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811Y1 - 벽시계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벽시계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811Y1
KR200368811Y1 KR20-2004-0025950U KR20040025950U KR200368811Y1 KR 200368811 Y1 KR200368811 Y1 KR 200368811Y1 KR 20040025950 U KR20040025950 U KR 20040025950U KR 200368811 Y1 KR200368811 Y1 KR 200368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lock
hole
attachment structure
coupling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김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20-2004-0025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06Means for fixing the clockwork pieces on other objects (possibly on walls)
    • G04B37/1413Separabl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브먼트 및 상기 무브먼트에 의해 작동되는 시간표시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벽시계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공을 구비하고, 설치장소에 양면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한 판상의 부착부재에 상기 결합공 상측 본체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가 상기 결합공에서 상방으로 힘을 받도록 지지하는 상기 체결부 좌우측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에 상기 체결부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억지끼움결합하여 벽시계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벽에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유리, 거울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벽시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벽시계 부착구조{Adhesion structure for wall clock}
본 고안은 벽시계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 거울 등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부착이 가능하고, 건전지 교체시 등 필요한 경우 탈부착이 용이한 벽시계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시계는 벽에 못을 박고, 시계 후면커버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못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종래의 벽시계 설치방법에 따르면 벽에 못을 박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일반적인 벽체에는 콘크리트 못을 박아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성인 남자도 힘이 많이 들고 손쉽게 할 수 없으며 소음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벽에 못질을 하게 되면 못자국이 남게 되어, 설치장소의 변경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한편, 근래에서는 벽시계가 다양한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장식적 효과도 강조되고 있으며, 또한 건물의 많은 구조물이 콘크리트 벽에서 유리 등으로 대체되고 있는 경향이다. 이런 경향에 따라 유리 등에 벽시계를 부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나, 기존의 벽시계 부착구조에 의해서는 장식적 효과를 살리면서 유리 등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벽시계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벽시계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요구가 계속적으로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벽에 못을 박을 필요가 없고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벽시계를 설치할 수 있는 벽시계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전지 교체시 등 필요한 경우 탈부착이 용이한 벽시계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10 : 벽시계 112,212 : 본체
114 : 끼움공 116,216 : 걸림공
218 : 안착홈 120 : 후면커버
122,222 : 결합공 124 : 플랜지
126 : 끼움돌기 128,228 : 탄지편
128a : 절곡부 128b : 단턱부
128c : 걸림해제부 130 : 부착부재
132,232 : 지지돌기 134 : 체결부
136,236 : 걸림턱 140,240 : 양면접착테이프
142,242 : 박리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무브먼트 및 상기 무브먼트에 의해 작동되는 시간표시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벽시계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공을 구비하고, 설치장소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한 판상의 부착부재에 상기 결합공 상측 본체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재에 상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판상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가 상기 결합공에서 상방으로 힘을 받도록 지지하는 상기 체결부 좌우측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에 상기 체결부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억지끼움결합하여 벽시계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벽에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유리, 거울 등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벽시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결합공은 상기 본체 후면 전체를 덮는 개폐가 가능한 후면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체결부가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결합공 주위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그 선단부가 데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벽시계의 건전지 교체시 등 필요한 경우 탈부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가 채용된 벽시계(110)는 크게 시계의 무브먼트 및 상기 무브먼트에 의해 작동되는 시간표시부가 구비되는 본체(112)와 상기 본체(112)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120)로 구성된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커버(120)는 판상으로 그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112)의 외주면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공(114)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26)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112)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공(116)에 탄지결합되는 탄지편(12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지편(128)은 본체(112)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장력을 유지하는 원호형 절곡부(128a)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128a) 하면에는 상기 걸림공(116)에 체결되는 단턱부(12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부(128b)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112)와 결합되는 면이 데이퍼진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128a)는 상기 걸림공(116)에 상기 단턱부(128b)가 걸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눌려지는 걸림해제부(128c)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후면커버(120)의 상부에는 부착부재(1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원호형 장공의 결합공(124)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24)의 주변에는 플랜지(1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부착부재(130)의 체결부(134)가 체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플랜지(124)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미설명부호 129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못을 걸 수 있는 구멍이다.
한편, 상기 부착부재(130)는 상기 후면커버(12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부착부재(130)는 대략 원판형으로 상기 후면커버(120)의 결합공(122)에 삽입되는 체결부(134) 및 상기 체결부(134)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34)가 상기 결합공에서 상방으로 힘을 받도록 지지하여 억지끼움결합을 보조하는 지지돌기(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체결부(134)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후면커버(120)의 결합공(122)의 상측 후면부재(120)의 내면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136)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36)의 전면은 데이퍼져 하광상협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12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34)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호형상의 판상으로 상기 부착부재(130)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하방의 탄성을 지녀 억지끼움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132)는 그 선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상기 결합공(122)에서 체결부(134)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유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재(130)가 양면접착테이프(140)를 이용하여 유리, 거울, 타일, 벽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부착되고, 상기한 후면커버(120)와 부착부재(130)의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벽시계 본체(112)를 원하는 장소에 어디든지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양면접착테이프는 본드, 아교 등 다양한 접착수단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38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나사체결공이고, 142는 양면접착테이프의 박리지를 나타낸다.
상기 후면커버(120) 및 부착부재(130)는 상술한 결합구조가 가능하다면 합성수지제,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부착부재(130)의 전체 형상은 부착되는 시계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 도 1 내지 3b를 참조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 구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벽시계(110)에 건전지를 삽입하고 본체(112) 후면에 후면커버(120)를 끼움결합한다. 상기 결합은, 후면커버(120)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126)를 본체(112)의 끼움공(114)에 삽입한 후, 후면커버(120) 하단부에 구비된 탄지편(128)의 걸림해제부(128c)를 눌러 탄성을 이용하여 본체(112)의 걸림공(116)에 탄지편(128)의 단턱부(128b)를 걸어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턱부(128b)의 삽입면은 데이퍼져 삽입이 용이하다.
그런 다음, 양면접착테이프(140)의 박리지(142)를 제거하고 부착부재(130)의 체결부(134)가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면에 양면접착테이프(140)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130)의 체결부(134)가 12시 방향에 오도록 한 상태에서 벽시계를 설치할 위치에 상기 부착부재(130)를 힘껏 눌러 고정한다.
다음, 상기 후면커버(120)의 결합공(122)에 지지돌기(132) 및 체결부(134)를 삽입하여 억지끼움하면, 상기 결합공(122) 상측 후면부재(120)의 내면에 의해 체결부(134)의 걸림턱(136)이 걸려 빠지지 않고 지지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36)의 전면은 데이퍼져 하광상협으로 이루어져 억지끼움이 용이하다. 이렇게 하여 벽시계(110)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도 3a 참조).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벽시계 설치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누구나 용이하게 벽시계를 설치할 수 있고, 설치장소도 제한을 받지 않는다. 즉, 종래 벽시계 설치가 제한을 받던 유리, 거울, 화장실 타일 등에도 벽시계의 장식적 효과를 최대한 살리면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벽시계(110)의 건전지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에는 상기 벽시계의 본체(112)의 좌우측을 잡고 그 하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본체(112) 및 후면커버(120)를 상기 부착부재(13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도 3b 참조).
이 때, 후면커버(120)의 결합공(122)에 삽입되어 있던 지지돌기(132) 및 체결부(134)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은, 상기 지지돌기(132)의 선단부가 데이퍼진 형상으로 결합공(122) 내부에 유격이 형성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돌기(132)가 후면부재(120)의 플랜지(124)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체결부(134)의 상면이 상기 결합공(122)의 내주연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받을 때 판상의 상기 체결부(134)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턱(136)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상기 탄지편(128)의 걸림해제부(128c)를 상방으로 눌러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공(116)에 걸려 있는 단턱부(128b)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본체(112)에서 후면커버(120)를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건전지를 교체하고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하여 벽시계를 용이하게 재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벽시계(210) 본체(212)의 후면 전체를 덮는 커버를 매개하여 본체와 부착부재가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고, 본체(212)에 부착부재(230)를 직접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즉, 본체(212) 측면에서 연장된 또는 별도의 원호형 후면부재에 부착부재(230)의 지지돌기(232) 및 체결부(234)가 삽입되는 결합공(222)을 형성하고, 부착부재(230)의 하단부에는 본체(212)의 걸림공(216)에 체결되는 탄지편(2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부호 128은 상기 탄지편(228)의 걸림해제부(미도시)가 삽입되는 안착홈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구성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벽시계 부착시 및 밧데리(B) 교환시 벽시계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외 구성요소 및 작동원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벽시계 부착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벽시계 이외에 못을 박아 부착하는 구조의 모든 장식품 예를 들어 액자 등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벽시계 부착구조에 의하면 벽에 못을 박을 필요가 없고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벽시계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벽시계의 건전지 교체시 등 탈부착이 용이한 벽시계 부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무브먼트 및 상기 무브먼트에 의해 작동되는 시간표시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벽시계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공을 구비하고, 설치장소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한 판상의 부착부재에 상기 결합공 상측 본체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재에 상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판상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가 상기 결합공에서 상방으로 힘을 받도록 지지하는 상기 체결부 좌우측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에 상기 체결부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억지끼움결합하여 벽시계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본체 후면 전체를 덮는 개폐가 가능한 판상의 후면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체결부가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결합공 주위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그 선단부가 데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외주면 일측에 상기 후면커버의 외주연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공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공에 대향되는 외주면 타측에는 상기 후면커버에 형성된 탄지편이 결합되는 걸림공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탄지편은, 장력을 유지하며 그 하면에 상기 걸림공에 체결되는 단턱부를 구비한 원호형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부가 상기 걸림공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눌려지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삽입면은 데이퍼진 형상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외주면 일측에 상기 부착부재에 형성된 탄지편이 결합되는 걸림공이 구비되고,
    상기 부착부재의 탄지편은, 장력을 유지하며 그 하면에 상기 걸림공에 체결되는 단턱부를 구비한 원호형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부가 상기 걸림공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눌려지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접착테이프, 본드 및 아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시계 부착구조.
KR20-2004-0025950U 2004-09-09 2004-09-09 벽시계 부착구조 KR200368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50U KR200368811Y1 (ko) 2004-09-09 2004-09-09 벽시계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50U KR200368811Y1 (ko) 2004-09-09 2004-09-09 벽시계 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811Y1 true KR200368811Y1 (ko) 2004-12-03

Family

ID=4944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50U KR200368811Y1 (ko) 2004-09-09 2004-09-09 벽시계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8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57Y1 (ko) 2015-11-26 2017-01-26 이병순 전자벽시계용 고리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57Y1 (ko) 2015-11-26 2017-01-26 이병순 전자벽시계용 고리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9430A1 (en) Panel connecting structure
KR20070032560A (ko) 패널 조립세트 및 이의 시공방법
US5533636A (en) Reversible escutcheon
US7770315B2 (en) System for mounting frame
KR200368811Y1 (ko) 벽시계 부착구조
JP2007009612A (ja) パネル取付構造
JP2008057104A (ja) 手摺用ブラケット
JP4915591B2 (ja) 表面パネル取付構造
JP3745845B2 (ja) ガス警報器
KR20090009024U (ko) 건축물의 내장용 장식판재 고정구
JP5478301B2 (ja) パネル取付構造及びパネル取付具及びパネル組立体
KR200309038Y1 (ko) 조립식 문틀
JP2587934Y2 (ja) 軒樋吊り金具
KR20010008080A (ko) 걸레받이의 장착구조
CN216249199U (zh) 一种电容屏装配结构以及电容屏
JPS6341954Y2 (ko)
KR200224329Y1 (ko) 걸레받이의 장착구조
JP3141587U (ja) 装飾柱の取り付け構造
JPH1176041A (ja) ピンフック
JPH0755231Y2 (ja) 廻り縁の構造
JP2001204616A (ja) カーテンレール用装飾ボックス
KR20090009022U (ko) 건축물의 내장용 장식판재 고정구
KR960006312Y1 (ko) 고정나사의 체결구
KR100452929B1 (ko)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JP2594270Y2 (ja) 壁掛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