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913Y1 - 유리문용 경첩 - Google Patents

유리문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913Y1
KR200368913Y1 KR20-2004-0026117U KR20040026117U KR200368913Y1 KR 200368913 Y1 KR200368913 Y1 KR 200368913Y1 KR 20040026117 U KR20040026117 U KR 20040026117U KR 200368913 Y1 KR200368913 Y1 KR 200368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hinge
piece
lock groove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정
Original Assignee
권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정 filed Critical 권혁정
Priority to KR20-2004-0026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1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gular arrangement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2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sh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내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의 유리문이나 출입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리문의 개방(열림)상태를 다단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에 보다 효과적인 개방상태의 유지에 의한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유리문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지지벽면에 조립 설치되고, 닫음로크홈(13a)과 이 닫음로크홈의 직교방향에 열림로크홈(13b)을 외주면에 형성한 지지축편(11)을 구비한 힌지편(10)과, 유리문(G)이 조립되고 상기 지지축편(11)과 축결합으로 회동되되, 내부에 탄력적으로 승강토록 개재 설치된 로크부재(31)의 접동롤(32)이 상기 닫음로크홈(13a)이나 열림로크홈(13b)에 밀착 탄지되어 상기 유리문(G)의 닫음이나 열림을 고정하도록 된 유리문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힌지편(10)의 지지축편(11)에 형성되는 상기 열림로크홈(13b)을 적어도 2개이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경첩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유리문용 경첩{Hinge for glass-door}
본 고안은 욕실 내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의 유리문이나 출입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에 따른 유리문의 열림(개방)상태를 다단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에 보다 효과적인 열림 상태의 유지에 의한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유리문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사무실의 출입문이나 욕실 내의 샤워부스의 유리문은 강화유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문은 출입에 따른 개방 및 폐쇄를 위하여 유리문의 상, 하측 일 측에 경첩을 연결하고 상기 경첩은 다시 지지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첩은 종래에도 여러 가지 형태나 구조를 갖는 것이 다양하게 개시되고는 있으나, 유리문의 설치에 따른 견고성 및 작업성 또는 설치에 따른 유리문과 지지벽면의 각도조정으로 편리성을 갖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유리문용 경첩의 일 예로서, 이러한 유리문용 경첩은 지지벽면에 고정되는 힌지편(10)과 강화유리문(D)이 고정되는 회전편(20)으로 크게 분리된다.
상기 힌지편(10)은 일 측면 중앙에 돌출 되거나 별도로 조립되는 지지축편(11)이 구성되었으며, 이 지지축편의 길이방향 중앙에 축공(12)이 관통되고, 외주면 길이방향으로서 상부 중앙에 닫음로크홈(13a)과 이 닫음로크홈의 직각방향 양측으로 열림로크홈(13b,13b)이 형성되며, 모서리부분 네곳에 지지벽면에 나사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공(14)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회전편(20)은 일 측면의 단부 중앙에 상하로 단이 형성되면서 강화유리문의 두께를 수용하는 두께를 갖는 지지브라켓((23)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편(21)과 이 연결편에 맞결합되는 마감편(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편(21)은 상단에 상기 지지축편(11)이 수용되는 회동공(24)이 관통되고, 이 회동공과 직교하여 중앙에 일정깊이의 홈(35)이 형성되고 내측이 개구된 스프링홈(25,25)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축공(13)과 상호 연결되는 축공(26,26)이 상기 중앙의 회동공(24)에 의해 분리된 양측에 관통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암나사공을 갖는 체결돌기(27,27)가 양측에 일체로 돌출 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편(22)은 상기 회동공(24)과 동일하게 관통된 회동공(28)과 상기 체결돌기(27,27)에 나사볼트(S)로 조립되는 조립공(28,28)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홈(25,25)에는 압축스프링(30,30)이 조립되고, 상기 스프링홈(25,25)에 걸쳐서 지지봉(33)이 횡설 되되 중앙에 회동가능으로 상기 홈(35)의 내부에 위치되는 크기의 접동롤(32)이 조립된 로크부재(31)가 상기 회동공(24)에 돌출 되도록 탄력적으로 승강설치되도록 되었다.
이러한 경첩은 상기 힌지편(10)의 지지축편(11)을 상기 회전편(20)을 구성하는 연결편(21)의 회동공(24)에 끼운 다음, 각각의 축공(26,12)을 일치시키고 상기 지지축편(11)의 양측에 수지재 와셔(W)를 위치하고 축핀(P)을 끼워 연결 설치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로크부재(31)가 개재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로크부재(31)의 접동롤(32)은 상기 지지축편(11)의 닫음로크홈(13a)이나 열림로크홈(13b)에 밀착 위치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편(10)의 고정공(14)을 통하여 지지벽면에 나사볼트(S)로 고정하고 상기 회전편(10)의 연결편(21)에는 강화유리문(G)을 양측에 완충수지편(D)을 위치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감편(22)의 조립공(28,28)을 상기 연결편(21)의 체결돌기(26,26)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볼트(S)로 나사조임하여 도 2와 같이 설치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유리문용 경첩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유리문을 열거나 닫을 경우에 상기 힌지편(10)의 지지축편(11)과 축핀(P)을 축 연결된 회전편(20)이 회전하여 상기 지지축편(11)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닫힘로크홈(13a)이나 열림로크홈(13b)에 상기 로크부재(31)의 접동롤(32)이 압축스프링(30,30)의 탄발력으로 밀착된 상태로 위치됨으로서 유리문(G)이 열린 상태나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리문용 경첩은 상기 힌지편(10)의 지지축편(11)에 형성되는 로크홈(13)이 90도 상태로 완전 개방이나 닫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일부 개방이 제공되지 못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유리문의 열림 상태가 다단계로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시에 유리문의 열림 정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서 편리성을 극대화한 유리문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일 예의 유리문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조립상태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2a는 유리문의 닫힌 상태도 이고,
도 2b는 유리문의 열린 상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F"부 발췌 확대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문의 열림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힌지편 11 : 지지축편
13a : 닫음로크홈 13b : 열림로크홈
20 : 회전편 21 : 연결편
22 : 마감편 30 : 압축스프링
31 :로크부재 32 : 접동롤
본 고안의 특징은 경첩을 구성하는 힌지편의 지지축편에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열림로크홈을 적어도 2개이상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시에 유리문의 열림 정도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재에 대한 번호부여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즉,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일 측면에 지지축편(11)이 구성되었으며, 이 지지축편의 길이방향 중앙에 축공(12)이 관통되고, 외주면 상부 중앙에 닫음로크홈(13a)과 이의 직각방향 양측으로 열림로크홈(13b,13b)이 형성되며, 모서리부분 네곳으로 고정공(14)이 관통 구성된 힌지편(10)과,
일 측면에 유리문(G)의 두께를 수용하는 두께를 갖는 지지브라켓((23)이 일체로 형성되되, 이 지지브라켓은 상단에 상기 지지축편(11)이 수용되는 회동공(24)이 관통되고, 이 회동공과 직교하여 중앙에 일정깊이의 홈(35)이 형성되고 내측이 개구된 스프링홈(25,25)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축공(13)과 상호 연결되는 축공(26,26)이 상기 중앙의 회동공(24)에 의해 분리된 양측에 관통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암나사공을 갖는 체결돌기(27,27)가 양측에 일체로 돌출 되어 구성된 연결편(21) 및, 상기 회동공(24)과 동일하게 관통된 회동공(28)과 상기체결돌기(27,27)에 나사볼트(S)로 조립되는 조립공(29,29)이 관통된 마감편(22)으로 구성된 회전편(20)과,
상기 스프링홈(25,25)에는 압축스프링(30,30)이 조립되고, 상기 스프링홈(25,25)에 걸쳐서 지지봉(33)이 횡설 되되 중앙에 회동가능으로 상기 홈(35)의 내부에 위치되는 크기의 접동롤(32)이 조립된 로크부재(31)가 상기 회동공(24)에 탄력적으로 돌출 되어 상기 지지축편(11)의 닫음로크홈(13a)이나 열림로크홈(13b)에 상기 접동롤(32)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유리문(G)의 열림이나 닫음 상태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유리문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힌지편(10)의 지지축편(11)에 형성되는 상기 닫음로크홈(13a)을 기준으로 외주면 양방향이나 일측에 상기 열림로크홈(13b)을 적어도 2개이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열림로크홈(13b)은 상기 회전편(10)과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로크부재(31)의 접동롤(32) 외주면이 밀착되는 홈을 상기 닫힘로크홈(13a)의 중앙에 연장되는 축핀(P)의 중심 축선(O)으로부터 회동각도가 45도, 60도, 90도로 형성하거나, 30도, 60도, 90도로 형성하거나, 30도, 45도, 60도, 90도 등으로 다양한 다단계의 형성이 가능하고, 상기 열림로크홈(13b)의 다단계 형성은 90도 범위에서 어느 각도의 형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열림로크홈(13a)의 다단계 형성은 상기 로크부재(31)의 접동롤(32)이 밀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정도이면 가능하나 적어도 3~4개의 형성은 상기 지지축편(11)의 직경을 크게 형성함으로서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설치는 상기 종래 기술의 설치과정과 동일함으로 생략하고, 사용상태도로 도시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유리문(G)의 열림 상태를 다양한 각도로서 열림 정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갖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경첩은 상기에서 언급한 유리문에만 한정되지 않고 목재문이나 강화플라스틱재의 출입문에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경첩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면서 힌지편의 구조 개선에 의한 유리문의 열림 정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효과로 제품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1)

  1. 지지벽면에 조립 설치되고, 닫음로크홈과 이 닫음로크홈의 직교방향에 열림로크홈을 외주면에 형성한 지지축편을 구비한 힌지편과, 유리문이 조립되고 상기 지지축편과 축결합으로 회동되되, 내부에 탄력적으로 승강토록 개재 설치된 로크부재의 접동롤이 상기 닫음로크홈이나 열림로크홈에 밀착 탄지 되어 상기 유리문의 닫음이나 열림을 고정하도록 된 유리문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힌지편의 지지축편에 형성되는 상기 닫음로크홈을 기준으로 외주면 양방향이나 일측에 상기 열림로크홈을 적어도 2개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경첩.
KR20-2004-0026117U 2004-09-10 2004-09-10 유리문용 경첩 KR200368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17U KR200368913Y1 (ko) 2004-09-10 2004-09-10 유리문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17U KR200368913Y1 (ko) 2004-09-10 2004-09-10 유리문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913Y1 true KR200368913Y1 (ko) 2004-12-03

Family

ID=4944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117U KR200368913Y1 (ko) 2004-09-10 2004-09-10 유리문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9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02Y1 (ko) * 2011-10-04 2013-08-29 (주)아이엔디 샤워부스용 유리 도어장치
KR102293311B1 (ko) * 2021-05-31 2021-08-23 변형석 샤워부스 도어용 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02Y1 (ko) * 2011-10-04 2013-08-29 (주)아이엔디 샤워부스용 유리 도어장치
KR102293311B1 (ko) * 2021-05-31 2021-08-23 변형석 샤워부스 도어용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0433B2 (en) Hinge
US3621512A (en) Tamper resistant hinge
KR200368913Y1 (ko) 유리문용 경첩
US7228597B2 (en) Partition apparatus and hinge apparatus
KR102355005B1 (ko) 가구용 경첩
KR200427866Y1 (ko) 사물함의 도어 고정장치
AU2017100333B4 (en) Hinge
GB2508966B (en) Selectively lockable hinge
AU2021107565A4 (en) Hinge
KR102331895B1 (ko) 가구용 경첩구조
EP2329087B1 (en) Door handle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200373858Y1 (ko) 경첩
KR200359172Y1 (ko) 출입문 강제 오픈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출입문 구조체
KR200294685Y1 (ko) 도어용 힌지
KR200313246Y1 (ko) 유리 도어 고정용 경첩
KR200287924Y1 (ko) 경첩
KR20240001882A (ko) 도어용 경첩 구조
KR200243777Y1 (ko) 유리도어용 힌지
KR200433605Y1 (ko) 회전각도가 확대된 힌지구조
GB2360065A (en) Adjustable hinge assembly
KR20190000574U (ko) 스윙 도어
JPH04336189A (ja) 自動閉戸機構を備えた蝶番
KR20110023503A (ko) 삽입부재, 및 이를 채용한 시스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