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967Y1 -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 Google Patents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967Y1
KR200368967Y1 KR20-2004-0024203U KR20040024203U KR200368967Y1 KR 200368967 Y1 KR200368967 Y1 KR 200368967Y1 KR 20040024203 U KR20040024203 U KR 20040024203U KR 200368967 Y1 KR200368967 Y1 KR 200368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urine
female
passage member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이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희 filed Critical 이태희
Priority to KR20-2004-0024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6Portable urination aids, e.g. to allow females to urinate from a stand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신체 부위와 보다 긴밀하고 편안하게 접촉하도록 한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 통로를 갖도록 형성한 통로부재의 넓은 쪽에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부재의 좁은 쪽에 토출부를 형성한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에 있어서, 여성의 신체 부위와 긴밀히 접촉하도록 상기 접촉부의 상부접촉면은 중앙으로부터 통로부재 양측의 절첩선까지 오목한 곡면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의 상부접촉면과 하부접촉면 사이는 사용시에 상호 각이 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접촉부 부분을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여성의 신체에 긴밀하고 안정감 있게 접촉하고, 소변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덮개 및 선단 보조덮개를 부착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재료비를 줄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Standing type device urinating for woman}
본 고안은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신체 부위와 보다 긴밀하고 편안하게 접촉하도록 한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대,소변을 해결하기 위한 양변기 또는 좌변기가 구비되어 있는데, 특히 좌변기에서 여성이 소변을 보려고 하는 경우에는 좌변기의 시트에 신체를 접촉하는 것은 불가피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공중화장실과 같은 경우에는 관리소홀로 인하여 좌변기의 상태가 불결한 곳이 많아, 이러한 화장실에서는 대부분의 여성들이 불결한 생각에 소변을 참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처럼 소변을 참는 행위가 여러번에 걸쳐 지속되는 경우에는 소변 정체로 인한 병원균의 감염 우려가 있어 신우염이나 방광염 등의 질병 원인이 되었고, 요실금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가령, 소변이 매우 급하여 어쩔 수 없이 소변을 보아야 하는 경우에는 좌변기의 시트에 휴지를 덮은 이후에 소변을 보기도 하였고, 청결 의식이 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좌변기의 시트 위에 신발을 신고 올라 앉아 소변을 보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휴지를 일일이 덮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소변을 볼 때마도 시트에 휴지를 덮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고, 좌변기에 올라 앉아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좌변기에서의 미끌림에 의한 낙상 사고의 우려도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중 화장실에서 소변을 볼 때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소변 채취를 위해 소변을 병에 담을 때에도 여성들은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즉, 여성들이 소변 채취를 위해 샘플 병에 소변을 보게 되는 경우, 샘플 병이 너무 작아 여성들의 생리 구조상 소변의 채취 중 소변이 손에 묻을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변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큰 병에 소변을 채취한 이후에 다시 샘플 병에 소변을 옮겨 담기도 하나, 큰 병이 멸균이 되지 않은 것이므로 채뇨 중 소변이 오염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첨부도면 도 1과 도 2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0192313호(명칭:기립식 여성용 소변 보조기)에 대한 것으로, 크게 통로부와 접촉부와 토출부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하면, 양끝부분을 결합시킨 통로부(1)의 넓은 쪽에 접촉부(2)를 연결하고, 상기 통로부의 좁은 쪽에 구멍이 나 있는 토출부(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1) 넓은 쪽의 상단부에는 덮개(4)를 연결하고, 상기 접촉부(2) 선단에는 선단 보조덮개(7) 및 흡수부(6)를 부착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립식 여성용 소변 보조기는 신체와의 접촉을 원활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덮개(4)와 선단 보조덮개(7)를 부착하였으나,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는 접촉부(2)에 한정되어 있어 오히려 소변을 보는 경우 걸리적거리게 되어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성들의 생리 구조상 상기한 소변 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 토출부(3)의 방향은 하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정작 흡수부(6)의 필요성이 떨어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부분의 생성공정에 따른 제조 단가 및 생산 비용이 상승하여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성의 신체 부위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을 최대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신체 부위와 보다 긴밀하고 편안하게 접촉하게 함은 물론 소변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한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변 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변 보조기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뇨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뇨용구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배뇨용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통로부재 12 - 날개
15 - 절첩선 20 - 접촉부
21 - 상부접촉면 22 - 하부접촉면
30 - 토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통로를 갖도록 형성한 통로부재의 넓은 쪽에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부재의 좁은 쪽에 토출부를 형성한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에 있어서, 여성의 신체 부위와 긴밀히 접촉하도록 상기 접촉부의 상부접촉면은 중앙으로부터 통로부재 양측의 절첩선까지 오목한 곡면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의 상부접촉면과 하부접촉면 사이는 사용시에 상호 각이 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접촉부 부분을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여성의 신체에 긴밀하고 안정감 있게 접촉하고, 소변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덮개 및 선단 보조덮개를 부착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재료비를 줄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를 도시한 것으로, 통로부재(10)에 접촉부(20)와 토출부(30)를 구성한다.
이하 첨부도면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통로부재(10)는 대략 사다리꼴형태의 얇고 특수하며 친 환경적인 종이 재질로, 변기 안에 버리더라도 물에 잘 녹을 수 있는 100% 식물성이자 생 분해성 물질로 형성한다.
이러한, 통로부재(10)는 양측에 날개(12)를 각각 연장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날개(12)를 절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절첩선(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12)를 절첩선(15)을 기준으로 안으로 접어 각각의 날개(12)의 단부가 소정 간격만큼 포개지도록 형성하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날개(12)의 단부를 서로 접착하여 내부에 소변이 통과하는 통로를 마련한다.
이처럼 상기 날개(12)가 서로 접착된 통로부재(10)는 대략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첨부도면 도 3을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통로부재(10)의 넓은 쪽 둘레에는 여성의 신체 부위와 접촉되는 접촉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부재(10)의 좁은 쪽 둘레에는 소변이 배출되는 토출부(30)를 형성한다.
설명하면, 상기 접촉부(20)의 둘레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접촉면(21)은 여성의 외음부 상단에 접촉되는 것으로, 중앙으로부터 절첩선(15) 위치까지 각각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하여, 여성의 신체 부위에 보다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0)의 둘레면 중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접촉면(22)은 날개(12)의 일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여성의 외음부 하단에 접촉하게 되는데, 소변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다소 길게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배뇨용구를 사용하기 위해 절첩선(15) 부위를 눌러 통로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절첩선(15)과 대응되는 접촉부(20)의 상부접촉면(21)과 하부접촉면(22) 사이는 각이 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됨으로써, 신체 부위와 더욱 긴밀하고 안정감 있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토출부(30)는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소변이 원활히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구멍으로 조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과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면, 납작한 형태의 통로부재(10)를 손에 가볍게 쥔 후 손을 오므리듯 하여 절첩선(15)을 안쪽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상기한 통로부재(10)는 깔대기 형상을 취하게 되면서 내부에 통로를 마련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통로부재(10)의 통로 중앙 위치가 여성의 요도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상부접촉면(21)과 하부접촉면(22)을 여성의 신체부위에 긴밀하게 접촉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의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는 여성의 신체 부위와 접촉되는 상부접촉면(21)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부접촉면(21)과 하부접촉면(22) 사이는 사용시에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됨으로써, 여성의 신체 부위에 보다 긴밀하고 안정감 있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변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는 종래의 기립식 여성 소변 보조기와 달리 상기와 같이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됨으로써, 별도의 덮개 및 선단 보조덮개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재료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를 사용하여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은 토출부(30)를 통해 변기 내부 또는 채뇨를 위한 샘플 병에 떨어지게 됨으로써, 여성은 지저분한 좌변기의 시트에 신체를 접촉하지 않고도 소변을 볼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채뇨를 하는 경우 소변을 손에 묻히지 않고도 용이하게 소변을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소변을 모두 본 후에 본 고안의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는 화장실 내에 비치된 휴지통에 버릴 수 있으나, 물에서도 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므로 변기 내에 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여성의 신체 부위와 접촉되는 상부접촉면과 하부접촉면을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여성의 신체 부위에 보다 긴밀하고 안정감 있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변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기립식 여성 소변 보조기와 달리 별도의 덮개 및 선단 보조덮개 가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재료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통로를 갖도록 형성한 통로부재의 넓은 쪽에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부재의 좁은 쪽에 토출부를 형성한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에 있어서,
    여성의 신체 부위와 긴밀히 접촉하도록 상기 접촉부(20)의 상부접촉면(21)은 중앙으로부터 통로부재(10) 양측의 절첩선(15)까지 오목한 곡면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의 상부접촉면(21)과 하부접촉면(22) 사이는 사용시에 상호 각이 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KR20-2004-0024203U 2004-08-24 2004-08-24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KR200368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03U KR200368967Y1 (ko) 2004-08-24 2004-08-24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03U KR200368967Y1 (ko) 2004-08-24 2004-08-24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967Y1 true KR200368967Y1 (ko) 2004-12-03

Family

ID=4944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203U KR200368967Y1 (ko) 2004-08-24 2004-08-24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9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741B2 (en) Urine guide device for females
JP2006204868A (ja) 採尿器
US11051970B2 (en) Fecal matter containment device
CN211096902U (zh) 导尿结构
WO2002038089A1 (en) An apparatus for aiding a woman in urinating in a standing position
CN205181569U (zh) 接便袋
KR200368967Y1 (ko)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US20020104148A1 (en) Male personal hygiene system
KR200465001Y1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CN215459161U (zh) 生理用的排泄物收集装置
JP4769902B1 (ja) 尿取りパッド
JP5612784B1 (ja) 月経時用シート付き携帯尿器
JP3113401U (ja) 排便別収納処理方式おむつ
JP3220689U (ja) 使捨て用おむつ
JP3220650U (ja) 小便吸収用パック
TWM576862U (zh) Urine guiding collector and urine collecting assembly with the same
US20180036163A1 (en) Wrap combined in a urine sheath
CN212438672U (zh) 一种用于泌尿科的接尿器
KR200192313Y1 (ko) 기립식 여성용 소변 보조기
JP3131743U (ja) 男性用尿漏れ防止付分離型おむつ
CN220193303U (zh) 一种保护敷料的小便器
CN219646070U (zh) 一种前开孔纸尿裤
CN201171645Y (zh) 女用卫生片
JP3083421U (ja) カップ状器具
CN2352143Y (zh) 佩戴式便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