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979Y1 -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 Google Patents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979Y1
KR200366979Y1 KR20-2004-0022826U KR20040022826U KR200366979Y1 KR 200366979 Y1 KR200366979 Y1 KR 200366979Y1 KR 20040022826 U KR20040022826 U KR 20040022826U KR 200366979 Y1 KR200366979 Y1 KR 200366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assembled
ang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양석
Original Assignee
윤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양석 filed Critical 윤양석
Priority to KR20-2004-0022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흔들리는 배로 연승되는 원줄의 진입 각도에 따라 가이드가 자연스럽게 스스로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케이싱(11)의 양측을 관통하는 축(12)과 간격 조절축(14)에 조립되어 회전하는 2개 1조의 경사롤러(13, 15)를 가지며, 선체 쪽을 향하고 있는 간격 조절축(14)에는 핸들(16)이 조립되어 경사롤러(13, 15)들의 간격을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싱(11)에 연결되어 선체 가장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키트를 가지는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볼트(6)로 조립되는 연결대(5)를 연결시킨 다음, 선체의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고정대(1)에 고정되어 있는 관체(2)의 안에는 걸림홈(3a)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봉체(3)를 삽입시켜 상기 관체(2)를 관통하는 볼트(4)로 이탈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걸림홈(3a)에 상기 볼트(4)의 끝이 걸려서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는 봉체(3)가 회전운동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봉체(3)의 끝에는 상기 연결대(5)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원줄의 진입 방향에 따라 가이드(10)의 각도가 스스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Guide for fishing line winder}
본 고안은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각도 고정형 가이드와는 달리 흔들리는 배로 진입하는 원줄의 진입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 스스로 각도를 수정하면서 진입하는 원줄의 가이드 역할을 가장 이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본 고안의 가이드(10)는 케이싱(11)의 양측을 관통하는 축(12)과 간격조절축(14)에 조립되어 회전하는 2개 1조의 경사롤러(13, 15)를 가지며, 선체 쪽을 향하고 있는 간격 조절축(14)에는 핸들(16)이 조립되어 경사롤러(13, 15)들의 간격을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싱(11)에 연결되어 선체 가장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키트(미 도시함)를 가지는 구조인데, 이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 받은 실용신안등록 제302085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318737호에 상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부가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출원인이 선등록을 받은 상기 2건의 가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 고정형인 바,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줄의 진입 방향에 따라 각도가 스스로 수정되어 가장 이상적인 원줄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타입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10)는 그 후방에 위치하는 연승기(양승기)에 의해 당겨져 올라오는 원줄이 연승기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직경이 굵은 원줄은 경사롤러(13, 15)들 사이의 틈새 위에 얹힌 채 연승기 쪽으로 이동하고 원줄에 고정되어 있는 작은 직경의 목줄은 경사롤러(13, 15)들 사이의 틈새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연승기 쪽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가이드(10)가 선체의 가장자리와 거의 평행한 위치에서 조립된 채 각도가 수정되지 않는 각도 고정형이기 때문에 흔들리는 배 위로 당겨져 올라오는 원줄의 진입 각도가 수시로 변함에 따라 이상적으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데 다소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즉, 흔들리는 배 위로 당겨져 올라오는 원줄은 수시로 가이드로의 진입 각도가 달라지게 되지만 가이드의 각도는 고정이 되어 있어서 원줄이 연승기에 의해 강제적으로 연승이 될 때 경사롤러(13, 15)의 표면은 물론 케이싱(11)의 가장자리와 심한 마찰현상이 발생되어 원줄의 내구성이 낮아지고 심한 경우 원줄이 절단되어 큰 손해를 입게 되는 예가 발생되며, 동시에 원줄과 심한 마찰을 일으키는 경사롤 러 및 케이싱의 내구성도 저하될 뿐만 아니라 목줄의 안전하고 정확한 유도 작업에 애로가 있어 작업성이 나빠지는 예가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도 고정형 가이드를 탈피하여 진입하는 원줄의 각도 변화에 따라 스스로 가장 이상적인 각도로 수정이 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싱(11)의 양측을 관통하는 축(12)과 간격 조절축(14)에 조립되어 회전하는 2개 1조의 경사롤러(13, 15)를 가지며, 선체 쪽을 향하고 있는 간격 조절축(14)에는 핸들(16)이 조립되어 경사롤러(13, 15)들의 간격을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싱(11)에 연결되어 선체 가장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키트를 가지는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볼트(6)로 조립되는 연결대(5)를 연결시킨 다음, 선체의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고정대(1)에 고정되어 있는 관체(2)의 안에는 걸림홈(3a)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봉체(3)를 삽입시켜 상기 관체(2)를 관통하는 볼트(4)로 이탈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걸림홈(3a)에 상기 볼트(4)의 끝이 걸려서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는 봉체(3)가 회전운동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봉체(3)의 끝에는 상기 연결대(5)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원줄의 진입 방향에 따라 가이드(10)의 각도가 스스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을 위에서 바라 본 상태로서 가이드의 각도가 변화되는 요령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3은 본 고안의 도1을 기준한 좌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봉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대 2: 관체
3: 봉체 4, 6: 볼트
5: 연결대 10: 가이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해 가이드(10)의 각도가 2점 쇄선의 표시와 같이 위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해수면을 기준하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것임을 밝힌다.
종래의 가이드(10) 미 도시된 브라키트에 의해 선체(20)의 가장자리에 고정이 되고 일단 고정이 된 상태에서 정해진 각도가 변화되지 않는 각도 고정형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선체에 고정되는(단순 고정형 또는 힌지 고정형) 고정대(1)의 끝부분에 도면과 같이 관체(2)를 고정시킨 후, 도4와 같이 측면에 걸림홈(3a)이 형성되어 있는 봉체(3)를 상기 관체(2) 안으로 삽입시키고 관체(2)를 관통하는 볼트(4)를 조립하여 봉체(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봉체(3)의 걸림홈(3a) 안으로 끝 부분이 삽입되어 있는 볼트(4)에 의해 봉체(3)의 회전 각도는 조절이 된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봉체(3)의 끝에는 도면과 같이 연결대(5)가 고정이 되는데, 용접이나 볼트 고정식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대(5)는 볼트(6)에 의해 가이드(10)의 케이싱(11) 상측에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낙지 조업을 할 때 원줄은 가이드(10)의 경사롤러들사이로 당겨지면서 진입이 될 것이고 이때 원줄의 진입 각도가 변화가 되어 경사롤러 혹은 케이싱에 힘을 가하게 되면 힘이 가해지는 쪽으로 가이드(10)는 각도가 수정이 된다. 그 이유는, 가이드(10)의 케이싱(11)과 연결된 연결대(5)가 고정이 되어 있는 봉체(3)는 가이드(10)의 각도가 변화됨에 따라 도4를 기준하여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할 것이다. 그러므로 가이드(10)는 강하게 당겨지는 원줄이 가하는 힘에 의해 각도가 수정되면서 원줄이 경사롤러들 사이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봉체(3)는 자전을 하면 아니 되므로 결국 20도, 30도 45도등으로 변화될 수 있는 각도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봉체(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도4와 같이 봉체(3)의 측면에 걸림홈(3a)을 형성시키고 관체(2)를 관통하는 볼트(4)의 끝 부분에 의해 봉체(3)의 회전 각도가 정해지도록 하는데, 볼트(4)를 걸림홈(3a) 안으로 더 깊이 삽입시키면 봉체(3)의 회전 각도가 작아지는 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봉체(3)의 회전 각도가 더 커지게 된다. 즉, 상기 볼트(4)의 끝 부분은 도4를 기준하여 봉체(3)가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할 때 걸림홈(3a)의 안쪽 세로면에 접촉이 되기 때문에 봉체(3)는 볼트(4)에 의해 과다한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고 결국 볼트(4)의 삽입 깊이에 따라 봉체(3)의 회전 각도는 크게 혹은 작게 조절이 된다.
그러므로 봉체(3)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대(5)와 조립이 되어 있는 가이드(10) 역시 회전되는 각도가 크게 혹은 작게 조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봉체(3)의 걸림홈(3a)은 도4와 같이 원호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걸림홈의 형태는 다단식 등으로 변화가 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변화 정도는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연승기의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당겨지는 원줄이 배위로 당겨져 올라올 때 수시로 변화되는 각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스스로 각도가 수정되어 결국 원줄이 무리없이 가이드(10)의 경사롤러들 사이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원줄의 과다한 마모와 경사롤러 및 케이싱의 과다한 마모를 없애원줄의 손상이나 절단현상을 방지하여 경제성과 내구성을 탁월하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줄과 목줄의 안전하고 정확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어 우수한 어획고를 올릴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케이싱(11)의 양측을 관통하는 축(12)과 간격 조절축(14)에 조립되어 회전하는 2개 1조의 경사롤러(13, 15)를 가지며, 선체 쪽을 향하고 있는 간격 조절축(14)에는 핸들(16)이 조립되어 경사롤러(13, 15)들의 간격을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싱(11)에 연결되어 선체 가장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키트를 가지는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볼트(6)로 조립되는 연결대(5)를 연결시킨 다음, 선체의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고정대(1)에 고정되어 있는 관체(2)의 안에는 걸림홈(3a)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봉체(3)를 삽입시켜 상기 관체(2)를 관통하는 볼트(4)로 이탈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걸림홈(3a)에 상기 볼트(4)의 끝이 걸려서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는 봉체(3)가 회전운동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봉체(3)의 끝에는 상기 연결대(5)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원줄의 진입 방향에 따라 가이드(10)의 각도가 스스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KR20-2004-0022826U 2004-08-04 2004-08-04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KR200366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826U KR200366979Y1 (ko) 2004-08-04 2004-08-04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826U KR200366979Y1 (ko) 2004-08-04 2004-08-04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979Y1 true KR200366979Y1 (ko) 2004-11-06

Family

ID=4935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826U KR200366979Y1 (ko) 2004-08-04 2004-08-04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9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840B1 (en) Rope-guiding device
US9980472B2 (en) Bowfishing arrow
US5921196A (en) Sport fishing outrigger apparatus
US9173387B2 (en) Locking twist grip drive handle outrigger positioner
KR20130093580A (ko) 경화된 퍼스 링
KR200366979Y1 (ko) 낙지 포획용 원줄 연승기의 가이드
US5337510A (en) Fishing line release
KR200235852Y1 (ko) 어선용 그물 인양 장치
US20110278524A1 (en) Lift assembly for managing rod holders on fishing boats
KR102599955B1 (ko) 낚싯대 보조용 조상기
KR102215087B1 (ko) 낚시대 받침장치
JPH088622Y2 (ja) 中通し浮き
JP4050110B2 (ja) 中通し竿
KR100378420B1 (ko) 낚시용 무인보트
EP3319872B1 (en) Dinghy support arrangement
KR102597792B1 (ko) 갈치 낚시용 채비
AU2020223701B2 (en) A rope recovery tool
CN218172564U (zh) 一种电动舷外机倒挡锁紧结构及电动舷外机
CN215180881U (zh) 一种侧扫声呐
KR20040024504A (ko) 낚싯대
CN210478993U (zh) 一种多功能船桨
US20220063122A1 (en) Rope recovery tool
KR200316185Y1 (ko) 낚시용 구멍찌
JP3062048U (ja) 天秤ウキ
KR100998892B1 (ko) 낚싯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