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004Y1 -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 Google Patents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004Y1
KR200368004Y1 KR20-2004-0024597U KR20040024597U KR200368004Y1 KR 200368004 Y1 KR200368004 Y1 KR 200368004Y1 KR 20040024597 U KR20040024597 U KR 20040024597U KR 200368004 Y1 KR200368004 Y1 KR 200368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ter supply
water
supply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20-2004-0024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검지신호를 경보음 또는 경보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급수관(50)과 연통하는 연통공(62)이 형성되고 급수관(50)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고정블럭(60)과, 연통공(62)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블럭(60)에 고정되는 베이스(101)와, 베이스(101)의 구멍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101)의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샤프트(140)와, 구멍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실링부재(180)와, 샤프트(14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급수관(50)의 유로상에 위치되는 패들(160)과, 급수관(50)내 발생된 유수에 의해서 유동하는 샤프트(140)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검지스위치(130)와, 검지스위치(130)의 작동에 따라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표시부를 구비한다. 신호표시부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또는 발광하는 조명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유수(流水)의 발생을 스피커 또는 조명등을 통하여 위급상황에서 급수(給水)여부 파악등 현장대처에 유리하게 한다. 또한, 상호 연동되는 샤프트와 검지스위치의 설치간격 오차에도 불구하고 원추형의 조정블럭(141)을 채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조절하여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A apparatus for sensing flowing water having a signal}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설비 또는 소화설비등에 채용되는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검지신호를 경보음 또는 경보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스프링쿨러 소화설비에는 스프링쿨러헤드에서 방수가 이루어진 것을 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프링쿨러 소화설비의 급수배관에는 유수검지장치가 배치된다.
예컨대, 아파트의 10동 12호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해당 스프링쿨러가 작동하여 유수(流水)가 발생된 경우 제어실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 및 화재위치를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수검지장치의 일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관로(1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관로(10)의 외주면에는 검지스위치(40) 및 패들(paddle;31)을 구비하는 검지장치가 설치된다.
관로(10)의 외주면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고, 패들(31)은 관로(10)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검지장치의 하우징(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검지장치는 검지부 내부로 관로(10)중의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부재(21)에 의해서 실링되어 있으며, 패들(31)에는 샤프트(32)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검지부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부재(2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검지부내에는 패들(31)이 유수에 의해서 회동되고 샤프트(32)가 이에 의해서 연동되어 회동될때 검지스위치(40)를 작동토록 되어 있으며, 샤프트(32)는 스프링(33)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유수검지장치는 화재등의 발생으로 스프링쿨러가 작동함으로써 유수가 발생되는 경우, 유수에 의해서 패들(31)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샤프트(32)가 회동되어 검지스위치(40)를 작동하여 유수의 발생을 검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유수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유수검지장치가 설치된 관로에 화재발생시 급수(給水)여부를 현장에서 알수 없으므로 현장에서 대응하기 불편하다.
둘째, 패들을 관로에 수직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33)을 채용하고 있지만, 조립시 코일스프링(33)이 변형된 경우 다른 코일스프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패들의 샤프트와 검지스위치의 간격유지를 코일스프링에 의하므로 조립이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소화설비의 작동으로 유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유수의 발생을 검지장치의 현장에서도 쉽게 알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조립이 간편하고 상호 연동하는 샤프트와 검지스위치의 설치간격에 따라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유수검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유수검지장치의 작동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급수관 60...고정블럭
100...검지장치 101...베이스
105...스피커 106...조명등
110...커버부재 120...고정판
130...검지스위치 132...판스프링
140...샤프트 141...조정블럭
150...회동편 160...패들
170...타이머 180...탄성실링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급수관의 임의 지점에 결합되어서 유수의 발생을 검지하는 유수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연통공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구멍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의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구멍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실링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의 유로상에 위치되는 패들과, 상기 급수관내 발생된 유수에 의해서 유동하는 상기 샤프트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검지스위치와, 상기 검지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표시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표시부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또는 발광하는 조명등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장치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에 나사결합되어 상호 이동가능한 원추형상의 조정블럭과, 일단이 상기 검지스위치의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정블럭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는 유수(流水)의 발생시 유수의 검지를 신호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검지장치의 위치에서 유수의 발생을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패들과 함께 연동하는 샤프트와 검지스위치간의 조립위치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조정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는 스프링쿨러시스템 또는 소방설비시스템에 채용되어서 해당 위치에서의 유수(流水)의 발생을 쉽게 알 수 있게 하며, 또한 조립을 간편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 유수검지장치는 급수관내에 원판(패들)을 설치하여 물의 이동(유수)에 의해서 패들의 위치가 변동될때 스위치가 접점되면서 회로가 연결되어 경보 및 유수검지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의 유수검지장치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급수관(50)의 임의 지점에 결합되어서 유수(流水)의 발생을 검지하여 제어실에서 유수가 발생된 해당 위치를 알수 있게 하며, 본 고안 실시예의 검지장치에는 검지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도 유수가 발생됨을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검지장치는 상기 급수관(50)과 연통하는 연통공(62)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50)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고정블럭(60)과, 상기 연통공(62)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60)에 고정되는 베이스(101)와,상기 베이스(101)의 구멍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101)의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샤프트(140)와, 상기 구멍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실링부재(180)와, 상기 샤프트(14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50)의 유로상에 위치되는 패들(160)과, 상기 급수관(50)내 발생된 유수에 의해서 유동하는 상기 샤프트(140)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검지스위치(130)와, 상기 검지스위치(130)의 작동에 따라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01)에는 검지스위치(130)등의 구성요소등을 보호하는 커버부재(1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01)의 구멍에 결합되는 탄성실링부재(180)는 급수관(50)의 유수(流水)가 커버부재(110)의 공간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140)가 탄력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호표시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05) 또는 발광하는 조명등(106)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40)의 상단부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40)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원추형상의 조정블럭(141)과, 일단이 상기 검지스위치(130)의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정블럭(14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판스프링(132)을 구비한다.
상기 조정블럭(141)은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140)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때 판스프링(132)의 단부는 조정블럭(141)의 경사면(141A)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참조번호 133은 롤러로서 샤프트(140)의 회동에 의해서 조정블럭(141)이 유동할때 판스프링(132)의 접촉이 원할하도록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블럭(60)에는 회동편(150)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회동편(150)의 하단부에 상기 패들(paddle;160)이 고정되어서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140)는 상기 회동편(150)의 회동에 의해서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들(160)은 고무부재로 형성되어서, 수압에 의한 패들(160)의 손상을 방지하고 유수의 저항을 최소화하였다.
참조번호 170은 유수(流水)에 의해서 샤프트(140)가 회동되어서 검지스위치(130)가 작동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 후에 검진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타이머이고, 참조번호 120은 타이머 및 검지스위치등이 설치되는 고정판이다.
한편, 상기 유수검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60)과 급수관(50)에 플랜지(62)(51)를 형성하여서 볼트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60)에 나사관(65)을 형성하여서 급수관(50)과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50)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새들(66)을 마련하여서 "U"볼트(67)로 고정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50)에 연결관(68)을 통하여 용접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수검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화재등의 발생으로 화재감지신호를 인식한 스프링쿨러가 작동되면서 급수관(50)을 통하여 유수(流水)가 발생되는 경우, 유수에 의해서 패들(16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의 흐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샤프트(140)가 회동되고 판스프링(132)을 연동하여서 스위치단자(131)를 접촉시켜 검지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타이머(170)에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된 후, 제어실에 검지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스피커(105) 또는 조명등(106)을 통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발광하여서 주위 사람들에게 유수가 발생됨을 알린다.
한편, 검지장치(100)의 조립시에 검지스위치(130)와 샤프트(140)와의 간격에 조립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원추형상의 조정블럭(141)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판스프링(132)단부와 맞닿도록 함으로써 조립오차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유수(流水)의 발생을 스피커 또는 조명등을 통하여 청각 또는 시각적으로 현장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쉽게 알리게 함으로써, 위급상황에서 급수(給水)여부 파악등 현장대처에 유리하게 한다.
둘째, 상호 연동되는 샤프트와 검지스위치의 설치간격 오차에도 불구하고 원추형의 조정블럭(141)을 채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조절하여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세째, 타이머에 의해서 일정시간 지연된 후 작동하므로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급수관의 임의 지점에 결합되어서 유수의 발생을 검지하는 유수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50)과 연통하는 연통공(62)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50)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고정블럭(60)과,
    상기 연통공(62)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60)에 고정되는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1)의 구멍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101)의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샤프트(140)와,
    상기 구멍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실링부재(180)와,
    상기 샤프트(14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50)의 유로상에 위치되는 패들(160)과,
    상기 급수관(50)내 발생된 유수에 의해서 유동하는 상기 샤프트(140)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검지스위치(130)와,
    상기 검지스위치(130)의 작동에 따라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표시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표시부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또는 발광하는 조명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40)의 상단부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40)에 나사결합되어 상호 이동가능한 원추형상의 조정블럭(141)과,
    일단이 상기 검지스위치(130)의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정블럭(14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판스프링(1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KR20-2004-0024597U 2004-08-27 2004-08-27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KR200368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97U KR200368004Y1 (ko) 2004-08-27 2004-08-27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97U KR200368004Y1 (ko) 2004-08-27 2004-08-27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942A Division KR100594935B1 (ko) 2004-08-27 2004-08-27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004Y1 true KR200368004Y1 (ko) 2004-11-17

Family

ID=4935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597U KR200368004Y1 (ko) 2004-08-27 2004-08-27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0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6372B2 (ja)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WO2010147112A1 (ja) 流水検知装置
US20170228999A1 (en) Integrated water detection sensor
KR100594935B1 (ko)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KR20110056848A (ko)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KR20200047167A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1617196B1 (ko) 개폐 표시램프가 구비된 유수검지장치
KR200368004Y1 (ko) 경보기가 채용된 유수검지장치
KR101647664B1 (ko) 화재감지기
KR101604551B1 (ko) 소화 설비용 유수 감지 장치
JP2004325429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をベースとするガスメータ
CN217279770U (zh) 一种消防工程用火灾报警装置
JP6681130B2 (ja) 火災感知器
JP2007109647A (ja) 消火システム用フロースイッチ
JP4616418B1 (ja) 流水検知装置
KR100346574B1 (ko) 가스 안전밸브
KR20180067931A (ko) 유수검지장치가 구비된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KR101403904B1 (ko) 밸브 탬퍼스위치용 스위치 박스
JP7368185B2 (ja) 消火栓装置
JPH09299502A (ja) 流水検知装置
JPH08196658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流水検知装置
JP2004326261A (ja) 火災感知器浸水防止プレート
KR200313895Y1 (ko)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여부 감지장치
JP5520296B2 (ja) 流水検知装置
JP4399557B2 (ja) 火災報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