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777Y1 - 유리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유리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777Y1
KR200243777Y1 KR2019980019677U KR19980019677U KR200243777Y1 KR 200243777 Y1 KR200243777 Y1 KR 200243777Y1 KR 2019980019677 U KR2019980019677 U KR 2019980019677U KR 19980019677 U KR19980019677 U KR 19980019677U KR 200243777 Y1 KR200243777 Y1 KR 200243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glass door
cup
ca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089U (ko
Inventor
하봉갑
Original Assignee
하봉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봉갑 filed Critical 하봉갑
Priority to KR2019980019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77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777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도어용 힌지를 유리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 본체(50)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컵(58)의 외주면에 나사부(58a)를 성형하고, 상기 나사부(58a)가 유리도어(40)의 장착공(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리도어의 타측에서 상기 나사부(58a)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60a)를 내주연에 구비하는 힌지캡(60)를 나사결합하여, 힌지를 유리도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유리도어(40)를 사이에 두고 힌지컵(58)과 힌지캡(60)을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도어용 힌지
본 고안은 유리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도어의 개폐시 사용되는 힌지를 더욱 간편하게 유리도어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리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힌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10)는 가구 등의 본체(2)에 개폐되는 도어(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주방용 가구이거나 장롱 등과 같은 가구의 일측벽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4)는, 이러한 가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4)를 연상태에서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4)는 통상 본체(2)와 동일한 재질인 목재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나, 용도에 따라서는 유리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도 2에는 유리도어의 경우, 상기 힌지(10)의 일측을 유리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도어에 직접 힌지컵(18)을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구성부품을 이용하고 있다.
유리도어에 힌지를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10)는, 본체(2)에 고정되는 힌지플레이트(12)와 상기 힌지플레이트(12)에 결합되는 힌지본체(14), 유리도어(4)에 연결되는 힌지컵(18), 그리고 상기 힌지본체(14)와 힌지컵(18)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컵(18)은 힌지본체(14)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유리도어(4)에 형성된 장착공(4a)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6)은, 힌지컵(18)과 힌지본체(14)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컵(18)이 연결된 유리도어(4)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열리면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상기 유리도어(4)의 열림 각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유리도어(40) 45도 이상으로 열리기 전까지는 유리도어(4)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고, 그 이상으로 열리면 유리도어(40)를 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6)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종래와 동일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힌지컵(18)은 유리도어(4)의 장착공(4)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리도어(4)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힌지컵(18)의 고정을 위하여, 원통형의 힌지캡(19)을 상기 힌지컵(18)의 외측면을 통하여 삽입시킨 후, 스크류(S)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힌지컵(18)은, 유리도어(4)의 외측에서 힌지캡(19)과 결합된 상태에서, 스트류(S)에 의하여 힌지캡(19)과 고정된다.
이렇게 힌지캡(19)이 힌지컵(18)에 결합 고정되면, 유리도어(4)는 상기 힌지캡(19)과 힌지컵(18) 사이에서 지지되어, 유리도어(4)가 상기 힌지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개폐가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캡(19)의 외측에는 스크류(S)가 노출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다. 따라서 상기 힌지캡(19)의 외부에는 외관상 심미감을 위하여 외장캡(20)을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힌지의 조립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힌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먼저, 힌지(10)의 일측을 유리도어(4)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힌지컵(18) 이외에도 힌지캡(19), 고정용 스크류(S), 그리고 외장캡(20) 등을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는 바, 이러한 구성의 복잡성은 각각의 부품의 생산에 기인하는 복잡성 및 생산경비의 상승을 초래함은 물론, 조립공정을 복잡하게 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힌지로서, 유리도어와 보다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성이 우수한 유리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힌지의 동작을 보인 설명도.
제2도는 종래의 힌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가구 본체 40 : 유리도어
42 : 장착공 50 : 힌지
52 : 힌지플레이트 54 : 힌지본체
56 : 탄성부재 58 : 힌지컵
58a : 나사부 60 : 힌지캡
60a : 나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컵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성형하고, 상기 나사부가 유리도어의 장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리도어의 타측에서 상기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내주연에 구비하는 힌지캡을 나사결합하여, 힌지를 유리도어에 고정시키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유리도어를 사이에 두고 힌지컵 및 힌지캡을 서로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힌지를 유리도어에 고정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힌지를 유리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공정이 간단해 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유리도어용 힌지(50)를 장착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힌지(50)는, 유리도어(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구의 본체(30)에 고정되는 힌지플레이트(52), 상기 일측이 상기 힌지플레이트(52)에 고정되는 힌지본체(54)와, 유리도어(40)의 개폐을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6)을 포함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힌지플레이트(52), 힌지본체(54), 그리고 유리도어(40)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6)의 일측에 연결되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컵(58)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성형된 나사부(58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힌지컵(58)에 결합되기 위한 힌지캡(60)의 내주연에는 상기 나사부(58a)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60a)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힌지컵(58)의 나사부(58a)와 힌지캡(60)의 나사부(60a)는, 서로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컵(58)과 힌지캡(60)의 나사결합은, 유리도어(40)를 사이에 두고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리도어(4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힌지(5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힌지플레이트(52)는 가구의 본체(30)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52)의 고정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정 스크류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플레이트(52)에는 힌지 본체(54)가 고정된다. 힌지의 본체(54)의 타측에는 힌지컵(58)이 탄성부재(56)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힌지컵(58)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부(58a)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58a)가 성형된 힌지컵(58)을 유리도어(40)의 장착공(42)에 삽입한다. 상기 힌지컵(58)의 직경은, 상기 장착공(42)에 꼭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컵(58)이 장착공(42)에 유격없이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힌지컵(58)의 외주면 나사부(58a)가 상기 장착공(40)을 통하여 유리도어(40)의 반대측으로 돌출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컵(58)의 나사부(58a)에, 힌지캡(60)의 내주연 나사부(60a)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의한 힌지(50)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의한 힌지(50)를 유리도어(4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두 개의 힌지(50)를 사용한다. 따라서 유리도어(40)의 장착공(40)에 두 개의 힌지(50)가 고정되면, 실질적으로 유리도어(40)는 유동없이 힌지(50)에 고정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리도어(40)에 고정되는 힌지(50)에 있어서, 힌지 본체(54)와 연결되는 힌지컵(58)의 외주면에 나사부(58a)를 형성하고, 유리도어(40)의 반대측에서 상기 힌지컵(58)에 결합되는 힌지캡(60)의 내주연에 나사부(60a)를 형성하고 나사결합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힌지컵(58)과 힌지캡(60)을 나사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 성형되는 나사부(58a,60a)는 어떠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나사부(58a,60a)의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나사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반적인 삼각나사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각각의 나사부(58a,60a)는 두 개의 리이드를 가지도록 성형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나사부(58a,60a)의 결합에 있어서 힌지캡(60)을 일회전 또는 그 이하의 회전수로 힌지캡(58)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두 번 이상의 회전수로 힌지캡(60)이 힌지캡(58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캡(60) 또는 힌지캡(58)의 성형상의 편리함을 위하여, 상기 나사부(58a,60a)를 연속되는 것으로 성형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시 코어의 용이한 출입을 위하여, 상기 나사부(58a,60a)의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사출 성형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부(58a,60a)가 비록 연속되지는 않지만, 서로 나사결합하는 것에는 전혀 지장이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점에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유리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먼저, 유리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힌지의 구성이 간단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컵과 힌지캡을 서로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리도어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힌지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생산단가가 저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성부품수의 감소에 따라서, 조립공정이 훨씬 유리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에 비하여 더욱 간단한 공정으로 힌지를 유리도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될 것이다.

Claims (1)

  1. 힌지 본체(50)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컵(58)의 외주면에 나사부(58a)를 성형하고, 상기 나사부(58a)가 유리도어(40)의 장착공(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리도어의 타측에서 상기 나사부(58a)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60a)를 내주연에 구비하는 힌지캡(60)를 나사결합하여, 힌지를 유리도어(4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어용 힌지고정구조.
KR2019980019677U 1998-10-14 1998-10-14 유리도어용 힌지 KR200243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677U KR200243777Y1 (ko) 1998-10-14 1998-10-14 유리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677U KR200243777Y1 (ko) 1998-10-14 1998-10-14 유리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89U KR20000008089U (ko) 2000-05-06
KR200243777Y1 true KR200243777Y1 (ko) 2001-12-01

Family

ID=6951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677U KR200243777Y1 (ko) 1998-10-14 1998-10-14 유리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7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89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81979A (en) Joints for spectacles sides
CN216776850U (zh) 一种旋盖锁紧铰链的马桶盖
KR200243777Y1 (ko) 유리도어용 힌지
KR100406679B1 (ko) 자동 완충경첩
KR101962078B1 (ko) 강화된 경첩부를 갖는 사물함
EP0415868A1 (en) Improved hinge
KR200377681Y1 (ko) 립스틱 케이스
KR20040056345A (ko) 리버서블 냉장고 도어스토퍼 구조
KR200149276Y1 (ko) 가구용 힌지
KR100781943B1 (ko) 플래트형 토오크 경첩
KR200368913Y1 (ko) 유리문용 경첩
CN208518575U (zh) 一种新型防盗猫眼
JP2000017940A (ja) グラビティー蝶番
CN219862003U (zh) 门体组件及衣物处理设备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CN215168809U (zh) 用于门窗的把手
CN213017950U (zh) 一种水龙头的开关装置
KR20020069982A (ko) 다 방향 도어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200237639Y1 (ko) 도어용 경첩
JPS5841592Y2 (ja) 鍵盤吹奏楽器用ケ−ス
KR100751761B1 (ko) 드럼세탁기의 운반용 체결구
KR200207360Y1 (ko) 스냅피트를 이용한 도어 개폐 장치
KR970006731Y1 (ko) 가스오븐렌지의 오븐도어핸들
KR950010228Y1 (ko) 세탁기의 뚜껑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