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518Y1 -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 Google Patents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518Y1
KR200366518Y1 KR20-2004-0022225U KR20040022225U KR200366518Y1 KR 200366518 Y1 KR200366518 Y1 KR 200366518Y1 KR 20040022225 U KR20040022225 U KR 20040022225U KR 200366518 Y1 KR200366518 Y1 KR 200366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lock
rubber
puzzle
pres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왕기
Original Assignee
박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왕기 filed Critical 박왕기
Priority to KR20-2004-0022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도포장용 고무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고무블록이 더브테일 형상의 홈부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호 인써트 퍼즐(Insert Puzzle) 형태로 짜맞춤 연결됨으로 계절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시에도 고무블록간의 상호 체결력에 의해 고무블록의 일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도 포장용 고무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고무블록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은 짝수변을 갖는 다각형을 이루며, 상기 다각형의 이웃하는 각변 간에 더브테일 형상의 홈부(凹부)와 돌출부(凸부)를 교번되게 형성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각 고무블록이 측면에 형성된 더브테일 형상의 홈부와 돌출부에 의해 상호 인써트 퍼즐(Insert Puzzle) 형태로 짜맞춤 연결됨으로 계절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시에도 고무블록간의 상호 체결력에 의해 고무블록의 일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면부의 홈에 의해 상부에서 특정부위에 가하여지는 힘에 대하여 있을 수 있는 배불림현상과 그 현상에 의해 연결된 전체 고무블록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고무블록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무블록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줄눈무늬를 가질 수가 있으며, 상면 및 하면의 색상을 달리함에 따른 표현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고안의 고무블록은 지하매설물의 잦은 개·보수 시에도 재활용이 가능하고 시공비가 기존의 콘크리트 위에 접착제 고정의 방식보다 현저히 저렴하며 하부 투수(모래)층으로 배수가 용이하므로 넓은 면적에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Insert Puzzle Block}
본 고안은 인도포장용 고무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고무블록이 더브테일 형상의 홈부와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호 인써트 퍼즐(Insert Puzzle) 형태로 짜맞춤 연결됨으로 계절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시에도 고무블록간의 상호 체결력에 의해 고무블록의 일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도 포장용 고무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접한 보도, 어린이놀이터, 산책로, 조깅로, 인라인스케이트 도로, 보행자 전용도로, 자전거도로, 운동장, 수영장, 헬스클럽, 양로원, 유치원 등에는 고무블록으로 포장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고무블록은 노약자 또는 유아들이 도복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장시간 운동 시에도 일정한 탄력성과 부드러운 보행감으로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신발의 바닥면과 마찰계수가 높아 우천시 미끄러짐으로 예상되는 안전사고가 감소하는 등 이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이 있어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고무블록은 단순한 사각 판 형상인 것이 대부분이다.
고무블록의 시공은 일정두께의 모래층으로 지지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줄눈을 맞춰 포설하게 된다.
그런데 고무블록은 계절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의 정도가 심하게 발생하여 여름에는 팽창에 의해 특정부위가 들뜨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동절기에는 수축에 의해 각 고무블록간의 틈새가 벌어져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온도변화에 따른 고무블록의 신축 작용에 의해 그 하부의 지지층인 모래층이 유동하게 되어 포장면이 불규칙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고무블록의 일탈현상을 가속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무블록이 설치될 지지층을 콘크리트층(보도용 두께 100mm)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고무블록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첫째 콘크리트나 접착제와 같은 재료가 추가됨에 따른 재료비가 상승되고 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시키기 위한 시간 및 접착제 도포시간 등 불필요한 작업들로 인한 공기 연장 및 그에 따른 시공비 상승의 단점이 있다.
둘째 콘크리트로된 지지층의 배수 불량은 습도에 취약한 접착제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부착된 블록을 쉽게 이탈시키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됨에 따라 시공시 지지층의 구배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넓은 면적의 시공에는 적당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셋째 통신선로, 가스배관, 수도배관 등 인도의 지중에 매설된 구조물의 보수·확장 시 타설된 콘크리트층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뒤 다시 복구를 위한 작업이 수반됨에 따라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많은 비용을 부담케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무블록간에 홈부 및 돌출부로 서로를 연결하여 그 체결력에 의해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시 조합된 개체의 고무블록들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무블록의 시공을 단순화하여 시공비용을 최소화하고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더나아가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비용 또한 절감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고무블록의 성능을 향상시켜 보행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추구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사각형 고무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직사각형 고무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정육각형 고무블록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정육각형 고무블록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고무블록의 설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정사각형 고무블록 12 - 홈부
14 - 돌출부 16 - 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무블록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은 짝수변을 갖는 다각형을 이루며, 상기 다각형의 이웃하는 각변 간에 더브테일 형상의 홈부(凹부)와 돌출부(凸부)를 교번되게 형성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또 상기 고무블록의 윗면과 아래면의 색채를 달리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사각형 고무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고무블록(10)이 정사각 판체를 이루며, 각변을 이루는 측면(11a,11b,11c,11d)에는 더브테일 형상의 홈부(12)와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2)와 돌출부(14)는 이웃하는 변에 교번되게 설치되며, 연결시 홈부(12)는 다른 고무블록(10)의 돌출부(14)와 체결되고 돌출부(14)는 다른 블록의 홈부(12)와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구조를 통해 각 고무블록(10)들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무블록(10)의 돌출부(14)와 홈부(12)를 다른 고무블록(10)의홈부(12)와 돌출부(14)에 결합시킬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와 홈부(12)가 더브테일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수평 결합은 불가하고 반드시 수직 결합만이 그 결합을 허용한다. 이러한 결합은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으로는 연결된 고무블록(10)을 분리시킬 수가 없게 됨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온도변화에 따른 고무블록(10)의 신축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고무블록(10)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탈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직이탈의 우려를 확실히 제거하기 위해 일반 고무블록(10)의 높이를 대폭 증가시켜 체결된 돌출부(14)와 홈부(12)의 접촉면적 증가에 따른 측면접촉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비틀림 또는 특정부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 등 예상치 못한 충격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돌출부(14)와 홈부(12)의 분리현상없이 그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블록(10)의 측면(11a,11b,11c,11d)부에는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6)은 대체로 반원형상을 이루며, 이는 상부의 답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블록의 측면 팽창(배불림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고무블록(10)은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부에서 압이 가해지게 되면 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현상은 연접된 주변 고무블록(10)을 밀어내는 결과를 낳게 되며, 이는 연결된 전체 고무블록(10)을 유동시키게 되는 등 고무블록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고무블록(10)의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된다. 그렇지만 고무블록(10)의 측면부에 홈(16)이 형성됨에 따라 측면 팽창시에도 결국 상기 홈(16)이 팽창 현상을 흡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므로고무블록(10)의 위치적 변화가 없거나 미미하도록 하여 고무블록(10)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무블록(10)의 상면과 하면의 색상을 달리 구성할 수 있다. 즉, 고무블록(10)의 시공시 고무블록(10)의 배열 변화에 따른 줄눈무늬의 다양성을 가짐은 물론이고, 이에 더하여 추가 자재없이도 고무블록(10)의 색상 변화에 따라 그 표현을 더욱더 다양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직사각형 고무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고무블록(20)은 직사각 판체를 이루고 있다. 이 직사각형 고무블록(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사각 고무블록(20)이 구성을 포함한다. 즉, 각 변을 이루는 측면(21a,21b,21c,21d)부에 홈부(22)와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고, 각 변을 이루고 있는 측면(21a,21b,21c,21d)부에는 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의 색상을 달리하고 있다.
직사각형 고무블록(20)의 구성적 특징은 길이가 긴 변 즉, 측면(21a,21c)에 홈부(22) 및 돌출부(24)를 각각 2개씩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그 길이만큼 상기 홈부(22) 및 돌출부(24)를 더 구성할 공간이 확보되고, 또 확보된 홈부(22) 및 돌출부(24)에 의해 고무블록(20)간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정사각형 고무블록(20)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다양한 줄눈무늬의 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정육각형 고무블록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블록(30)이 정육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고무블록(30)에도 상기 고무블록(20)의 구성을 포함하되, 6개의 측면 중 3개의 측면(31b, 31d, 31f)에는 홈부(32)(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3면(31a, 31c, 31e)은 돌출부(34)(凸부)가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홈부(32)와 돌출부(34)를 이용하여 다른 고무블록(30)을 연결하게 되면, 줄눈무늬가 벌집형상을 이루는 특이한 느낌을 연출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정육각형 고무블록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각형 구조의 구무블록(30)에 있어서, 각 측면(31a∼31f)에 형성된 홈부와 돌출부가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성형성이 좋은 장점이 있고, 또 줄눈무늬가 곡선으로 인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각 고무블록이 측면에 형성된 더브테일 형상의 홈부와 돌출부에 의해 상호 인써트 퍼즐(Insert Puzzle) 형태로 짜맞춤 연결됨으로 계절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시에도 고무블록간의 상호 체결력에 의해 고무블록의 일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면부의 홈에 의해 상부에서 특정부위에 가하여지는 힘에 대하여 있을 수 있는 배불림현상과 그 현상에 의해 연결된 전체 고무블록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고무블록의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무블록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줄눈무늬를 가질 수가 있으며, 상면 및하면의 색상을 달리함에 따른 표현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고안의 고무블록은 지하매설물의 잦은 개·보수 시에도 재활용이 가능하고 시공비가 기존의 콘크리트 위에 접착제 고정의 방식보다 현저히 저렴하며 하부 투수(모래)층으로 배수가 용이하므로 넓은 면적에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득할 수 있다.

Claims (9)

  1. 고무블록에 있어서 ,
    상기 고무블록은 짝수변을 갖는 다각형을 이루며, 상기 다각형의 이웃하는 각변 간에 홈부(凹부)와 돌출부(凸부)를 교번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럭은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럭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중 길이가 짧은 측면에는 홈부 및 돌출부를 각각 1개씩 형성하고, 길이가 긴 측면에는 홈부 및 돌출부를 각각 2개씩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럭은 정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의 측면에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의 윗면과 아래면의 색채를 달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의 홈부와 돌출부는 더브테일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이어서,
    상기 고무블록의 홈부와 돌출부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KR20-2004-0022225U 2004-08-03 2004-08-03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KR200366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25U KR200366518Y1 (ko) 2004-08-03 2004-08-03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225U KR200366518Y1 (ko) 2004-08-03 2004-08-03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518Y1 true KR200366518Y1 (ko) 2004-11-09

Family

ID=4935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225U KR200366518Y1 (ko) 2004-08-03 2004-08-03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5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193B1 (ko) 2009-11-16 2012-08-14 김인열 조립식 패널
KR101179690B1 (ko) 2011-01-13 2012-09-04 최선희 수목 보호용 다기능 조립식 포장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193B1 (ko) 2009-11-16 2012-08-14 김인열 조립식 패널
KR101179690B1 (ko) 2011-01-13 2012-09-04 최선희 수목 보호용 다기능 조립식 포장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2367B (fi) System foer prefabricerade betongelement
US20160302990A1 (en) Tactile Plate Assembly
JP3751284B2 (ja) 舗装用ブロック
CN204875442U (zh) 人行道地砖及人行道
KR101122681B1 (ko)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JP2004515669A (ja) 合成縁材及び使用法
KR200366518Y1 (ko) 보도포장용 퍼즐 고무블록
KR20100089616A (ko)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JP4663442B2 (ja) 横断歩道用防滑ライナー
KR101972320B1 (ko)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
KR200439482Y1 (ko) 바닥용 탄성 고무매트
JP2009221741A (ja) 舗装用ブロック
KR20190046150A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저감장치
KR200381325Y1 (ko) 보도블록
KR20140110309A (ko) 산책로 탄성 데크 제작방법 및 연결 클립 형성방법
CN113355965A (zh) 一种市政道路结构
JPS63236801A (ja) ブロツクタイルの保持枠
US392277A (en) Interlocking tile oe paving block
KR20120030637A (ko) 도로 경계석을 갖는 자전거 도로용 콘크리트 블록
KR102655192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RU21147U1 (ru) Плита покрытия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опор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CN211395238U (zh) 运动场地地面及其预制拼装件
JP2936307B2 (ja) 新規な路面及び新規な路面の布設方法
CN216040491U (zh) 一种双层嵌入式透水互锁防溅人行道道板
KR20060055267A (ko) 조립식 포장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