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228Y1 -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 Google Patents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228Y1
KR200367228Y1 KR20-2004-0024450U KR20040024450U KR200367228Y1 KR 200367228 Y1 KR200367228 Y1 KR 200367228Y1 KR 20040024450 U KR20040024450 U KR 20040024450U KR 200367228 Y1 KR200367228 Y1 KR 200367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utton hole
garment
elastic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만
Original Assignee
김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만 filed Critical 김동만
Priority to KR20-2004-0024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2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2Buttonholes; Eyelets for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2Button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으로, 좌우 한 쌍의 단추구멍형성부와 단추결합부에 각각 단추구멍 및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단추가 고정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형성부은 상기 단추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면이 신축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추구멍의 둘레 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을 신축성부재로 구성하여 단추와 단추구멍간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의복을 탈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Clothes having button hole of elasticity}
본 고안은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추구멍의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을 신축성부재로 구성하여 단추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의복을 탈의할 수 있도록 한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셔츠나 바지 등 대부분의 의복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6)을 탈의하기 용이하도록 그 앞부분이나 소매 깃 부분에 개방부(5)를 형성하여 그 좌우에 형성된 한 쌍의 단추구멍형성부(1)와 단추결합부(2)에 각각 단추구멍(3) 및 이와 대응하는 단추결합부(2)의 위치에 단추(4)가 고정 부착되고, 상기 단추(4)가 단추구멍(3)에 끼워져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상기 개방부(5)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추구멍(3)은 통상 상하 또는 좌우방향의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단추(4)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뤄지고, 이러한 단추구멍(3)의 성형구조는 단추(4)와 단추구멍(3)간의 결합력을 유지하기엔 용이한 구조이나, 이는 단추(4)와 단추구멍(3) 사이의 결합상태를 과도하게 긴밀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한 탈의가 곤란한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엔 단추와 단추구멍간의 결합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되, 필요시엔 신속하고 편리하게 단추구멍을 개방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의복을 용이하게 탈의할 수 있도록 한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은, 좌우 한 쌍의 단추구멍형성부와 단추결합부에 각각 단추구멍 및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단추가 고정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형성부에는 상기 단추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면이 신축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부재는 상기 단추구멍을 중심으로 그 둘레 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형성부는 전체가 신축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성부재는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무사로 편성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추와 단추구멍 간의 결합/분리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추와 단추구멍 간의 결합/분리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 중 신축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2 중 신축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2 중 신축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추구멍형성부 11 ; 단추구멍
20 ; 단추결합부 21 ; 단추
30 ; 신축성부재 32 ; 고무사
33 ; 절개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추와 단추구멍 간의 결합/분리구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은, 통상 의복(100)의 앞부분에 탈의를 위해 개방부(25)가 형성되도록 좌우 한 쌍의 단추구멍형성부(10)와 단추결합부(20)를 형성하되, 상기 단추구멍형성부(1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단추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단추결합부(20)에는 상기 단추구멍(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단추(21)가 고정 부착된 의복(100)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형성부(10)는 상기 단추구멍(11)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면이 우수한 탄력성과 복원력을 갖는 신축성부재(3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단추구멍(11)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일 경우 채워진 단추(21)가 좌우로 힘을 받게 하고, 좌우방향일 경우엔 상하로 힘을 받도록 하여 의복(100)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인력이 가해지더라도 단추(21)와 단추구멍(11)간의 예기치 못한 탈기를 방지하므로 의복(100)의 개방부(25)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신축성부재(30)는 박음질 등을 통해 의복(100)의 단추구멍형성부(10)에 설치되되, 그 소재는 단추(21) 삽입시 적당히 늘어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예를 들어, 고탄력의 복원력이 우수한 스판덱스 등의 재질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로서, 고무실의 약 3배의 강도를 가지며, 원래 길이보다 5~8배 정도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며, 가볍고 내노화성이 우수한 섬유물질이다.
또한, 신축성부재(30)의 단추구멍(11)에의 구성위치는 단추(21)의 모양 및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특히, 도 3은 도 2 중 신축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신축성부재(3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추구멍(11)을 중심으로 그 둘레 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면 단추(21)와 단추구멍(11)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일반적인 원형단추 이외에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단추(21)를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단추(21)를 신축성부재(30) 내에 단추구멍(11)에 끼워 결합하거나 단추(21)를 단추구멍(11)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의복(100)의 개방부(25)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단추(21)를 단추구멍(11)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추구멍(11)은 신축성부재(30)의 늘어나는 성질에 의해 확장되면서 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므로, 이에 단추(21)의 결합 및 분리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21)가 단추구멍(1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신축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단추(21)의 실밥이 지지대 역할을 하여 의복(100)에 상당한 수준의 외부 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단추(21)가 단추구멍(11)으로부터 분리되어 의복(100)의 개방부(25)를 개방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착용자가 편안하게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신축성부재(30)의 늘어나는 성질을 이용하면 의복(100) 탈의시 단추(21)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리하지 않아도 의복(100)의 하부 또는 좌우측면을 어깨선을 중심으로 하여 단추구멍(11)의 형태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적정한 힘을 주어 잡아당기게 되면 단추(21)가 자동으로 최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풀리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2 중 신축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성부재(30)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추구멍(11)을 따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무사(31)로 편성된 직물로 제작함으로써 단추(21)의 단추구멍(11) 삽입시 단추구멍(11)의 신축 및 복귀를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축성부재(30)에 고무사(31)를 사용하는 경우, 고탄력과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면서도 신축성부재(3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으나, 사용 가능한 의복(100)은 다림질이 필요 없는 일반 셔츠나 난방, 자가 형상 기억원단 등에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단추(21)를 단추구멍(11)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추구멍(11)이 신축성부재(30)의 늘어나는 성질 및 고무사(31)를 통해 적절히 확장되므로 단추(21)의 결합 및 분리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단추(21)가 단추구멍(1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의복(100)에 상당한 외부 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단추(21)가 단추구멍(11)으로부터 분리되어 의복(100)의 개방부(25)를 개방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착용자가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성용의복과 남성용의복의 경우 단추구멍형성부(10)와 단추결합부(20)의 위치가 좌우로 각각 상이하나 본 고안의 신축성 단추구멍(11)의 구조는 그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구멍형성부(10) 전체를 신축성부재(30)로 구성함으로써 의복(100) 제작상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의복(100)의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주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성 단축구멍을 구비한 의복은, 단추구멍의 둘레 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을 신축성부재로 구성하여 단추와 단추구멍간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의복을 탈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좌우 한 쌍의 단추구멍형성부(10)와 단추결합부(20)에 각각 단추구멍(11) 및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단추(21)가 고정 부착된 의복(100)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형성부(10)에는, 상기 단추구멍(20)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어느 일면이 신축성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부재(30)는,
    상기 단추구멍(11)을 중심으로 그 둘레 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구멍형성부(10)는,
    전체가 신축성부재(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부재(30)는,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무사(31)로 편성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KR20-2004-0024450U 2004-08-26 2004-08-26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KR200367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50U KR200367228Y1 (ko) 2004-08-26 2004-08-26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50U KR200367228Y1 (ko) 2004-08-26 2004-08-26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228Y1 true KR200367228Y1 (ko) 2004-11-10

Family

ID=4935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450U KR200367228Y1 (ko) 2004-08-26 2004-08-26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2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2435B (zh) 用于服装物品的装饰件
KR101527704B1 (ko) 발가락 양말 및 그 제조방법
US3487473A (en) Combination pants and hose garment
EP3126557B1 (en) Method of forming a unitary knit article using flat-knit construction
JP2009102772A (ja) カフスとその製造方法
KR200367228Y1 (ko) 신축성 단추구멍을 구비한 의복
US20170265538A1 (en) Convertible swimsuit cover-up
JP6752900B2 (ja) 子供用肌着
KR20080086350A (ko) 유유아용 의복
WO2016210316A1 (en) Wearable elastic pairing device for socks
KR200404490Y1 (ko) 간편 상의
KR200164666Y1 (ko) 여성용 니트 한복저고리
KR200433543Y1 (ko) 의류 옷단 늘어짐 방지구조
KR101404956B1 (ko) 단추 체인 등의 장신구 탈부착이 가능한 스타일리쉬 의류
US2994884A (en) Garment with expansible neck
JP3719564B2 (ja) 防塵上衣
KR101037841B1 (ko) 기장 신장형 의복
KR200291460Y1 (ko) 티셔츠
KR200203972Y1 (ko) 조절이 가능한 개폐형 밴드 부착 양말
JP3221053U (ja) 着物用半衿
JP3215630U (ja) 衣類用口部材
KR100780859B1 (ko) 의복의 이음매처리 방법
JP2018016922A (ja) ストッキ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2804U (ko) 임신부용 탄성섬유 벨트
JP3062695U (ja) 動作適応可能な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