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148Y1 -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148Y1
KR200367148Y1 KR20-2004-0022566U KR20040022566U KR200367148Y1 KR 200367148 Y1 KR200367148 Y1 KR 200367148Y1 KR 20040022566 U KR20040022566 U KR 20040022566U KR 200367148 Y1 KR200367148 Y1 KR 200367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ing
level
drill
portab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식
Original Assignee
김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식 filed Critical 김강식
Priority to KR20-2004-0022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드릴 본체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고정용 나사가 체결되는 브래킷이 형성되어 드릴 본체에 체결되는 고정구와; 한쪽편은 전기 코드가 삽입되는 코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드릴 본체의 제1손잡이 고정부에서 상기 제1손잡이와 함께 나사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편에는 상기 고정구와 고정용 나사로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수준기가 형성되는 손잡이 고정틀과; 상기 손잡이 고정틀에 대칭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손잡이로 되어 드릴 작업시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Auxiliary handle device of portable electric drill with a level}
본 고안은 작업자가 정확한 드릴 작업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 드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전기 드릴에서 수준기를 구비하는 보조 손잡이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드릴의 수평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면서, 또한 확인되는 수평 상태에 따라 작업 자세와 드릴의 수직 방향 위치를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기 드릴은 테이블에 고정되어 정하여진 위치에서만 천공 작업을 할 수 있는 탁상용 드릴링 머신과는 달리 이동성이 편리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 장소로 신속히 이동하여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기 드릴은 이동성과 사용성이 우수한 반면에 드릴 본체로부터 하나의 손잡이를 구비하게 됨에 따라 드릴 천공 작업을 하면서 가공되는 천공홈에 대하여 드릴의 동축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어서 드릴이 기울어진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작업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드릴 본체의 상부면에 수준기를 부착한 휴대용 전기 드릴이 제안되었다.
수준기는 원형상의 유리판에 알코올을 넣고 기포를 조금 남겨 움직이도록 만든 것으로 그 기포가 중앙에 있을 때 수평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드릴 작업을 하면서 수준기의 기포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서 드릴이 기울어진 상태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작업 자세나 드릴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수준기를 통한 드릴의 수평 상태 확인은 드릴이 천공홈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에 인식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자세를 교정하였다고 하는 것은 이미 드릴이 정확한 작업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천공홈에서 가공 불량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는 드릴 작업을 하면서 수준기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계속 주시하면서 정확한 천공 자세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드릴 본체의 크기가 비교적 소형이고 작업을 돕는 손잡이도 한쪽으로 편중된 하나의 손잡이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수준기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많은 숙련을 요구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기 드릴에서 작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수준기를 이용하여 수평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앞서서 드릴 본체가 정확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휴대용 전기 드릴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손잡이를 형성하여 수준기를 의존하지 않고서도 드릴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개선 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 드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보조 손잡이를 작업자가 사용 용도와 장소에 따라 상기 보조 손잡이를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줄 수 있는 휴대용 전기 드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드릴 본체 상부면에 수준기가 형성되었던 종래의 휴대용 전기 드릴과는 달리 상기 보조 손잡이에 수준기를 형성하여 모든 전기 드릴에 수준기를 형성함에 따르는 제작 원가 상승 요인을 배제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 드릴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고정부의 측면도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적인 특징은 드릴 본체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고정용 나사가 체결되는 브래킷이 형성되어 드릴 본체에 체결되는 고정구;
한쪽편은 전기 코드가 삽입되는 코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드릴 본체의 제1손잡이 고정부에서 상기 제1손잡이와 함께 나사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편에는 상기 고정구와 고정용 나사로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수준기가 형성되는 손잡이 고정틀;
상기 손잡이 고정틀에 대칭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드릴 본체에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드릴 작업을 할 수 있고, 정밀한 천공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드릴 본체에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틀에 대칭으로 되는 제2손잡이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제2손잡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드릴 본체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작업 자세로 천공 작업을 할 수 있고, 또한 손잡이 고정틀에 형성된 수준기를 보면서 보다 정확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전기 드릴(1)은 본체(10), 고정구(20), 손잡이 고정틀(30), 제2손잡이(40) 및 수준기(50)로 구성된다.
휴대용 전기 드릴(1)의 본체(10)에는 제1손잡이(11)가 고정되는 제1손잡이 고정부(12)와 손잡이 고정구(20)가 고정되는 암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손잡이(11)는 통상적인 구조와 같이 드릴 작업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4)이 인입되며, 고정나사(15)를 이용하여 본체(10)의 제1손잡이 고정부(12)에 고정된다.
고정구(20)는 본체(10)의 암나사부(13)에 체결되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21)의 한쪽 단부에는 손잡이 고정틀(20)과 고정나사(22)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사홈(23)을 구비하는 브래킷(24)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고정틀(30)은 본체(1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31)와 고정구(20)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32)로 구성된다.
제1고정부(31)는 고정나사(15)가 체결되는 나사홈(33)과 코드(14)가 삽입되는 코드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제1손잡이(11)와 함께 본체(10)에 고정된다.
제2고정부(32)상부에는 수준기(50)가 형성되면서 고정구(20)의 나사홈(23)의 위치와 일치하는 나사홈(34)이 형성되어 고정나사(22)에 의하여 고정구(20)에 고정된다.
제2손잡이(40)는 한쪽 단부가 손잡이 고정틀(3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대(42)(43)가 형성되며, 상기한 손잡이(41)와 고정대(42)(43)와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손잡이(41a)와 고정대(42a)(43a)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는 또 하나의 제2손잡이(40a)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고정대(42)(42a)(43)(43a)의 단부에는 손잡이 고정틀(30)에 보울트(44)와 너트(45)로 고정시키기 위한 보울트 홈(46)(47)(46a)(4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수준기(50)는 공지된 구조, 예를 들면 원통형의 케이스 상부에 투명한 원판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하나의 기포와 함께 액체가 내장되어 액체의 이동 상태로 수평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휴대용 전기 드릴(1)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고정구(20)의 수나사부(21)를 본체(10)의 암나사부(13)에 체결하고, 제1손잡이(11)를 고정시켜주고 있는 고정나사(15)를 풀어서 본체(10)와 제1손잡이(11)를 분리시킨다.
그 다음 손잡이 고정틀(20)의 제1고정부(31)를 본체(10)의 제1손잡이 고정부(12)에 위치시키고, 또한 제1손잡이(11)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앞서 해체시킨 고정나사(15)를 다시 체결하면 손잡이 고정틀(30)이 본체(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손잡이 고정틀(30)의 제2고정부(32)가 고정구(20)의 브래킷(24)과 대향되는 위치에 있게 되는데, 본체(10)의 암나사부(13)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20)를 적절하게 회전시켜서 양쪽의 나사홈(23)(3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22)를 체결하면 손잡이 고정틀(30)이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2손잡이(40)는 고정대(42)(42a)(43)(43a)를 손잡이 고정틀(30)에 보울트(44)와 너트(45)로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고정구(20)와 손잡이 고정틀(30)을 이용하여 본체(10)에 고정되는 제2손잡이(40)는 작업자가 양쪽 손잡이(41)(41a)를 파지하게 되면 휴대용 전기 드릴(1)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 수직 및 수평 상태가 기울어지는 것은 손잡이 고정틀에 고정된 수준기(50)를 통하여 확인하여 자세 및 위치를 바로잡으면서 작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휴대용 전기 드릴에 한쌍의 보조 손잡이를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전기 드릴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작업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 손잡이에 수준기를 형성하여 모든 전기 드릴에 수준기를 형성함에 따르는 원가 상승 요인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드릴 본체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고정용 나사가 체결되는 브래킷이 형성되어 드릴 본체에 체결되는 고정구;
    한쪽편은 전기 코드가 삽입되는 코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드릴 본체의 제1손잡이 고정부에서 상기 제1손잡이와 함께 나사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편에는 상기 고정구와 고정용 나사로 결합되는 제2고정부 및 수준기가 형성되는 손잡이 고정틀;
    상기 손잡이 고정틀에 대칭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KR20-2004-0022566U 2004-08-09 2004-08-09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KR200367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66U KR200367148Y1 (ko) 2004-08-09 2004-08-09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66U KR200367148Y1 (ko) 2004-08-09 2004-08-09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680A Division KR100625724B1 (ko) 2004-08-17 2004-08-17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148Y1 true KR200367148Y1 (ko) 2004-11-10

Family

ID=4935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566U KR200367148Y1 (ko) 2004-08-09 2004-08-09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1110A (zh) * 2019-07-29 2019-09-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表箱快速安装模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1110A (zh) * 2019-07-29 2019-09-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表箱快速安装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7632B (zh) 一种全自动寻位钻孔及拉爆螺丝安装一体机
ES2620489T3 (es) Conjunto de puerta de ducha
US8375541B1 (en) Tool system
US20080099101A1 (en) Holding fixture for all types of drilling concerning woodworking
ATE433717T1 (de) Bohrlehre
US9937565B2 (en) Stud finder and laser level assembly for a power drill
US20070068012A1 (en) Reciprocating saw
GB2496473A (en) Pivotable oblique hole drilling guide and seat
KR200367148Y1 (ko)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KR100625724B1 (ko) 수준기가 구비된 휴대용 전기 드릴의 보조 핸들 장치
CA259333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 bit alignment and depth control with ergonomic drill motors
US7237984B1 (en) Hole-cutting saw
CN211682577U (zh) 一种多功能斜孔钻夹
CN209681232U (zh) 一种新型手持钻孔设备
JP2021013976A (ja) 電動ドライバー
US7497647B2 (en) Device for orienting a work tool at a predetermined attitude relative to a work piece
US6386802B1 (en) Hand drill and method of use
BR102015022188B1 (pt) Dispositivo de corte
CN212420507U (zh) 一种吸盘式多功能夹具
CN215659813U (zh) 一种便于安装维修维护的夹具
JP6148421B1 (ja) コアドリル装置及びコアドリル装置における支柱の角度決定機具
CN211415127U (zh) 多功能工具托架
CN101391317A (zh) 导向装置
CN217305537U (zh) 一种红外传感定位器
CN219665186U (zh) 胡桃钳加工用的钻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