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816Y1 -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816Y1
KR200367816Y1 KR20-2004-0023395U KR20040023395U KR200367816Y1 KR 200367816 Y1 KR200367816 Y1 KR 200367816Y1 KR 20040023395 U KR20040023395 U KR 20040023395U KR 200367816 Y1 KR200367816 Y1 KR 200367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ressure water
high pressure
pneumatic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태
윤일섭
Original Assignee
김관태
윤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태, 윤일섭 filed Critical 김관태
Priority to KR20-2004-0023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30Chai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긴 길이의 호스를 감아서 보관하는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및 인장와이어 등이 함께 내장된 플렉시블 호스를 권취하면서 전기, 공압 및 고압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는,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및 인장와이어 등이 함께 내장된 플렉시블 호스가 감기거나 풀리는 원통형 드럼과 이 드럼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축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권취부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권취부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전기케이블에 전기를 인가시키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관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전속판과 상기 접속판과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봉과 상기 접속봉을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공급부와; 상기 권취부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공압호스 또는 고압수호스에 고압의 공기 또는 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관의 양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공급관과 상기 고정공급관과 회전축관 사이에 설치된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압 또는 고압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A flexible hose reeling apparatus able to supply electric signal, power, high pressure water}
본 고안은 비교적 긴 길이의 호스를 감아서 보관하는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및 인장와이어 등이 함께 내장된 플렉시블 호스를 권취하면서 전기, 공압 및 고압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취장치는 비교적 긴 길이의 호스나 로프를 원통형 드럼의 외주연에 감아서 보관하고, 보관된 것을 필요에 따라 풀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권취장치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도 있으나 보통은 벨트나 기어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에 의해서 드럼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매설관(5)에 투입되어 매설관 내부의 퇴적물이나 지장물(6)을 분쇄하거나 세정하는 굴착장치(2)는 굴착작업에 필요한 공압, 고압수 및 전기를 소정의 플렉시블 호스(3)를 통해서 지상의 외부지원차량(1)으로부터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굴착장치(2)는 지하매설관(5)을 따라 전진하면서 작업하므로 플렉시블 호스(3)의 길이가비교적 길다. 따라서 외부지원차량(1)의 후미에는 굴착장치(2)의 움직임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3)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장치(10)가 설치된다.
그런데 최근 개발된 굴착장치(2)는 바퀴와 굴착헤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압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굴착헤드에는 소정의 조명기와 카메라가 설치되며, 굴착물을 세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압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장치에 공압, 고압수 및 전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및 고압수호스 등이 각각 요구된다. 그리고 이들을 감거나 풀어주는 동시에 공압, 고압수 및 전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권취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및 인장와이어 등이 내장된 플렉시블 호스를 권취함과 동시에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및 고압수호스에 전기, 공압 및 고압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플렉시블 호스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공압 및 고압수와 같은 기체나 액체상태의 물질을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에 권취된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되어 있는 공압호스 및 고압수호스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플렉시블 호스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연에 권취된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기케이블에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접속시킬 있는 플렉시블 호스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플렉시블 호스가 감기는 드럼과 그 양측에 설치된 회전축관으로 구성된 권취부는 베어링지지대와 구동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와,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공급부 및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공급부는 지지프레임과 고정지지대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하되, 상기 권취부를 상기 전기공급부, 공압공급부 및 고압수공급부로부터 운동학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운동학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은 권취부가 회전하더라도 전기공급부, 공압공급부 및 고압수공급부는 회전하지 않는다는 것과 함께 전기적 또는 유체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는,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및 인장와이어 등이 함께 내장된 플렉시블 호스가 감기거나 풀리는 원통형 드럼과 이 드럼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축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권취부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권취부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전기케이블에 전기를 인가시키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관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전속판과 상기 접속판과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봉과 상기 접속봉을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공급부와; 상기 권취부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공압호스 또는 고압수호스에 고압의 공기 또는 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관의 양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공급관과 상기 고정공급관과 회전축관 사이에 설치된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압 또는 고압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본 고안은 비교적 긴 길이의 호스를 감아서 보관하는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및 인장와이어 등이 함께 내장된 플렉시블 호스를 권취함과 동시에 전기, 공압 및 고압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양단에 원판 형태의 측판이 구비된 드럼과, 상기 측판의 외주연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가이드 휠과, 상기 측판의 외측 중심에 수평하게 형성된 원통관 형태의 회전축관과, 상기 회전축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대와, 상기 측판의 내측 중심에 돌출되게 형성된 소정의 유입노즐과, 상기 측판에 관통되게 형성된 케이블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 회전축관의 외주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과 연결되는 체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공압공급부는, 내측 단부는 일측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외측 단부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연결되는 고정공급관과, 상기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된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설치된 실링수단과, 상기 회전축관과 고정공급관을 직선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고정된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프랜지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관의 선단에 설치된 아이들링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공급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수공급부는, 내측 단부는 타측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외측 단부는 물을 고압으로 펌핑하는 고압펌프와 연결되는 고정공급관과, 상기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된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설치된 실링수단과, 상기 회전축관과 고정공급관을 직선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고정된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결합되며 회전축관의 선단에 설치된 아이들링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공급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전기공급부는, 일측 회전축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절연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다수의 원통형 접속판과, 상기 절연층의 일 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소정의 도선을 통해 다수의 접속판과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접속볼트와, 상기 접속판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절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할되고 외부의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다수의 지지체로 이루어진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체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판의 상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권취장치에 권취되는 플랙시블 호스는, 소정 직경의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인장와이어 등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플랙시블 호스에 내장된 인장와이어는 상기 드럼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케이블은 드럼의 측판에 형성된 케이블구멍을 통해 접속볼트에 연결되어 전기공급부의 접속판과 개별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공압호스 또는 고압수호스는 측판의 안쪽 가운데에 돌출되게 설치된 유입노즐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공급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는 접속봉, 접속판 및 접속볼트를 통해 전기케이블에 공급되고, 상기 공압공급부와 고압수공급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압 및 고압수는 고정공급관, 회전축관 및 유입노즐을 통해 공압호스 및 고압수호스에 공급되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도1의 좌측면도,
도4는 도1의 우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공급부와 전기공급부를 보여주는 도1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플렉시블 호스의 일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장치가 적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플렉시블 호스 10 : 권취장치
20 : 권취부 21 : 드럼
22 : 측판 25a, 25b : 중심축관
26 : 베어링지지대 40 : 구동부
60 : 전기공급부 61 : 절연층
63 : 접속판 65 : 접속봉
66 : 지지블럭 80 : 공압공급부
81 : 고정공급관 82 : 실링부재
83 : 플랜지부 90 : 고압수공급부
303 : 전기케이블 305 : 공압호스
307 : 고압수호스 309 : 인장와이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호스 권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그 좌측면도, 도3은 그 우측면도이며 도4는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권취장치(10)는 크게 소정의 플렉시블 호스가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부(20)와, 상기 권취부(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40)와, 상기 권취부(20)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전기케이블에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공급부(60)와, 상기 권취부(20)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호스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압공급부(80)와, 상기 권취부(20)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호스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수공급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사각형상의 베이스(11)에 설치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상기 권취부(20)는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3)를 감아서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풀어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드럼(21)의 양단에 원판 형태의 측판(22)이 구비되고, 이측판(22)의 외주연에는 드럼(21)에 감겨지는 플렉시블 호스(3)가 바깥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 높이의 가이드 휠(23)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22)의 외측 중심에는 각각 원통관 형태의 회전축관(25a)(25b)이 형성되고, 회전축관(25a)(25b)은 소정의 베어링지지대(26)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어 상기 구동부(40)는 일측 회전축관(25b)에 연결되어 드럼(2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관(25b)의 외주에 설치된 스프로켓(45)과, 상기 스프로켓(45)과 연결되는 체인(43)을 회전시키는 모터(41)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터(41)는 도시되지 않는 제어부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한편, 상기 드럼(21)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3)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직경의 유연성 호스(301)의 내부에 전기 또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전선(302)으로 이루어진 전기케이블(303)과,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압호스(305),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수호스(307) 및 소정의 인장와이어(309)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장와이어(309)는 플렉시블 호스(3)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장치를 끌어당길 때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권취장치(10)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3)에 내장된 전기케이블(303), 공압호스(305) 및 고압수호스(307)에 전기, 고압의 공기 및 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공급부(60), 공압공급부(80) 및 고압수공급부(90)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공압공급부(80)와 고압수공급부(90)는 도2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21)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축관(25a)(25b)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공압공급부(80)는 별도의 장치(예,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플렉시블 호스(3)에 내장된 공압호스(305)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측 단부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연결되고 내측 단부는 상기 회전축관(25a)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소정 직경의 고정공급관(81)과, 상기 회전축관(25a)의 중공부에 삽입된 고정공급관(81)의 선단에 설치된 실링수단(82)과, 상기 고정공급관(81)을 회전하는 회전축관(25a)의 선단에 직선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부(83)와, 상기 고정공급관(81)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대(8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공급관(81)의 선단에 설치된 실링수단(82)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공급관(81)의선단에 설치된 오링(823)과, 상기 회전축관(25a)의 선단에 형성된 확관부(251)의 내주면과 고정공급관(81)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두 개의 실링부재(826)(827)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실링부재 중 안쪽에 설치되는 실링부재(827)은 그라운드 파킹이고, 바깥쪽에 설치되는 실링부재(826)는 상기 플랜지부(83)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83)는 고정공급관(81)과 회전축관(25a)을 직선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공급관(81)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L"자형 고정플랜지(833)와, 상기 회전축관(25a)의 선단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기 고정플랜지(833)에 고정되는 원판형 이이들링 플랜지(83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플랜지(833)의 선단은 회전축관(25a)의 중공부에 삽입되게 된다.
이어 상기 고압수공급부(90)는 별도의 장치(예, 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물을 상기 플렉시블 호스(3)에 내장된 고압수호스(307)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고정공급관(91), 실링수단(92) 및 플랜지부(93)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구조는 상기 공압수공급부(80)와 동일한다. 따라서 고압수공급부(9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전기공급부(60)는 도2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 회전축관(25a)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별도의 장치(예, 발전기 또는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플렉시블 호스(3)에 내장된 전기케이블(303)에 접속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관(25a)의 외주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절연층(61)과, 상기 절연층(61)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다수의 절연벽(62)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다수의 접속판(63)과, 상기 다수의 접속판(63)의 상면과 개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접속봉(65)과, 상기 접속판(63)의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접속봉(65)을 지지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하는 지지블럭(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블럭(66)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절연판(67)과 상기 절연판(67)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봉(65)이 삽입되는 삽입홈(68)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체(69)와, 상기 지지체(69)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단자(6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69)의 삽입홈(68)에는 상기 접속봉(65)을 항상 아랫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5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66)은 소정의 지지프레임(56)을 통해 소정 높이로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부(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드럼(21)은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두 개의 원판형 측판(22)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된 다수의 수평봉(32)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봉(32)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판형 측판(22)의 안쪽 중심에는 공압 또는 고압수가 유입되는 유입노즐(35)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는 전기케이블(302)이 관통되는 케이블구멍(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판형 측판(22)의 외주면에 설치된 가이드휠(23)은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봉(3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호스(3)는 상기 드럼(21)의 외주연에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플렉시블 호스(3)에 내장된 인장와이어(309)는 수평봉(31)에 묶어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3)에 내설된 공압호스(305)는 상기 공압공급부(80)와 연통되는 유입노즐(35a)에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3)에 내장된 고압수호스(307)는 고압수공급부(90)와 연통되는 유입노즐(35b)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호스(3)에 내설된 전기케이블(303)은 측판(22)에 형성된 케이블구멍(34)을 통해 상기 전기공급부(60)의 접속볼트(58)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접속볼트(58)는 전열층(61)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도선을 통해 다수의 접속판(63)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블럭(66)의 접속단자(64)와 접속봉(65)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은 접속판(63)과 접속볼트(58)를 통해 전기케이블(303)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권취장치(10)는 외부지원차량(1)의 후미에 설치된다. 이 외부지원차량(1)은 지하매설관(5)에 투입되어 매설관 내부의 퇴적물과 지장물(6)을 굴착하거나 세정하는 굴착장치(2)와 플렉시블 호스(3)를 통해서 연결된다. 상기 외부지원차량(1)에는 에어콤프레셔, 고압펌프, 발전기 및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3)를 통해 고압의 공기, 고압수 및 전력을 공급하거나 굴착장치(2)의 헤드에 부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지원차량(1)과 굴착장치(3) 사이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3)에는 공압, 고압수 또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압호스(307), 고압수호스(309), 전기케이블(30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착장치(2)를 끌어당기기 위한 인장와이어(309)도 내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굴착장치(2)가 전방으로 전진할 때는 상기 권취장치(10)의 드럼(21)을 회전시켜 플렉시블 호스(3)를 서서히 풀어주고 상기 굴착장치(2)를 끌어당길 때는 상기 권취장치(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렉시블 호스(3)를 감아준다. 또한 상기 굴착장치(2)를 이동시키거나 헤드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는, 외부지원차량(1)의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권취장치(10)의 공압공급부(80)를 통해 공압호스(305)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굴착장치(2)에 설치된 고압수 노즐에 고압수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외부지원차량(1)의 고압펌프로부터 고압수를 권취장치(10)의 고압수공급부(90)를 통해 고압수호스(307)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굴착장치(2)에 장착된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받고자 할 때는, 외부지원차량(1)의 발전기나 전기장치로부터 전기나 전기신호를 권취장치(10)의 전기공급부(60)를 통해 전기케이블(303)로 공급하거나 전송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권취장치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전기케이블 및 인장와이어가 내설된 플렉시블 호스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호스 및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감거나 풀어주면서 공압, 고압수 및 전기 등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권취장치는 지하매설관용 굴착장치와 같이 공압, 고압수 및 전기 등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및 인장와이어 등이 함께 내장된 플렉시블 호스가 감기거나 풀리는 원통형 드럼과 이 드럼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축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권취부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권취부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전기케이블에 전기를 인가시키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관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전속판과 상기 접속판과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봉과 상기 접속봉을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공급부와;
    상기 권취부에 감기는 플렉시블 호스에 내장된 공압호스 또는 고압수호스에 고압의 공기 또는 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관의 양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공급관과 상기 고정공급관과 회전축관 사이에 설치된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압 또는 고압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양단에 원판 형태의 측판이 구비된 드럼과, 상기 측판의 외주연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가이드 휠과, 상기 측판의 외측 중심에 수평하게 형성된 원통관 형태의 회전축관과, 상기 회전축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대와, 상기 측판의 내측 중심에 돌출되게 형성된 소정의 유입노즐과, 상기 측판에 관통되게 형성된 케이블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 회전축관의 외주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과 연결되는 체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부는, 내측 단부는 일측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외측 단부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연결되는 고정공급관과, 상기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된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설치된 실링수단과, 상기 회전축관과 고정공급관을 직선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고정된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프랜지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관의 선단에 설치된 아이들링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공급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공급부는, 내측 단부는 타측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외측 단부는 물을 고압으로 펌핑하는 고압펌프와 연결되는 고정공급관과, 상기 회전축관의 중공부에 삽입된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설치된 실링수단과, 상기 회전축관과 고정공급관을 직선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공급관의 선단에 고정된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결합되며 회전축관의 선단에 설치된 아이들링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공급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는, 일측 회전축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절연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다수의 원통형 접속판과, 상기 절연층의 일 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소정의 도선을 통해 다수의 접속판과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접속볼트와, 상기 접속판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절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할되며 외부의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된 다수의 지지체로 이루어진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체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판의 상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호스는, 소정 직경의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 전기케이블, 공압호스, 고압수호스, 인장와이어 등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호스에 내장된 인장와이어는 상기 드럼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케이블은 드럼의 측판에 형성된 케이블구멍을 통해 접속볼트에 연결되어 전기공급부의 접속판과 개별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공압호스 또는 고압수호스는 측판의 안쪽 가운데에 돌출되게 설치된 유입노즐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는 접속봉, 접속판 및 접속볼트를 통해 전기케이블에 공급되고, 상기 공압공급부와 고압수공급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압 및 고압수는 고정공급관, 회전축관 및 유입노즐을 통해 공압호스 및 고압수호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KR20-2004-0023395U 2004-08-16 2004-08-16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KR200367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95U KR200367816Y1 (ko) 2004-08-16 2004-08-16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95U KR200367816Y1 (ko) 2004-08-16 2004-08-16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816Y1 true KR200367816Y1 (ko) 2004-11-17

Family

ID=4944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395U KR200367816Y1 (ko) 2004-08-16 2004-08-16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8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79B1 (ko) * 2008-07-22 2010-11-22 김춘만 이중 유리 스페이서용 알루미늄시트 공급장치
KR101057812B1 (ko) 2011-02-11 2011-08-19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가스 배관 작업용 툴의 케이블 권취장치
WO2013162115A1 (ko) * 2012-04-26 2013-10-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염수면 위치 추적장치 및 그 설치기
CN109502415A (zh) * 2018-11-28 2019-03-22 安徽牡东通讯光缆有限公司 一种电缆导向稳定的绕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79B1 (ko) * 2008-07-22 2010-11-22 김춘만 이중 유리 스페이서용 알루미늄시트 공급장치
KR101057812B1 (ko) 2011-02-11 2011-08-19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가스 배관 작업용 툴의 케이블 권취장치
WO2013162115A1 (ko) * 2012-04-26 2013-10-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염수면 위치 추적장치 및 그 설치기
CN109502415A (zh) * 2018-11-28 2019-03-22 安徽牡东通讯光缆有限公司 一种电缆导向稳定的绕线装置
CN109502415B (zh) * 2018-11-28 2024-01-26 安徽牡东通讯光缆有限公司 一种电缆导向稳定的绕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7014B2 (en) Roboti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conduits
CA2787876C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USRE38999E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lateral sewer pipes
WO2005010316A2 (en) Remotely operated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40248089A1 (en) Wire Rope Payout Upon Tensile Demand
KR200367816Y1 (ko) 전기, 공압 및 고압수의 공급이 가능한 호스 권취장치
JP4663476B2 (ja) 水圧鉄管の厚み測定方法
CA3134958A1 (en) Compact wind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AU2005202796B2 (en) Cable Reeler and Cable Retrieval Method
US3766996A (en) Drilling apparatus with storage reel means
CN110445057B (zh) 一种输电线路紧线装置
JPH02190594A (ja) 穿岩装置用ホースおよびケーブルリール構造体
KR200389079Y1 (ko) 송전선 가선용 플러 텐셔너
WO2014146986A1 (en) Winding and unwinding device, particularly for power and/or signal transmission cables
AU2019100328A4 (en) Dewatering, test pumping and downhole monitoring system
CN213415910U (zh) 一种具有延长使用寿命功能的同轴线缆
CN111255977B (zh) 管道修复设备及其管道修复方法
CN209816859U (zh) 通信管道内障碍点修复用喷浆抹平装置
KR20210124764A (ko) 케이블용 견인선 포설유니트
KR100424858B1 (ko) 통신관로용 결합형내관 포설기
JP3059756U (ja) 下水道管渠調査装置
CN220744994U (zh) 一种电缆收放装置
CN116014635B (zh) 一种预埋管路布线装置及使用方法
KR100658156B1 (ko) 케이블 보빈장치가 구비된 공중배선 가선차량
KR100340170B1 (ko) 케이블 배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