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743Y1 - 방범창 - Google Patents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743Y1
KR200367743Y1 KR20-2004-0024875U KR20040024875U KR200367743Y1 KR 200367743 Y1 KR200367743 Y1 KR 200367743Y1 KR 20040024875 U KR20040024875 U KR 20040024875U KR 200367743 Y1 KR200367743 Y1 KR 200367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key
window
groov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찬
임진아
Original Assignee
임동순
이만동
임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순, 이만동, 임성순 filed Critical 임동순
Priority to KR20-2004-0024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by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이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림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범키를 부착함으로써, 방범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부재중이나 취침중에 환기를 충분히 시킬 수 있는 방범기능이 장착된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미닫이창의 바깥쪽 창틀의 우측에 형성된 소정길이의 키유동홈과; 상기 바깥쪽 창틀의 우측끝단에 형성된 방범공과; 안쪽 창틀의 좌측끝단에 상기 키유동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방범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범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범창{Crime prevention window}
본 고안은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창문의 밖에서출입이 불가능할 정도로 그 열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범키를 부착함으로써, 실내에 사람이 부재중이거나 혹은 취침중에도 창문을 개방한 상태로 충분히 환기를 시킬 수 있고, 밖으로부터의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범기능이 장착된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등 모든 주택 그리고 각종 창고에도 환기를 위한 많은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용되는 일반적인 창은 잠금장치만 설치되어 있어, 외출시 또는 취침시 방이나 창고의 환기를 시켜야함에도 불구하고, 방범문제로 인해 완전히 밀폐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편안한 수면을 위해서는 적당한 환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방범때문에 밀폐시켜야 하며, 또한 장기간 외출시는 모든 문을 밀폐하는 관계로 방이나 창고에 곰팡이가 핀다거나 심한 악취가 발생되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로써,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바깥쪽 창틀이 아닌 유리에 직접 방범키 암컷을 부착하고, 안쪽창틀에 방범키 수컷에 해당하는 집게를 장착한 예가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코킹실란트가 두터우면 피스를 박았을 때, 반대편이 떠 고정이 잘 않된다거나
(2) 시스템창호(이건창로)에는 아직 부적합하다거나
(3) 샤시규격이 일정하지 않아, 피스 박는 부분이 샤시 밖으로 튀어 나온다거나 하여 창틀의 미관을 해칠수 있으며, 유리를 깰 수도 있으며,
(4) 피스를 너무 세게 조이면 나사가 헛돈다거나 하는 문제를 소비자에게 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리콘 등의 접착제로 간편하게 창 유리에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유리는 힘을 받지 못하므로 힘을 받도록 하기 위해 유리와 좁은 창틀사이로 피스를 박아야 한다.
그러나, 이때 설치가 매우 어려우며, 설치의 숙련도가 본 제품의 기능과 견고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창틀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정형화된 매뉴얼이 아니라 창틀에 맞추어 감각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일반 소비자가 처음 부착하면서 최적의 기능을 발휘시키게 한다는 것은 무리이며, 또한 그것도 일상적인 것이 아니라 방범에 관한 사항을 너무 안이하게 접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즉, 최종적인 품질이 제품이 아니라 소비자의 부착 숙련도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창문을 일상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방범장치의 수컷의 스프링을 강하게 눌러주면서 창틀을 잡고 옆으로 힘을 가해야 하는데, 이때 손가락이 비교적 작은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바깥창틀 (실내에서봤을 때 기준)의 우측(바깥창틀이 좌측에 있는 경우이며, 만일 바깥창틀이 우측에 있을 경우에는 좌측 즉, 두 창틀의 중앙쪽이며, 이하의 설명은 바깥창틀이 좌측에 있는 경우를 들어 기술함. 또한 부착위치는 창틀의 상단 혹은 하단 특별한 제약사항은 없음)에 형성된 키유동홈과, 안쪽창틀의 좌측에 방범키를 한쌍으로 장착하여 방범기능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상기 키유동홈의 우측 끝단에 오목하게 일체로 형성된 "방범공"과 새롭게 고안된 2중잠금장치인 방범키 수컷과의 조합, 또는 방범키 암컷의 키유동홈보다 높게 형성된 "방범공"과 기존 장석의 슬라이드핀의 형태를 일자형(ㅣ)에서 기역자형(ㄱ)이나 티자형(T)으로 새롭게 고안된 방범키의 회전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2중잠금기능을 실현하는 방범키와의 조합에 의해 본 고안이 완성된다.
후자의 경우, 전자와 비교하여 방범공의 깊이를 높이로 대신하였고, 2단잠금을 1단잠금으로 하는 대신 슬라이드핀의 회전을 이용한 2중잠금 기능을 새롭게 실현하였는 바, 전체적으로 설치공간 특히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도 간편하여 좀 더 진일보적인 고안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키유동홈과 방범키 한쌍으로 구성되는 방범창은 키유동홈의 장착이 매우 중요하다. 즉, 키유동홈이 창틀과 평행하게 바르게 창틀에 매몰 장착되어야 방범장치로써의 견고성과 기본적인 기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없다.
즉, 오차없이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 방범의 전제이며, 기본이기 때문에 본 고안품은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의 장착도 가능하지만 창틀 제작시 설계단계에서 부터 반영하여 장착하는 것을 권장한다. 키유동홈이 제대로 장착되면, 방범키는 키유동홈에 맞추어 장착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다.
본 고안의 핵심인 창틀이 열린상태에서 방범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창틀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방범키의 해제와 작동이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관점에서 기능을 완성시켜야 하는데, 하나는 일상적인 기능과 다른하나는 방범기능이다. 일상적인 기능이라 함은 일반 창문과 같이 사용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어야 하며, 사람이 부재중이거나 취침중에는 방범기능을 충실하게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완성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첨부한 도면과 같이 먼저 방범키에 해당하는 이중잠금장치를 개발하였고, 이러한 이중잠금장치가 방범기능을 충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 유동홈에 별도의 추가적인 깊이를 갖는 방범공과의 조합에 의해 본 고안이 완성됨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별도의 깊이를 갖는 방범공 대신에 별도의 높이를 갖는 방범공과 방범키의 슬라이드핀의 구조를 일자형(ㅣ) 대신에 기역자형(ㄱ)이나 티자형(T)으로 하면 슬라이드핀의 회전시 회전반경이 깊이의 방범공 기능을 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키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방범창 작동시 도 5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면도.
도 7은 방범창 해제시 도 5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방범창 작동시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방범창 해제시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주지된 푸시버튼부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닫이창 3 : 바깥쪽 창틀
5 : 안쪽 창틀 10a,10b : 키유동홈
12a,12b : 방범공 14 : 제 3 걸림홈
20a,20b,20c : 방범키 30 : 결합구
32 : 1차 가이드홈 34 : 제 1 걸림홈
36 : 제 2 걸림홈 38 : 제 2 가이드홈
40a,40b: 슬라이드핀 42 : 손잡이
44 : 절곡부 50 : 키수용홀 52 : 스프링 54 : 개구부 60 : 작동핀 70 : 푸시버튼부 72 : 푸시버튼 74 : 환상캠부 76 : 회전체 78 : 홈캠 80 : 단턱 82 : 작동부 84 : 돌출부 86 : 가이드판 88 : 돌출턱 90 : 삽입홈
92 : 제 1 톱니 94 : 제 2 톱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미닫이창의 바깥쪽 창틀의 우측에 형성된 소정길이의 키유동홈과; 상기 바깥쪽 창틀의 우측끝단에 형성된 방범공과; 안쪽 창틀의 좌측끝단에 상기 키유동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방범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방범공은 상기 키유동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방범키는: 안쪽 창틀의 좌측면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전후단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홈과; 상기 제 1 걸림홈에서 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2 가이드홈과;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핀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방범공은 상기 키유동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방범키는: 안쪽 창틀의 좌측면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전후단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홈과;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전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슬라이드핀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으로 개구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환상캠부와, 상기 환상캠부의 작용을 받아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체로 구성된 푸시버튼부에 있어서, 안쪽 창틀의 좌측 끝단에 관통형성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키수용홀과; 상기 키수용홀의 후단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홈캠과; 상기키수용홀의 전단 내주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몰하는 작동핀과; 상기 작동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푸시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바깥창틀의 우측하단(실내에서 봤을 때 기준)에 형성된 키유동홈을 갖는 키유동홈(10a,10b)과, 상기 키유동홈(10a,10b)의 우측 끝단에 오목하게 일체로 형성된 방범공(12a,12b)과, 안쪽 창틀(5)의 좌측하단에 장착된 방범키(20a,20b)을 한쌍으로 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방범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부재중이나 취침중에 창문이 개방된 상태로 환기를 충분히 시킬 수 있고, 두 창문이 완전히 닫혀있을 때만 방범창의 작동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외부에서는 어떠한 장비를 사용하여도 방범창을 해제할 수 없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고안은 미닫이창(1)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바깥쪽 창틀(3)의 우측끝단에 장착된 키유동홈(11a)을 갖는 장홈형식의 방범공과, 안쪽 창틀(5)의 좌측면에 장착된 방범키(20a,20b)와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 유동홈(11a,b)의 길이는 방범키(20a,b,c)의 작동시 이동가능한 거리 즉, 창문이 개방될 수 있는 거리로써, 바깥쪽 창틀(3)의 우측 하단(혹은 상단)에 길이방향(창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키유동홈의 길이가 1cm 이하이면 실직적인 환기효과가 적으며,25cm이상이면 아주 작은 체격의 소유자라면 통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방범효과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게는, 5∼20cm가 적당하다.
또한, 키 유동홈(10a,10b)의 깊이는 2-20mm가 적합하다. 2mm이하가 되면,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두 창틀의 틈새와 틈새사이로 도구를 이용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방범키가 무리하게 해제될 수도 있기 때문이며, 20mm이상이 되면 창틀의 두께와 관련하여 장착에 제약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작동원리상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방범키 키유동홈(10a)의 우측끝단에는 키작동 및 해제를 위한 방범공(12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키작동 및 해제를 위한 방범공(12a)의 깊이는 2-20mm가 적합하다.
만약, 2mm이하가 되면,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두 창틀의 틈새의 오차로 인해, 그리고 외부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두 창틀의 틈새를 무리한 힘을 가하여 벌리게 되면 방범키가 무리하게 해제되어 버릴수도 있고, 20mm이상이 되면 창틀의 두께와 관련하여 장착에 제약이 있다.
상기 방범키(20a)는 안쪽 창틀(5)의 좌측면 하단에 설치되고, 전후방이 개구되는 결합구(30)와, 이 결합구(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핀(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30)는 정면에서 보면 단면이 반원형이고, 측면에서 보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1 가이드홈(32)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가이드홈(32)의 양끝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제 1 및제 2 걸림홈(34,36)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걸림홈(34)은 전방에, 제 2 걸림홈(36)은 후방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걸림홈(34)의 하단에서 후방향으로 상기 제 1 가이드홈(32)과 평행하게 키작동 및 해제를 위한 제 2 가이드홈(38)이 관통형성되고, 제 2가이드홈(38)의 끝단에서 다시 원주방향으로 제 3 걸림홈(14)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3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핀(40)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핀(4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4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 가이드홈(32)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키유동홈(10a)과 방범키(20a)를 창틀의 하단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상단에도 적용가능하다. 미설명부호 16은 고정볼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두 창틀이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만 상기 손잡이(42)가 제 1 가이드홈(32)의 전단까지 이동하여 슬라이드핀(40)의 전단부가 상기 방범공(12a)에 수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손잡이(42)을 제 1 가이드홈(32)의 전단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제 2 가이드홈(38)을 통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핀(40)의 전단은 상기 방범공(12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 2 가이드홈(38)의 후단에서 손잡이(42)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3 걸림홈(14)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핀(40)의 전단은 상기 방범키 암컷(10a)의 키유동홈(11a)의 우측 끝단에서 좌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드핀(40)은 상기 키유동홈의 길이만큼만 이동 즉, 창문의 개방이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인 창문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양쪽 창문을 완전히 닫은 다음, 상기 제 3 걸림홈(14)에서 손잡이(42)를 회전시켜 제 1 걸림홈(34)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손잡이(42)를 위로 회전시킨 다음, 제 1 가이드홈(32)의 전단에서 손잡이(42)를 후방으로 당겨 제 1 가이드홈(32)의 후단까지 이동시킨후, 손잡이(42)를 원주방향으로 내려 제 2 걸림홈(36)의 하단에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핀(40)의 전단은 결합구(3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됨으로써, 창문을 완전히 개폐하는데 간섭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작동상태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창처럼 사용가능하고, 방범창으로 사용시에는 취침시나 외출시에 소정길이 만큼 창문을 열어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방범키가 작동되었거나 해제되어 있는 경우 모두 본 고안품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일반 창문 처럼 동일하게 남녀노소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방범창으로 사용할 경우 즉, 상기 슬라이드핀(40)의 전단부가 방범키 암컷(10a)의 키 유동홈(11a)에서 좌우로 유동할 때에는 손잡이(42)가 제 2 가이드홈(38)의 후단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또한, 방범창의 작동을 해제하기 위해서(즉, 일반적인 창문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쪽 창문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만 해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창으로 사용하려면 상기 손잡이(42)를 제 1 가이드홈(32)을 통해 후퇴시켜 제 2 걸림홈(36)에 잠궈, 슬라이드핀(40)이 결합구(30)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방범창으로 사용시 상기 슬라이드핀(40)의 전단부가 키유동홈(12a)에 걸려 손잡이(42)가 제 1 가이드홈(32)으로 빠져나올 수가 없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키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방범키(20b)와 키유동홈(10b) 및 방범공(12b)의 조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의 키유동홈(10b)과 방범키(20b)의 조합을 보다 간편하게 하면서, 동일한 이중잠금 기능을 실현한 것으로써, 바깥쪽 창틀(3)의 우측끝단에 버선모양의 "키유동홈"(10b)과 안쪽창틀(5)의 좌측면에 장착된 "방범키"(20b)와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유동홈(10b)의 길이는 방범키(20b)의 작동시 이동가능한 거리 즉, 창문이 개방될 수 있는 거리로써, 바깥쪽 창틀(3)의 우측하단(혹은 상단)에 길이방향(창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유동홈(10b)의 우측 끝단에는 키 작동및 해제를 위한 회전공간인 “방범공”(12b)이 키유동홈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키 작동및 해제를 위한 방범공의 최대높이는 방범키 수컷(20b)의 “슬라이드핀(40b)의 절곡부(44)”의 높이와 슬라이드핀(40b)의 직경을 합한 것으로써 슬라이드핀의 직경보다 2-30mm더 높게한다.
이때의 사유도 전술한 바와 같이, 2mm이하가 되면,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두 창틀의 틈새의 오차로 인해, 그리고 외부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두 창틀의 틈새를 무리한 힘을 가하여 벌리게 되면 방범키가 무리하게 해제되어 버릴수도 있고, 20mm이상이 되면 창틀의 두께와 관련하여 장착에 제약이 있으며, 본 고안의 작동원리상 더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때, 키유동홈(10b)의 깊이는 2-30mm가 적당하다. 키유동홈의 깊이가 2mm이하가 되면, 두 창틀의 틈새의 오차로 인해, 방범키(20b)가 키유동홈(10b)에 걸리지 않아 방범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30mm이상이 되면, 창틀의 두께와 관련하여 장착에 제약이 있으며, 본 고안의 작동원리상 불필요하다.
상기 방범키(20b)는 안쪽창틀(5)의 좌측면 하단에 설치되고 전후방이 개구되는 결합구(30)와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핀(4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30)는 정면에서 보면 단면이 반원형이고 측면에서 보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1 가이드홈(32)이 관통형성된다.이와 동시에 상기 1차 가이드홈(32)의 양끝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제 1 및 제 2 걸림홈(34,36)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걸림홈(34)은 전방에 제 2 걸림홈(36)은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3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핀(40)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핀(4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4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가이드홈(32)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키유동홈(10b)과 방범키(20b)를 창틀의 하단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상단에 적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방범창 작동시 도 5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방범창 해제시 도 5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면도이다.
이와같은 키유동홈(10b)과 방범키(20b)의 조합으로 두 창틀이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만 상기 손잡이(42)를 들어올릴수 있어 방범키 작동이 가능하다. 이때 슬라이드핀(40)은 제 2 걸림홈(36)에서 90°회전하여 제 1 가이드홈의 위치로 가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가이드홈(32)을 따라 제 1 걸림홈(34)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핀(40)의 절곡부(44)는 상기 방범공(12b)에 수용된다.
동시에, 상기 손잡이(42)를 제 1 걸림홈(34) 하단으로 90° 회전시키면 절곡부(44)는 키유동홈(10b)의 삽입위치로 가게되며, 이때 창문을 개방하게 되면, 방범키(20b)가 작동하게 되며, 밖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방범키(20b)를 해제시킬수 없게 된다.
한편, 방범키(20b)를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창문을 완전히 밀폐시킨 다음, 손잡이(42)를 위로 들어올리면 슬라이드핀(40b)의 절곡부(44)가 키유동홈(10b)에서 빠져나와 방범공(12b)의 위치에 가게된다.
이때, 손잡이(42)를 제 1 가이드홈(3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후, 제 2 걸림홈(36)으로 내려놓으면 방범키(20b)가 완전히 해제되어 방범키(20b)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창과 같은 상태가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범키(20c)는 공지된 푸시-버튼식 볼펜의 원리를 적용한 예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방범창 작동시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방범창 해제시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 눌러주면 볼펜심이 나오고 다시 한번 누르면 볼펜심이 들어가게 되어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2중잠금장치 대신 방범키(20c)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번 누르면 방범키(20c)가 작동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방범키(20c)가 해제되면 되는데, 중요한 것은 2중잠금을 위해 한번 눌러 볼펜심이 나온 상태에서 다시 눌러 볼펜심을 후진시키는 중간에 튀어나온 볼펜심이 추가로 튀어나온 다음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즉, 전진 다음 곧바로 후진하는 것이 아니라 , 전진상태에서 추가전진후 후진하게 되는데, 이때 추가전진의 길이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범공(12a)의 깊이에 해당되기 때문에 돌출턱(88)과 이와 함께 작동하는 제 2 톱니(94)의 높이를 일반적인 볼펜의 경우보다 훨씬 높게해줄 필요가 있다. 즉, 제 2 톱니(94)의 높이를 2-20mm로 하되 더욱 바람직스럽게는 5-15mm가 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범키(20c)는 안쪽 창틀(5)의 좌측끝단에 설치된 키수용홀(50)과, 상기 키수용홀(50)의 전단 내주면에 설치된 스프링(52)과, 상기 키수용홀(50)을 통해 관통설치된 작동핀(60)과, 상기 작동핀(60)의 후단에 결합된 푸시버튼부(7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수용홀(50)은 안쪽 창틀(5)의 좌측 하단(또는 상단)에 소정직경으로 관통설치되고, 전방에 개구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2)은 키수용홀(50)의 전단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핀(60)은 상기 스프링(52)을 관통하여 개구부(54)를 통해 인출 및 삽입된다.
상기 작동핀(60)의 후단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부(7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푸시버튼부(70)는 푸시버튼(72)과, 상기 푸시버튼(72)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환상캠부(74)와, 이 환상캠부(7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76)와, 상기 키수용홀(5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캠(7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버튼(72)은 전방으로 개구되고, 그 전단부에는 상기 키수용홀(50)의 내주면에 원활하게 전후진되도록 단턱(80)이 형성된다.
상기 환상캠부(74)는 전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모양으로 형성된 작동부(82)와, 상기 작동부(82)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8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푸시버튼(72)의 전단은 상기 작동부(82)의 후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76)는 원통형으로 상기 작동핀(60)의 후단에 결합되고, 회전체(76)의 전단에는 상기 스프링(52)의 후단과 접하는 가이드판(86)이 형성되며, 회전체(76)의 후단은 상기 환상캠부(74)의 작동부(82) 전단부와 맞물리면서 회전되도록 톱니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76)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턱(88)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수용홀(50)의 내주면에는 홈캠(78)이 형성된다. 상기 홈캠(78)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홈(90)과, 이 홈캠(78)의 전단은 상기 삽입홈(90) 사이에 제 1 및 제 2 톱니(92,9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톱니(94)의 상단과 하단의 길이차이는 종래의 푸시버튼(72)식 볼펜에 적용하는 길이보다 더 크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도 9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주지된 푸시버튼부의 작동상태도이다.
평상시에는 작동핀(60)이 키수용홀(50)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일반창과 같이 완전히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76)의 돌출턱(88)은 키수용홀(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삽입홈(90)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환상캠부(74)의 작동부(82)의 나사산부(83)와 회전체(76)의 나사산부가 엇갈려서 접촉된 상태이다.
방범창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푸시버튼(72)을 눌러 상기 환상캠부(74)를 가압한다. 상기 가압력에 의해 회전체(76)의 돌출턱(88)이 홈캠(78)의 삽입홈(9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턱(88)이 삽입홈(90)에서 빠져나오면서 상기 가압력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52)의 탄성력으로 인해 회전체(76)의 나사산부와 환상캠부(74)의 나사산부가 완전히 맞물리면서 회전체(76)가 왼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턱(88)이 키수용홀(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 톱니(9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되어 제 1 및 제 2 톱니(92,94) 사이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회전체(76)의 전단에 결합된 작동핀(60)은 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다.
이때, 상기 돌출턱(88)이 제 1 톱니(92)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상기 회전체(76)의 나사산부는 원래대로 환상캠부(74)의 나사산부와 엇갈려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범키(20c)의 작동상태에 의해, 창문을 개방하면 상기 작동핀(60)은 소정길이만큼 돌출고정되어 키유동홈(1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키유동홈(10)의 길이만큼만 열리게 된다.
한편, 방범창의 작동을 해제하기 위해서 즉, 일반창처럼 창문을 완전히 개폐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핀(60)을 키수용홀(50)에 삽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양쪽창문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핀(60)과 키작동 및 해제홈(12)이 마주보도록 일치시킨 다음, 상기 푸시버튼(72)을 눌러야 한다.
왜냐하면, 상기 키유동홈(10a)의 깊이는 상기 작동핀(60)의 전단부의 돌출길이와 미소한 차이로 더 깊게 형성되어 방범창의 작동시 즉, 작동핀(60)이 상기 키유동홈(10a)을 따라 이동시에는 상기 푸시버튼(72)이 더이상 눌려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방범창을 해제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필요하나, 상기 키유동홈(12a)과 작동핀(60)의 전단 사이의 틈은 2mm가 미만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72)을 눌러 상기 환상캠부(74)를 가압한다. 상기 가압력에 의해 회전체(76)의 돌출턱(88)이 제 2 톱니(94)의 우측면(수직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턱(88)이 제 2 톱니(94)의 상단에서 빠져나오면서 상기 가압력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52)의 탄성력으로 인해 회전체(76)의 나사산부(77)와 환상캠부(74)의 나사산부가 완전히 맞물리면서 회전체(76)가 왼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턱(88)이 제 2 톱니(94)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삽입홈(90)을 통해 삽입되므로, 상기 회전체(76)의 전단에 결합된 작동핀(60)은 상기 개구부(54)를 통해 키수용홀(5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방범키(20c)의 작동상태에 따라, 작동핀(60)의 간섭없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은 종래와 달리 외부에서 어떠한 장비도 이용할 수 없도록 양 창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방범키(20a,20b,20c)의 작동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방범키(20a,20b,20c)는 반드시 어느 한가지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장석 및 푸시버튼식 볼펜의 원리 외에도 다른 형태로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방범공(12a,12b)은 키유동홈(10a,10b)의 우측끝단에 형성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방범공을 키유동홈(10a,10b)의 중간에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방범공(12a,12b)은 키유동홈(10a,10b)의 우측끝단에 형성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방범공(12a,12b)을 키유동홈(10a,10b)의 중간에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범창에 의하면, 바깥창틀의 우측하단(실내에서 봤을 때이며, 바깥창틀이 좌측에 설치된 창을 기준함)에 키유동홈과, 상기 키유동홈의 우측 끝단에 오목하게 일체로 형성된 방범공과, 안쪽 창틀의 좌측하단에 장착된 방범키 수컷의 조합과 바깥창틀의 우측하단에 키유동홈과, 상기 키유동홈의 우측 끝단에 버선모양으로 볼록하게 일체로 형성된 방범공과, 안쪽 창틀의 좌측하단에 장착된 방범키를 각각 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실내에 사람이 없는 또는 취침중에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환기를 충분히 시킬 수 있고, 두 창문이 완전히 닫혀있을 때만 방범창의 작동 및 해제가 가능하여 외부에서는 어떠한 장비를 사용하여도 방범키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실내에 사람이 부재중이거나 취침중에는 방범창으로써의 충실한 기능실현과 실내에 사람이 활동중에 있는 경우에는 일반창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범창을 제공한다.

Claims (4)

  1. 미닫이창의 바깥쪽 창틀의 우측에 형성된 소정길이의 키유동홈과;
    상기 바깥쪽 창틀의 우측끝단에 형성된 방범공과;
    안쪽 창틀의 좌측끝단에 상기 키유동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방범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방범공은 상기 키유동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방범키는:
    안쪽 창틀의 좌측면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전후단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홈과;
    상기 제 1 걸림홈에서 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2 가이드홈과;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핀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방범공은 상기 키유동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형성되고, 상기 방범키는:
    안쪽 창틀의 좌측면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전후단에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홈과;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전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슬라이드핀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전방으로 개구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환상캠부와, 상기 환상캠부의 작용을 받아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체로 구성된 푸시버튼부에 있어서,
    안쪽 창틀의 좌측 끝단에 관통형성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키수용홀과;
    상기 키수용홀의 후단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홈캠과;
    상기 키수용홀의 전단 내주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몰하는 작동핀과;
    상기 작동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푸시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KR20-2004-0024875U 2004-08-31 2004-08-31 방범창 KR200367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75U KR200367743Y1 (ko) 2004-08-31 2004-08-31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75U KR200367743Y1 (ko) 2004-08-31 2004-08-31 방범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879A Division KR100652164B1 (ko) 2004-08-31 2004-08-31 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743Y1 true KR200367743Y1 (ko) 2004-11-12

Family

ID=4935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875U KR200367743Y1 (ko) 2004-08-31 2004-08-31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7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17B1 (ko) 2007-01-29 2012-08-08 (주)엘지하우시스 창문용 록킹장치
KR200482418Y1 (ko) 2015-08-10 2017-01-19 김태훈 다이얼 키이형 창문 잠금장치
KR101904449B1 (ko) * 2016-11-30 2018-11-30 백승민 미닫이형 이중창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17B1 (ko) 2007-01-29 2012-08-08 (주)엘지하우시스 창문용 록킹장치
KR200482418Y1 (ko) 2015-08-10 2017-01-19 김태훈 다이얼 키이형 창문 잠금장치
KR101904449B1 (ko) * 2016-11-30 2018-11-30 백승민 미닫이형 이중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7779A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s
CN100365243C (zh) 一种推拉、平开两用门窗的定位机构
US20100300000A1 (en) Single action vent stop
EP0942133A1 (en) Push-bar for doors in general
KR100652164B1 (ko) 방범창
KR200367743Y1 (ko) 방범창
CN201258608Y (zh) 把手锁内把手
ITMI992767A1 (it) Maniglione con azionamento a spinta per porte in genere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100752053B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426019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1035949B1 (ko) 미닫이창문의 개폐제어용 고정장치
KR100325842B1 (ko) 기밀 가능한 도어
JP4024336B2 (ja) 鍵孔シャッター付のキーガイド
JP4126181B2 (ja) 電気錠の切換えレバーと支持枠との構造
CN213418767U (zh) 一种门窗条形锁的上锁结构
CN216476787U (zh) 一种单舌锁体
JPS5817887Y2 (ja) 換気用小窓のロツク装置
TW201315884A (zh) 雙門用鎖固裝置
JP2004263475A (ja) 玄関扉
JP2005076323A (ja) 開口部装置
JPH0619029Y2 (ja) 面格子
KR200226314Y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373061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