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788Y1 -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788Y1
KR200365788Y1 KR20-2004-0016107U KR20040016107U KR200365788Y1 KR 200365788 Y1 KR200365788 Y1 KR 200365788Y1 KR 20040016107 U KR20040016107 U KR 20040016107U KR 200365788 Y1 KR200365788 Y1 KR 200365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bed
building
bed composition
balcony
composi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동순
Original Assignee
여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동순 filed Critical 여동순
Priority to KR20-2004-0016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일측에 형성되는 발코니에 화단 조성부를 형성하되, 이 화단 조성부를 동일수직선상에서 볼 때 층별로 교차되게 형성함으로써, 규격화된 건축물의 높이에 제한받지 않고도 비교적 길이가 긴 화초나 나무 등을 효과적으로 키우거나 가꿀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동일한 실내주거공간이 다열, 다층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정공간의 발코니가 형성되며, 이 발코니의 일측에 일정크기의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는 건축물 등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n(n=홀수 또는 짝수)층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와, 상기 건축물의 n +a(a= 1 이상의 정수)층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가 동일수직선상에서 볼 때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Structure for forming flower garden in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일측에 형성되는 발코니에 화단 조성부를 형성하되, 이 화단 조성부의 위치를 층별로 교차되게 형성함으로써, 규격화된 건축물 한 층의 높이에 제한받지 않고도 비교적 길게 자라는 화초나 나무 등을 효과적으로 가꾸거나 키울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또한 급속하게 바뀌고 있는 추세에 있다.
즉, 한정된 토지공간에 많은 인구가 주거해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동일한 크기의 실내주거공간이 다열, 다층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빌라, 상가건물, 일반빌딩 등(이하, '건축물로 통칭함')이 많이 신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축물 등은 대부분 각종 편의시설이나 부대시설이 잘 갖추어져서 편안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지면으로부터 동떨어진 공간에서 생활하여야 함으로써, 몇 가지 불편을 감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단독주택의 주거자는 소위 마당인 공간을 확보하여 작은 화단을 꾸미거나 또는 각종 나무 등을 심어 취미생활로서 화초나 나무를 가꾸면서 키울 수 있으나, 상기한 건축물 등의 주거공간에서는 이러한 화초나 나무를 가꾸면서 키우기 위한 공간이 마땅치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한 취미생활을 넘어서 화초나 나무 등이 이산화탄소 등을 흡수하고 반대로 인간에게 유익한 산소를 배출하는 등 환경오염이 갈수록 심해지는 현대사회에 친환경적인 요소임이 널리 알려지면서 주거환경개선의 일환으로 많은 사람들이 집안에서 화초나 나무 등을 많이 가꾸거나 키우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조건에 충족하고자 새로 신축되는 건축물 등의 발코니 일측에 미니정원을 꾸밀 수 있도록 하는 화단 조성부가 제공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발코니 일측에 미니정원을 꾸밀 수 있는 화단 공간부가 형성된 건축물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실내주거공간이 다열, 다층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건축물(10)의 일측에는 실외환경을 접할 수 있고 세탁물 등을 건조하기 위한 발코니(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발코니(12)의 일측에는 일정크기로 외향돌출된 형태의 화단 조성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화단 조성부(20)에 조그마한 화단을 꾸며서 각종 화초를 심어 가꾸거나, 또는 나무 등을 심어서 키울 수 있게 되며, 또는 각종 화초나 나무 등이 이미 심어져 있는 화분 등을 비치하여 미니 정원을 꾸밀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의 발코니 일측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가 일률적으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형성됨으로써, 일정길이 이상으로 자라는 화초나 나무를 가꾸거나 키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축물 등은 상기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실내주거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됨으로써, 한 층의 높이는 규격화 된 일정높이로 제한되어 있는 바, 이러한 제한높이 이상으로 자라는 화초나 나무 등은 가꾸거나 키울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화단 조성부가 층마다 동일 수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되면, 바로 위층의 화단 조성부에 의해 정오와 같이 해가 높게 떠 있는 상태(햇빛의 조사각도가 거의 수직인 상태)에서는 햇빛을 제대로 조사받지 못함에 따라 상기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화초나 나무 등이 광합성 작용을 제대로 하지 못해 영양분을 제대로 수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쉽게 시들거나 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일측에 형성되는 발코니에 화단 조성부를 형성하되, 이 화단 조성부를 동일수직선상에서 볼 때 층별로 교차되게 형성함으로써, 규격화된 건축물의 높이에 제한받지 않고도 비교적 길이가 긴 화초나 나무 등을 효과적으로 키우거나 가꿀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라 화단 조성부가 설치된 건축물의 n층 평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라 화단 조성부가 설치된 건축물의 n +1층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축물 12 : 발코니
20 : 화단 조성부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동일한 실내주거공간이 다열, 다층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정공간의 발코니가 형성되며, 이 발코니의 일측에 일정크기의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는 건축물 등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n(n=홀수 또는 짝수)층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와, 상기 건축물의 n +a(a=1 이상의 정수)층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가 동일수직선상에서 볼 때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건축물의 어느 한개 층 발코니의 수평길이가 A이고, 이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의 수평길이가 B일 경우, 상기 화단 조성부가 A/B층 마다 동일수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라 화단 조성부가 설치된 건축물의 n층 및 n +1층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실내주거공간이 다열, 다층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건축물(10)의 일측에 발코니(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발코니(12)의 일측에 화단 조성부(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화단 조성부(20)는 층별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n층(n=홀수 또는 짝수)은 발코니의 좌측에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어 있고, n +1층은 발코니의 우측에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어서 동일수직방향으로 볼 때 상기 화단 조성부가 층마다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건축물 어느 한 층의 발코니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에서 보면, 바로위층과 아래층의 발코니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2개 층 위 또는 아래의 발코니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건축물 한 층의 높이가 대략 3m라고 가정하면, 2개 층의 높이인 6m범위 내에서 화단 공간부의 높이 공간이 확보되는 바, 비교적 길게 자라는 화초나 나무 등도 큰 저해요인 없이 가꾸거나 키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단 공간부가 2개 층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개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햇빛의 조사각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보다 오랜 시간동안 햇빛에 노출되어 결국 광합성 작용에 의한 영양분 수급이 원활해지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경제수준이 점차 높아지면서 보다 고급스러운 주거환경이 제공되고 있고, 이에 넓은 평수의 건축물 등이 많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넓은 평수의 건축물은 발코니 자체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평수가 넓어서 발코니 자체도 큰 경우에는 화단 조성부를 층별로 교차되게 형성하지 않고, 계단층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발코니의 수평길이가 A라 가정하고, 화단 조성부의 수평길이는 B라 가정할 때, 다층의 건축물에서 A/B층마다 동일 수직선상 위치에 화단 조성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발코니의 전체 수평길이가 6m라고 가정하고, 화단 조성부의 수평길이가 2m라고 가정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은 발코니 전체 중 좌측 끝단부터 2m범위 내에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고, 2층은 발코니 전체 중 중간 2m범위 내에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며, 3층은 발코니 전체 중 우측 끝단부터 2m범위 내에 화단 조성부가 형성됨으로써, 결국 화단 조성부가 계단층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7...층, 2,5,8...층, 3,6,9...층과 같이 6/2층 즉, 3층마다 동일 수진선상 위치에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건축물 한 층의 높이가 대략 3m라고 가정하면, 3개 층의 높이인 9m 높이 범위 내에서 화초 및 나무를 가꾸거나 키울 수 있게 되며, 또한 보다 높은 공간만큼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더욱 광범위한 햇빛조사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층 단위로 화단 조성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느 층은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고, 어느 층은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평등하지 않은 문제가 지적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화단 조성부가 형성된 층은 그만큼 분양가 등을 높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경우 격층마다 화단 조성부가 형성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2층 이상 간격을 두고 화단 조성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에 의하면, 건축물의 한개 층 발코니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가 바로 위층과 아래층의 발코니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건축물 한개 층의 높이 이상으로 비교적 길게 자라는 화초나 나무 등도 용이하게 가꾸거나 키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한개 층 발코니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가 적어도 2개 층 이상의 위층에 형성된 화단 조성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단 조성부가 건축물의 2개 층 이상의 높이만큼 그 상부가 개방되어 오랜 시간 광범위하게 햇빛을 조사받을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동일한 크기의 실내주거공간이 다열, 다층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정공간의 발코니가 형성되며, 이 발코니의 일측에 일정크기의 화단 조성부가 형성되는 건축물 등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n(n=홀수 또는 짝수)층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와, 상기 건축물의 n +a(a=1 이상의 정수)층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가 동일수직선상에서 볼 때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어느 한개 층 발코니의 수평길이가 A이고, 이 발코니에 형성되는 화단 조성부의 수평길이가 B일 경우, 상기 화단 조성부가 A/B층 마다 동일수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3. 삭제
KR20-2004-0016107U 2004-06-09 2004-06-09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KR200365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07U KR200365788Y1 (ko) 2004-06-09 2004-06-09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07U KR200365788Y1 (ko) 2004-06-09 2004-06-09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788Y1 true KR200365788Y1 (ko) 2004-10-27

Family

ID=4943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07U KR200365788Y1 (ko) 2004-06-09 2004-06-09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7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13B1 (ko) 2007-10-17 2008-09-12 이상문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및 이 가구별 테라스를 이용한 정화/집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13B1 (ko) 2007-10-17 2008-09-12 이상문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및 이 가구별 테라스를 이용한 정화/집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pkins et al. Living architecture: green roofs and walls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Dunnett et al. Small green roofs: low-tech options for greener living
KR200365788Y1 (ko) 건축물의 화단 조성부 형성구조
KR101884995B1 (ko)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Strumiłło Sustainable city-green walls and roofs as ecological solution
CN104956940A (zh) 一种绿化设施及多层建筑
De Silva The Sri Lankan tradition for shelter
KR200464609Y1 (ko) 수경식재형 플랜터
JP2017079632A (ja) 植物栽培発泡断熱材床
JP2009022245A (ja)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JP3577592B2 (ja) コケ植生体
Ilvitskaya et al. Regional features of the formation of sustainable tourist buildings of the Russian-Kazakhstan border
Brázdová The Exterior Green Walls and Their Perspective in High Density Parts of Urban Area
KR200375605Y1 (ko) 다양한 가지화분이 있는 기둥화분
Ljubojević et al. Rooftop fruit growing as a nature based solution to mitigate the climate change
Sharath et al. Enviroscaping: An environment friendly landscaping
Boby et al. AN OVERVIEW OF GREEN WALL SYSTEMS: ITS PERFORMANCE AND BENEFITS IN SUSTAINABLE DESIGN
Schutzki A Guide for the Selection and Use of Plants in the Landscape
KR20160061928A (ko) 실내 다랑이텃밭 설치 건물
Burritt Survey of Suitable Plants for Cal Poly's Green Wall
Hussein et al. Guideline for Designing Rooftop Gardens in Amman Buildings
Gadomska Urban horticulture–agriculture within the landscape of New York city
Despot et al. Description botanical park in the world
CN2739944Y (zh) 防漏节水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