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145Y1 -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 Google Patents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145Y1
KR200367145Y1 KR20040022470U KR20040022470U KR200367145Y1 KR 200367145 Y1 KR200367145 Y1 KR 200367145Y1 KR 20040022470 U KR20040022470 U KR 20040022470U KR 20040022470 U KR20040022470 U KR 20040022470U KR 200367145 Y1 KR200367145 Y1 KR 200367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pedicle screw
rod
woun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2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순
김은숙
Original Assignee
김은숙
김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숙, 김은순 filed Critical 김은숙
Priority to KR20040022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145Y1/ko
Priority to PCT/KR2005/000651 priority patent/WO2005092222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1Longitudinal elements with a non-circular, e.g. rectangu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19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26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with a part that is flexible due to its form
    • A61B17/7028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with a part that is flexible due to its form the flexible part being a coil sp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42Iron or iron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환자에게 시술되는 것으로서 척추에 삽입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나사못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척추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다수회 권회된 스프링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연결로드와, 상기 외측연결로드와 엇갈린 방향으로 외측연결로드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된 스프링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연결로드와, 상기 내측연결로드 내부에 연결로드를 지지해주기 위해 삽입된 중심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는 각 환자의 척추형상에 맞추어 만곡되도록 시술 가능하므로 환자의 활동에 의한 척추의 변형에 따라 같이 만곡되고 또한 복원력까지 갖추어 환자의 편의 및 치료까지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출렁거림을 방지하고 인체에 맞는 척추굴곡의 형상을 유지하여 더욱 편안하고 부작용이 없는 수술재료를 제공하여 환자의 불편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Rod connecting peidcle screws}
본 고안은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환자에게 시술되는 것으로서 척추에 삽입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나사못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척추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34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고 이것은 관절마디로 연결되어 있어 구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뼈 사이에는 디스크가 있어서 완충작용을 하게끔 되어 있다.
또한 각 뼈 사이에는 좌우로 신경이 나와 있는데 디스크 공간이 줄어들면 이 신경이 눌리게 된다.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는 그 상태에서는 개인생활에 필요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 다른 인접한 부분에 눌려지거나 닿게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척추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환자의 경우 그 손상된 부분이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인접한 척추부분을 인공보조물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수술을 해야하며, 이때 사용되는 척추 지지용 인공보조물은 손상된 척추의 상하측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나사못과 각각의 척추경나사못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번호 20-2004-84 (출원일 2004. 01.03)로 선출원된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19)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상기 연결로드(19)는 그 전체가 스프링형상으로 되어 있어 환자의 척추형상에 맞추어 만곡되도록 시술하므로 환자의 활동에 의한 척추의 변형에 따라 같이 만곡되고 또한 복원력까지 갖추어 환자의 편의 및 치료까지 도모한 고안이다.
상기 연결로드(19)를 설치할 때에는 먼저 척추경나사못(10)의 나사부(11)를 각각의 척추경(1)에 삽입고정시키고 각각의 척추경나사못(10)의 상측 머리부에 형성된 체결부(12)에 상기 연결로드(19)를 삽입하여 상기 연결로드(19)가 상기 체결부(12)의 체결홈(13)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2)에 형성된 나사산에 고정볼트(30)를 일치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30)의 상부에 형성된 공구용홈(31)에 육각렌치 등을 삽입하고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볼트(30)를 상기 체결부(12)의 내측에 체결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고정볼트(30)는 그 저면이 상기 연결로드(19)의 외경을 눌러주게 되어 가압되므로 상기 연결로드(19)는 상기 체결부(12)의 상기 체결홈(13) 내측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즉, 이렇게 하여 척추경(1)과 척추경(1)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로드(19)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연결로드(19)는 하나의 스프링으로만 되어 있으므로 탄성력은 뛰어나지만 스프링이 출렁거리는 문제점이 있고, 환자의 몸에 일단 시술이 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을 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스프링의 출렁거림으로 인해 원래 척추의 형상보다 더 많이 변형되어 장기간 척추경에 체결되어 있는 경우 스프링에 변형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인체에 맞는 척추 굴곡의 형상을 유지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20-2004-8241 (출원일 2004. 03.25, 명칭 : 탄성이 구비된 척추경나사못 2중연결로드)에서 탄성이 구비된 외측연결로드와 내측연결로드로 이루어진 2중연결로드를 출원하였으나,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는 인체의 척추 굴곡의 형상에 따라 함께 만곡되도록 하는 탄성력과 함께 환자의 몸에 시술된 후 연결로드가 출렁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강성을 가져야 하는데, 상기 탄성이 구비된 척추경나사못 2중연결로드는 탄성력은 구비되어 있으나, 강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는 환자의 척추형상에 따라 자유로이 만곡되고 복원력이 구비되면서도 강성을 보유하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된 외측연결로드를 구비함과 동시에 외측연결로드 내부에 내측연결로드를 상기 외측연결로드와 엇갈린 방향으로 권회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척추굴곡의 형상에 맞추어 만곡되면서도 연결로드가 출렁거리지 않도록 강성을 가진 수술재료를 제공하여 환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의(a)내지(g)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척추경 10 : 척추경나사못
11 : 나사부 12 : 체결부
13 : 체결홈 19,20 : 연결로드
21 : 외측연결로드 22 : 내측연결로드
23 : 중심체 30 : 고정볼트
31 : 공구용 홈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는, 다수의 척추경에 삽입 고정되는 각 척추경나사못의 머리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따라 안착되고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저면에 의해 가압되는 외측연결로드와 상기 외측연결로드의 내부에 삽입된 내측연결로드로 이루어진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결로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다수회 권회된 스프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상기 외측연결로드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외측연결로드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된 스프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측연결로드 내부에는 연결로드를 지지해주는 중심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스프링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는 상기 내측연결로드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스프링형상으로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으로 이루어져있고, 상기 중심체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다수겹의 얇은 판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연결로드는 권회된 판과 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다수겹의 판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는 척추굴곡형상에 맞추어 만곡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연결로드와 내측연결로드 및 중심체는 의료용 스테인레스 또는 티타늄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척추경(1)에 삽입 고정되는 각 척추경나사못(10)의 체결부(12)에 안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각 척추경나사못(10)에 고정결합되는 연결로드(20)가 구비된다.
척추경나사못(10)은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척추경(1)에 삽입되는 나사부(11), 그 대향측 머리부에 해당하며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20)가 삽입되고 나사산이 소정깊이로 가공된 체결홈(13)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2)로 이루어지며, 척추경나사못(10)은 체결홈(13)에 체결부재로서 육각렌치 등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공구용홈(31)이 소정깊이로 형성된 고정볼트(30)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연결로드(20)는 고정볼트(30)의 저면에 의해 직접 가압되는 외측연결로드(21)와 상기 외측연결로드(21)의 내부에 삽입된 내측연결로드(22) 및 상기 내측연결로드(22) 내부에 삽입된 중심체(23)로 구성된다.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연결로드(21)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다수회 권회되어 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이 권회되어 이루는 판과 판사이는 간격이 없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연결로드(21)의 외경은 고정볼트(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으로, 그 외경이 체결부(12)의 체결홈(13)에 삽입되도록 체결홈(13)의 너비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상기 외측연결로드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외측연결로드의 내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권회되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외측연결로드(21)와 엇갈린 방향으로 권회시키면 탄성력을 유지하면서도 연결로드(20)의 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직경이 작은 스프링와이어를 상기 외측연결로드(21)의 내주면에 접하며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는데, 그 권회된 방향은 상기 외측연결로드(21)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의 내부에는 연결로드(20)의 중심을 이루면서 지지체역할을 하는 직경이 작은 로드로 이루어진 중심체(23)가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중심체(23)는 상기 내측연결로드(22)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3의(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외측연결로드(21)는 도 3의(a)에 나타난 실시예와는 달리 다수회 권회되는 판은 그 판과 판사이의 거리가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약 1-2㎜정도의 간격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과 판사이에 간격이 없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면 각 척추경(1)사이의 연결로드(20)가 척추형상에 따라 오목하게 굴곡이 지는 경우 굴곡 진 연결로드(20)의 내측은 판과 판이 서로 간섭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판과 판사이에는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연결로드(21)의 내부에는 도 3의(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직경이 작은 스프링 와이어가 상기 외측연결로드(21)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23)는 직경이 작은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의(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상기 외측연결로드(21)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다수회 권회되어 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이 권회되어 이루는 그 판과 판사이는 간격이 없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상기 외측연결로드(21)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측연결로드(22) 내부의 중심체(23)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상기 내측연결로드(22)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도 3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한 겹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로드(20)의 외경이 결정된 경우 그 외경의 범위내에서 하나의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있고, 그 위에 또하나의 얇은 판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있는 등 다수겹의 얇은 판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상기 외측연결로드(21)에서 다수회 권회되는 판은 그 판과 판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약 1-2㎜정도의 간격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상기 외측연결로드(21)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측연결로드(22) 내부의 중심체(23)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상기 내측연결로드(22)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상기 연결로드(20) 외경이 결정된 경우 그 외경의 범위내에서 하나의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있고, 그 위에 또하나의 얇은 판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있는 등 다수겹의 얇은 판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e)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상기 외측연결로드(21)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다수회 권회되어 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이 권회되어 이루는 그 판과 판사이는 간격이 없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상기 외측연결로드(21)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23)는 직경이 작은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상기 연결로드(20)의 외경이 결정된 경우 그 외경의 범위내에서 다수겹의 얇은 판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f)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 상기 외측연결로드(21)에서 다수회 권회되는 판은 그 판과 판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약 1-2㎜정도의 간격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상기 외측연결로드(21)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23)는 직경이 작은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측연결로드(22)는 상기 연결로드(20)의 외경이 결정된 경우 그 외경의 범위내에서 다수겹의 판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같은 연결로드(20)는 수술후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도 3의(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척추굴곡형상에 맞추어 만곡시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측연결로드(21)와 내측연결로드(22) 및 중심체(23)의 재질은 의료용 메탈(Metal)로서 탄성 및 복원력이 구비되는 것이면 스테인레스재질, 티타늄재질 등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와같이 각 척추경나사못(10)을 따라 고정결합된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20)는 외측연결로드(21)가 스프링체이고 환자의 활동에 의해 척추가 변형되는 것에 맞추어 만곡되어 있으므로 각 척추마디의 유동성을 보장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연결로드(22)와 중심체(23)를 삽입시킴으로써 외측연결로드(21)와 함께 척추의 지지대 역할을 함으로써 외측연결로드(21)의 출렁거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는, 탄성이 구비되도록 얇은 판을 스프링형상으로 형성한 외측연결로드와 그 내부에 탄성이 구비된 다수겹의 내측연결로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환자의 척추형상에 맞추어 만곡되도록 시술 가능하므로 환자의 활동에 의한 척추의 변형에 따라 같이 만곡되고 또한 복원력까지 갖추어 환자의 편의 및 치료까지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연결로드와 함께 척추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상기 내측연결로드 및 중심체를 상기 외측연결로드와 엇갈린 방향으로 권회시켜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외측연결로드만으로 고정결합된 경우 생길 수 있는 스프링의 출렁거림을 방지하고 부작용이 없는 수술재료를 제공하여 환자의 불편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다수의 척추경에 삽입 고정되는 각 척추경나사못의 머리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따라 안착되고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저면에 의해 가압되는 외측연결로드와 상기 외측연결로드의 내부에 삽입된 내측연결로드로 이루어진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결로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일방향으로 다수회 권회된 스프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상기 외측연결로드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외측연결로드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된 스프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측연결로드 내부에는 연결로드를 지지해주는 중심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스프링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는 상기 내측연결로드가 권회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이 스프링형상으로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얇은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심체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결로드는 권회된 판과 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척추굴곡형상에 맞추어 만곡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로드는 다수겹의 얇은 판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조밀하게 다수회 권회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척추굴곡형상에 맞추어 만곡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결로드와 내측연결로드 및 중심체는 의료용 스테인레스 또는 의료용 티타늄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KR20040022470U 2004-03-25 2004-08-06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KR200367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2470U KR200367145Y1 (ko) 2004-08-06 2004-08-06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PCT/KR2005/000651 WO2005092222A1 (en) 2004-03-25 2005-03-09 Multiple rod connecting peidcle screw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2470U KR200367145Y1 (ko) 2004-08-06 2004-08-06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145Y1 true KR200367145Y1 (ko) 2004-11-10

Family

ID=4113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2470U KR200367145Y1 (ko) 2004-03-25 2004-08-06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08B1 (ko) 2008-01-11 2008-06-11 최길운 척추 고정용 플렉시블 로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08B1 (ko) 2008-01-11 2008-06-11 최길운 척추 고정용 플렉시블 로드
WO2009088116A1 (en) * 2008-01-11 2009-07-16 Gil Woon Choi Flexible rod for fixing vertebra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034B1 (ko) 척추고정나사
KR101033969B1 (ko) 기능성 척추간 임플란트
TWI432171B (zh) 骨骼或脊椎動態穩定用之屈曲性穩定裝置
JP2006524114A (ja) 骨固定プレート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60212033A1 (en) Vertebral stabilization using flexible rods
JP2008513174A (ja) 形状記憶合金を利用したバイオフレキシブル脊椎固定装置
JP5174924B2 (ja) 脊椎固定用フレキシブルロッド
US10441320B2 (en) Spine correction apparatus
KR100797755B1 (ko) 척추경 나사못 연결로드
JP2006527034A (ja) 骨又は骨断片、特に脊髄脊椎骨を機能的に安定する装置
WO2005092222A1 (en) Multiple rod connecting peidcle screws
TWI388308B (zh) 撓性脊椎固定結構
US20110004249A1 (en) Flexible spinal fixation device and rod thereof
KR200367145Y1 (ko)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KR200353928Y1 (ko) 탄성이 구비된 척추경나사못 2중연결로드
KR101041373B1 (ko) 이중 나선형을 갖는 세트스크루를 포함하는 척추 고정장치
KR100650208B1 (ko) 척추고정장치
KR101041374B1 (ko) 척추 고정장치
KR200440871Y1 (ko) 운동성이 보존되는 척추 고정장치
KR100898962B1 (ko) 척추 고정 장치
KR200351836Y1 (ko) 탄성이 구비된 척추경나사못 연결로드
TWI736417B (zh) 可撓骨固定裝置
KR100935243B1 (ko) 탄성 조절 로드
KR20060027240A (ko) 척추경 고정장치
KR101003166B1 (ko) 추궁간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