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857Y1 -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 Google Patents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857Y1
KR200365857Y1 KR20-2004-0022805U KR20040022805U KR200365857Y1 KR 200365857 Y1 KR200365857 Y1 KR 200365857Y1 KR 20040022805 U KR20040022805 U KR 20040022805U KR 200365857 Y1 KR200365857 Y1 KR 200365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discharge port
discharge
long hole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옥스
Priority to KR20-2004-0022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기의 토출구에 차단판(9)을 적용시켜 토출구(3)로 토출되는 토출량을 일정량 차단하거나 그 토출구를 개방시켜 토출량이 전량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의 토출구(3)를 차단 내지는 개방을 위해 상기 양'측면판(5)내지는, 상기 커버판(6)에 장공(7)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7)에 체결부재(8)로 체결되는 차단판(9)을 갖도록 한다.

Description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VENTILATE CONTROLLER OF BLOWER}
본 고안은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송풍기의 토출구를 개방 내지는 밀페시켜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송풍기는 케이스에 내장된 임펠러 또는 브레이드에 의해 공기를 유입시켜서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배출구와 흡입구에서의 기체의 압력비가 1.1 미만이면 팬이라고 칭하고, 1.1 이상 2.0 미만이면 블로워라 칭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송풍기의 외관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내부에 임펠러(2)가 샤프트(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 된다. 그리고, 케이스(1)의 일측에는 유입구(5)가 형성되며, 이 유입구(5)는 링형상의 단관부(6)의 일측에는 외향하는 플랜지(7)가 용접되어 이 플랜지(7) 부위에서 볼트(8)에 의해 케이스(1)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단관부(6)의 내측에는 나팔관 형태의 에어가이드(9)가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단관부(6)에는 덕트 또는 플렉시블한 캔버스가 부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의 유입구(5)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에어가이드(9)가 유입된 공기를 임펠러(2)의 측면 중앙부로 유도하여, 둘레부의 브레이드를 통해 케이스(1)의 외부면에 설치된 토출구(13)로 토출한다. 도면 중 번호 14는 샤프트(3)를 지지하는 베어링이고, 번호 15는 이 베어링(14)을 유입구(5)의 중앙부에 위치시켜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상기 케이스(1)는 양'측면판 내측으로 임펠러실을 갖도록 커버판이 커버된다. 그 커버시 일단이 토출구(13)를 갖도록 한다.
상기 구성중 토출구(13)는 토출량을 조절하는 개폐구조가 없어 필요에 따라 토출량을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송풍기 사용자측에서 불편함을 느낀다.
그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변형 모터를 장착할 경우 그 금액이 만만치 않다. 즉 고가의 송풍기로 인해 판매불가능한 제품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결론, 일반 송풍기 사용처에서 간혹 토출량 조절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이때 편리하게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구에 토출량 개폐장치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에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원은 토출구에 상기 토출구를 일정부분 밀페시켜 토출량을 일정량 차단시키거나 그 토출구를 개방시켜 전량 배출되도록 하는 차단판(9)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의 토출구(3)를 차단 내지는 개방을 위해 상기 양'측면판(5)내지는 상기 커버판(6)에 장공(7)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7)에 체결부재(8)로 체결되는 차단판(9)을 갖도록 한다.
제 1도는 종래의 송풍기 사시도
제 2도는 종래의 송풍기에 본원의 차단판을 적용한 사시도
제 3도의 A는 본원의 차단판의 사시도
제 3도의 B는 제 2도의 A-A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3,토출구
5, 양'측면판 7,장공
8, 체결수단 9, 차단판
11, 힘재부
양'측면판(A)내측으로 토출구(13)와 임펠러실(B)을 갖도록 커버판(C)이 커버되는 송풍기의 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토출구(3)를 차단 내지는 개방을 위해 상기 양'측면판(5)내지는 상기 커버판(6)에 장공(7)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7)에 체결부재(8)로 체결되는 차단판(9)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판(9)은 상기 차단판(9) 소정부분에 힘재부(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케이스(1)의 토출구(3)을 차단 내지는 개방을 위해 상기 양'측면판(5) 후방에 수직으로 장공(7)을 형성한다.
이 장공(7)에 차단판(9)이 볼트조임 되도록 차단판(9)양단에 너트부(9')가 형성된다. 이 너트부(9')에 상기 장공(7)을 관통한 체결수단(9)이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송풍기(10)에 전원을 인가하면 미도시한 모터는 회전한다. 이 모터 회전으로 모터와 미도시한 밸트 연결된 임펠러(20)는 회전한다. 이 임펠러(20)회전으로 유입구(21)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3)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토출도중 필요에 의해 토출량을 조절할 경우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예를들어 토출량 감소시, 장공(7)에 체결수단(8)으로 고정된 차단판(9)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토출구(3)의 일부를 차단하는데 그 차단은 체결수단(8)을 조임해제 한다. 그 조임해제 후 차단판(9)을 상부로 이동한 다음 앞서 조임해제 했던 체결수단(8)을 조임하면 된다.
반대로 토출량 증가시 앞에서 서술한 역순으로 차단판(9)을 하단부로 이동하여 토출구(3)를 개방한다.
여기서 참고, 강력한 토출력을 갖는 임펠러(20)라 할지라도 유입구 및 토출구의 크기에 따라 토출력이 결정된다. 즉 토출구가 소정면적 막히면 그 토출구가 막힌만큼 흡입구로 유입되는 흡입량이 적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3)를 차단 내지는 개방을 위해 상기 양'측면판(5)내지는 상기 커버판(6)에 장공(7)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7)에 체결부재(8)로 체결되는 차단판(9)을 갖도록 함으로서
토출량을 조절 할 수 있는 송풍기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양'측면판(5)내측으로 토출구(3)와 임펠러실(30)을 갖도록 커버판(6)이 커버되는 송풍기의 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토출구(3)를 차단 내지는 개방을 위해 상기 양'측면판(5)내지는 상기 커버판(6)에 장공(7)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7)에 체결부재(8)로 체결되는 차단판(9)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9)은 상기 차단판(9) 소정부분에 힘재부(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KR20-2004-0022805U 2004-08-10 2004-08-10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KR200365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805U KR200365857Y1 (ko) 2004-08-10 2004-08-10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805U KR200365857Y1 (ko) 2004-08-10 2004-08-10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857Y1 true KR200365857Y1 (ko) 2004-10-25

Family

ID=4935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805U KR200365857Y1 (ko) 2004-08-10 2004-08-10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8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6734C2 (ru) Вентилятор
RU2576774C2 (ru) Вентилятор
US6584767B1 (en) Exhaust diverter
EP2578889A1 (en) Device for blowing air by means of narrow slit nozzle assembly
TWI503484B (zh) 離心式風扇
RU2584387C2 (ru) Вентилятор
AU722893B2 (en) Vehicle air outlet with combined flow straightener and shutoff door
EP1160511B1 (en) Gas turbine combustor by-pass valve device
US4775294A (en) Tubular centrifugal fan
US5820458A (en) Ventilation device
KR200365857Y1 (ko) 토출량 조절기를 갖는 송풍기
JP3975501B2 (ja) 遠心圧縮機
US4253796A (en) Fan or blower assembly
AU2013100647A4 (en) Device for blowing air by means of narrow slit nozzle assembly
JP2007182909A (ja) 流量調整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流量調整方法
KR101458811B1 (ko) 관로의 유속 증폭을 이용한 고속회전체 장치
ITBO20040436A1 (it) Dispositivo aeratore per autoveicoli
KR20190050447A (ko) 기계식 미세 풍량조절 기능을 갖는 전동댐퍼
JPH08338396A (ja) 遠心式送風機
KR102204643B1 (ko) 공기조화장치
KR200426594Y1 (ko) 배출경로에 역류방지용 체크밸브가 내장된 송풍기
JPH11166663A (ja) 流路断面積調整装置
JPH09195999A (ja) 空気ポンプの消音機構
KR200393258Y1 (ko) 이단 휠팬
JP2821860B2 (ja) スチームトラ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