닥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화장실 바닥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아래층까지 연장되게 배관하는 시공법의 많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비롯한 대형 건물의 화장실 배관구조는 정화조와 연결된 집수관이 건물 벽체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각 층의 화장실에 설치된 각각의 양변기는 상기 집수관과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화장실 배관은 각 층의 양변기에서 배출되는 분뇨가 상기 집수관을 통해 정화조로 운반되므로, 각 층에서 양산되는 많은 화장실 분뇨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대형 빌딩의 각 층의 화장실 배관구조 중 어느 한 층의 화장실 배관을 보이고 있다.
화장실 벽체(1) 외부에 집수관(2)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각 층의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양변기(3)는 플랜지(4) 및 파이프(5)에 의해 상기 집수관(2)과 연결된다.
상기 양변기(3)와 파이프(5)를 연결하는 종래의 플랜지(4)는 직선형태로 구성되어 그의 출구가 하향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그와 연결된 파이프(5)를 화장실 바닥층을 관통하여 아래층으로 연장시킨 후 엘보우(6)를 이용하여 직각으로 배관되게 하여 집수관(2)에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화장실 배관구조는 파이프(5)가 화장실 바닥층(1a)을 관통한 다음 아래층의 측벽(1b)을 관통한 후 집수관(2)에 연결되므로, 각 층의 화장실 바닥층(1a)과 아래층의 측벽(1b)에 구멍(1a-1)(1b-1)을 관통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번거로움은 공수 증가의 원인이 되어 건물 시공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화장실 바닥층(1a)에 형성되는 구멍(1a-1)은 아래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므로 위층의 소음을 아래층에 전달하는 주원인이 되었다.
예컨대, 상기 구멍(1a-1)은 윗층의 화장실 사용 후 양변기를 세척하는 물소리를 크게 들리게 하는 등 화장실에서 발생된 소음을 아래층으로 전달하여 건물의 질을 낮추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구멍(1a-1)을 통해 아래층으로 연장된 파이프(5)의 높이가 대략 50㎝정도 이상이 되므로 각 층의 각 호실마다 불필요하게 파이프(5)가 사용되고, 또한 상기 아래층으로 연장된 파이프(5)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도 1과 같이 차음재(7) 등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자재 낭비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차음재(7) 시공에 따른 공수가 증가는 물론이고 차음재(7) 사용으로 인해 천정의 높이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수관(2)과 양변기(3)를 연결하는 파이프(5)가 2개의 구멍(1a-1)(1d-1)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들의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별도의 편심보정용 마운팅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파이프(5)를 양변기(3)에 연결해야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화장실 바닥층(1a)에 형성된 구멍(1a-1)은 파이프(5)를 관통시킨 후 매립하여 방수처리하게 되는데, 방수처리가 완벽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멍(1a-1)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여 추후에 방수공사를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고, 이는 현실적인 소음문제와 함께 가장 중요하게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화장실 배관구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마운팅부재와 인접되게 안내관을 절곡하여 이 안내관과 정화조의 집수관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그 양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바닥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화장실 바닥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아래층까지 연장되게 배관하는 시공법의 많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는, 안내관 일단부에 형성된 마운팅부재가 양변기의 배출구에 체결고정되고 안내관의 타단부는 정화조의 집수관과 파이프로 연결되어 양변기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안내하는 양변기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을 절곡된 곡관형태로 구성하여, 그 타단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양변기가 설치되는 바닥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 플랜지를 이용하여 양변기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양변기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양변기 설치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플랜지 시공 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11은 도 9의 플랜지 시공 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고정편을 이용하여 양변기 설치상태를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랜지 11 : 안내관
12 : 마운팅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의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10)는 안내관(11) 일단부에 형성된 마운팅부재(12)가 양변기(3)의 배출구에 체결고정되고 안내관(11)의 타단부는 정화조의집수관(2)과 파이프(13)로 연결되어 양변기(3)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10)는 정화조의 집수관(2)과 각층의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3)를 파이프(13)로 연결할 때 상기 파이프(13)를 양변기(3)가 설치되는 그 화장실 바닥에 놓여진 상태로 배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10)는 상기 안내관(11)을 절곡된 곡관형태로 구성하여, 그 타단부에 연결된 파이프(13)를 양변기(3)가 설치되는 바닥(1a)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안내관(11)은 상기 마운팅부재(12)와 연통된 상태로 절곡되어, 양변기(3)에 배출되는 분뇨를 집수관(2)으로 전달하는 안내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단부에 파이프(13)가 연결된다.
이러한 안내관(11)은 파이프(13)의 매립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운팅부재(12)로부터 근접되게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내관(11)이 마운팅부재(12)와 인접된 위치에서 절곡되지 않고 마운팅부재(12)에서부터 일정길이 더 연장된 상태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면 그 연장된 길이만큼 높이가 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높이가 큰 플랜지를 모르타르(M)를 이용하여 화장실 바닥(1a)에 매립할 때 매립높이도 당연히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마운팅부재(12) 바로 근처에서 안내관(11)이 절곡되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매립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관(11)의 절곡 각도는 양변기(3)가 바닥면(1a)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됨을 감안하여 마운팅부재(1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안내관(11)의 절곡된 단부 길이는 취급의 편리성과 조립성을 감안하면 너무 길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관(11) 단부에 형성된 마운팅부재(12)는 양변기 저면에 직접 밀착고정되는데,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양변기(3) 출구와 대응되게 유로(14)가 관통되며, 이 유로(14)의 외측에는 분뇨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O-링(15)을 수납하는 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재(12)는 상기 홈(16)의 양외측에 테두리 외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 1,2고정편(17)(18)이 된다.
상기 제 1고정편(17)은 마운팅부재(12)를 양변기에 체결하기 위해 양변기(3)에서 삽입된 보울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이상의 체결공(17a)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17a)은 3개가 구비되어 보울트(B)가 임의의 위치에 체결되도록 하여 체결을 용이토록 하였다.
상기 제 2고정편(18)은 상기 제 1고정편(17) 사이의 양측 테두리 단부에 보울트(B)가 관통되는 슬롯(18a)이 형성되고, 이 슬롯(18a) 하부에는 상기 보울트(B)의 머리(H)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8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2고정편(18)은 제 1고정편(17)과 함께 보울트(B) 체결에 의해 마운팅부재(12)를 양변기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종류의 양변기를 감안한 것으로, 제 1고정편(17)을 이용할 수 없는 양변기에 상기 제 2고정편(18)을 이용하여 플랜지(10)와 양변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보울트 머리(H)를 공간부(18b)에 삽입하게 되면 보울트(B) 몸체가 슬롯(18a)을 관통하여 양변기(3)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이 몸체에 너트를 체결하게 되면 4각형상을 갖는 머리(H)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도 12와 같이 마운팅부재(12)와 양변기(3)를 체결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편(18)은 공간부(18b)에 수용된 보울트 머리(H)가 너트로 체결할 때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공간부(18b) 양측에는 보강리브(19)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9)는 보울트 머리(H)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제 2고정편 및 안내관(11)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고정편(18)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10)는 화장실 바닥에 마운팅부재(12)를 모르타르(M)로 매립시공할 때 마운팅부재(12)가 상방향으로 바르게 위치되고, 양생된 모르타르(M)에서 빠지지 않도록 마운팅부재(12) 하부 양측에 지지대(20)가 더 연장된다.
상기 지지대(20)는 그 저면을 안내관 하부와 일치되게 하면 설치시 마운팅부재(12)가 항상 상방방으로 위치되므로 배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20)는 바닥에 타설된 모르타르에 지지되어 마운팅부재(12)를상방향으로 바르게 위치시키게 되는데, 모르타르(M)로 매립할 때 모르타르(M)가 넓은 면적으로 견고하게 양생될 수 있도록 그 양측면에 톱니형상의 요철부(20a)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0)는 마운팅부재(12) 하부에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 1고정편(17)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20) 내부에는 체결공(17a)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10)는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보울트(B)를 제 1고정편(17)의 체결공(17a)에 체결하여 마운팅부재(12)를 양변기(3) 저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안내관(11) 단부가 집수관(2)을 향하게 되는데, 이후 상기 안내관(11)과 집수관(2)을 파이프(13)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13)는 화장실 바닥에 배관되고, 이후 모르타르(M)를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13)를 매립한 다음 그 모르타르(M)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양변기의 배관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마운팅부재(12)가 보울트(B)에 의해 양변기(3)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마운팅부재(12)와 연통된 안내관(11)은 마운팅부재(12)와 근접된 상태로 교차되게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실 바닥에 놓여진 상태로 배관되므로, 상기 안내관(11)과 집수관(2)을 연결하는 파이프(13)를 화장실 바닥에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화장실 바닥층(1a)에 구멍(1a-1)을 뚫어 파이프(13)를배관하는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플랜지(10)에 의해 화장실 바닥층(1a)에 배관된 파이프(13)는 배관 후 모르타르(M)에 의해 매립되고 바닥에 시공된 타일에 의해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플랜지는 타일이 시공되기 전 건물의 화장실 바닥에 간단한 방법으로 시공되어 집수관과 양변기를 연결하게 되고, 이후 타일에 덮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배관공법의 단점으로 지적된 화장실 바닥층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우수한 차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구멍을 뚫기 위한 불필요한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누수로 인한 보수공사나 점검시 아래층에 피해없이 유지 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집수관과 양변기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아래층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파이프의 사용을 줄이고, 차음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아래층의 천정 배관시 파이프를 지지하는 행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래층의 천정에 배수파이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천정의 미관을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배수파이프로 인하여 천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안내관 일단부에 형성된 마운팅부재가 양변기의 배출구에 체결고정되고 안내관의 타단부는 정화조의 집수관과 파이프로 연결되어 양변기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안내하는 양변기 플랜지에 있어서,상기 안내관을 절곡된 곡관형태로 구성하여, 그 타단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양변기가 설치되는 바닥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는, 파이프의 매립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내관이 마운팅부재로부터 근접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테두리 양측 단부에 보울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1고정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제 1고정편 사이의 양측 테두리 단부에 보울트가 관통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이 슬롯 하부에는 상기 관통된 보울트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에 보강리브를 갖는 공간부가 구비된 제 2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제 1항에 있어서, 화장실 바닥에 마운팅부재가 노출되도록 매립시공할 때 마운팅부재가 상방향으로 바르게 위치될 수 있도록 마운팅부재 하부 양측에 지지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제 1고정편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5778U KR200369218Y1 (ko) | 2004-09-08 | 2004-09-08 |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5778U KR200369218Y1 (ko) | 2004-09-08 | 2004-09-08 |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1507A Division KR20060023102A (ko) | 2005-01-07 | 2005-01-07 |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9218Y1 true KR200369218Y1 (ko) | 2004-12-03 |
Family
ID=4935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5778U KR200369218Y1 (ko) | 2004-09-08 | 2004-09-08 |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9218Y1 (ko) |
-
2004
- 2004-09-08 KR KR20-2004-0025778U patent/KR20036921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12983B2 (ja) | 床排水設備および床排水管を有する建築構造体 | |
US8001629B2 (en) | Floor drain and sanitary installation with such a floor drain, and method of fitting such a sanitary installation | |
US6443495B1 (en) | Multiple level floor flang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 |
CA2661387C (en) | Off-set carrier | |
KR101218810B1 (ko) |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 |
KR100967788B1 (ko) |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 |
KR200369218Y1 (ko) |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
KR20060023102A (ko) |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 |
JP4863899B2 (ja) | 建物の排水システムおよび建物の排水システムの施工方法 | |
KR200437343Y1 (ko) | 공동주택의 욕실 배관구조 | |
KR101135564B1 (ko) |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 |
KR20170002282U (ko) |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 |
JP4849239B2 (ja) | 浴室ユニット | |
JPH04285219A (ja) | 浴槽の排湯構造 | |
KR200480115Y1 (ko) |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 |
GB2463070A (en) | Device for reinforcing a joist | |
CN211774419U (zh) | 一种卫生间隐藏式排水结构 | |
US11655621B2 (en) | Flat drain for showers | |
JP5037321B2 (ja) | 排水ヘッダー | |
JP4238149B2 (ja) |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集水ます | |
JP3970059B2 (ja) | 排水管と排水桝との接続構造 | |
FI75017C (fi) | Avloppssystem isynnerhet foer vaotutrymmen. | |
JP5725436B2 (ja) | 建物における配管用構造体 | |
JP2002070104A (ja) | 配管部材の接続構造 | |
JP5322779B2 (ja) | 建物ユニットのトイレ構造及び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J210 |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1202 Effective date: 20061017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